최종편집 2025년 04월 20일 20시 13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박근혜 대통령! '핵 마피아' 실체는 바로…"
[초록發光] '핵 마피아'와 싸웠던 前 국회의원의 경고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이 특히 그렇지만 오래전부터 인간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매진했고 그 성과에 열광했다. "푸른 하늘 저 멀리~ 랄랄랄 힘차게 나는~" 40대 중반 이후 세대에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애니메이션 <우주 소년 아톰>의 주제곡 시작 부분이다. 일
조승수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이사장
2013.06.19 09:24:00
핵의 볼모가 된 대한민국 vs. 핵을 버리는 독일
[초록發光] 해답은 분산형 재생 가능 에너지
우리 사회가 핵발전소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핵발전소 부품 납품 비리를 넘어 이번에는 핵발전소 부품의 시험 성적까지 위조했다는 기막힌 소식이 들린다. 그것도 핵발전소 사고 방지의 핵심 부품인 제어 케이블 시험 성적이 위조되었다는 것이어서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는 관
박진희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
2013.06.12 09:28:00
100억 전기료 어디다 썼나 봤더니 '이럴 수가!'
[초록發光] 원자력문화재단을 폐지해야 하는 이유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원자력 공모전'으로 또다시 구설수에 올랐다. 전국의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원자력을 주제로 한 글과 그림을 공모하면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교육부 장관상 그리고 13개 시·도교육청 교육감상을 수상한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녹색
이강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2013.05.29 09:08:00
총칼보다 무서운 '은밀한 독재'를 아십니까?
[초록發光] 그들이 미래를 정하는 방법
노자가 쓴 도덕경을 보면 이런 구절이 나온다. "도를 잘 행하는 사람은 백성의 지혜를 열어주는 것이 아니라 무지하게 만들었다. 백성을 다스리기가 어려운 것은 지혜가 많기 때문이니, 지혜로 다스리려고 하면 나라의 적이 된다." 노자야 백성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정치가
이진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
2013.05.16 09:33:00
내가 1년에 한 번 단식을 하는 진짜 이유
[초록發光] 단식하다 익힌 순환의 사고
세 달에 한 번 꼴로 돌아오는 '초록發光' 칼럼 쓰는 날이 다가왔는데, 마음이 너무 무겁다. 유난히 춥고 길었던 겨울을 버티고 칼럼 제목처럼 초록이 스스로 반짝일 것이라 기대했던 봄이 왔지만, 널뛰는 날씨 탓에 봄을 제대로 느낄 겨를도 없이 벌써 떠날 채비를
엄은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2013.05.01 10:29:00
핵의 3박자, 박근혜 손에 달린 한반도의 미래!
[초록發光] 핵의 공론화가 필요하다
한국과 미국이 2014년 3월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 협정의 종료 시한을 2016년으로 2년 연장하고, 대신 논의의 속도를 높여 3개월마다 정기적으로 협상을 개최한다. 알려져 있듯이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이 협상의 쟁점이다. 한편, 이명박 정부의 공론화위원회
이보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2013.04.24 09:40:00
1년 남은 박원순, '원순표 대못'을 박아라!
[초록發光] 마을, 에너지, 협동조합
근래 전화를 받는 일이 부쩍 많아졌다. 지인들 뿐 아니라 안면 일식도 없는 누군가로부터 "동네에서 에너지 협동조합을 만들고 싶다, 햇빛 발전을 시도하고 싶다. 에너지 효율화 집수리 조합을 만들면 어떻겠냐?" 등 마을 안에서 에너지와 관련한 다양한 고민들을 쏟아내는
조보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2013.04.17 11:42:00
봉이 김선달 뺨치는 국토부 '영양댐 사기극'
[초록發光] 근거 없는 영양댐 건설 즉각 중단하라
이쯤 되면 '토건 중독증'이라고 해야 한다. 아무런 과학적 근거나 정책적 필연성도 없고, 최소한의 합리성이나 절차적 정당성도 없다. 심지어 다른 부처에서 말리는데도 막무가내로 토건 사업을 밀어붙이면서 이 사업으로 지역이 발전된다고 강변하는 것은 중증의
이상헌 한신대학교 교수
2013.04.10 11:42:00
577개 중 6개 폭발! 이 자동차를 타는 바보는?
[초록發光] 정치, 후쿠시마 경고에 답하자!
후쿠시마 핵발전소 때문에 인생이 바뀐 사람들이 있다. 평범한 주부가 우리가 먹는 먹을거리 방사능 문제를 조사해서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 '탈핵'에 꽂혀서 전국을 돌며 강연을 하러 다니는 대학 교수도 있다. 여러 모임들도 많이 생겼다. '탈핵법률가모임 해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2013.04.03 10:16:00
후쿠시마 지옥에서 움트는 희망의 새싹
[초록發光] 탈핵 에너지 전환 기본법의 상상력
후쿠시마 핵 사고의 2주년이 지났다. 매일, 매시간, 공포와 우려를 가지고 뉴스를 지켜보던 당시의 긴박함은 사라지고, 이제 각자의 일상으로 되돌아간 느낌이다. 세계가 후쿠시마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는, 2년 전 단언(斷言)은 여전히 유효한 것일까?
한재각 베를린자유대학 환경정책연구센터 방문연구원
2013.03.20 10: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