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08일 06시 0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관세 불통'에 美 경제위기 우려 커지지만…트럼프는 골프 삼매경?
전 세계를 상대로 한 미국의 관세 부과 방침으로 인해 미국 주가가 하락하고 물가 상승 및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문제 해결을 위해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면서 자신의 결정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6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면적인 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
이재호 기자
'트럼프 관세' 전방위적 역풍에도…트럼프 "버텨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세계 10% 기본관세'가 결국 현지시간 5일 0시 1분(한국시간 지난 5일 오후 1시 1분) 발효됐다. 그러나 정식 발효 이전부터 미 증시가 급락하고 국채 금리가 떨어지는 등 경제적 부작용이 나타났고, 미 연준 의장에서부터 전직 대통령, 시민단체 등이 일제히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의 무역전쟁 상대방인 중국은 물론 유
곽재훈 기자
뉴욕타임스 "尹 결코 이길 수 없는 싸움…한국 민주주의 강한 회복력"
박상혁 기자
휴전협상 중인데…러시아, 키이우에 또 공습
연합뉴스
미얀마 지진 사망자 3500명 육박…"건물 5200여채 피해"
이스라엘군, 가자 남부 '모라그 축'에 결국 지상군 투입
수용소 여성을 성노예로 만든 나치 친위대 '위안소'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외신 "윤 파면, 한국 '속수무책' 해소…극우 표층화·표현의 자유 훼손은 과제"
김효진 기자
尹 파면에 아쉬운 日? NHK "尹, 징용문제 해법 제시했는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대해 각국 주요 언론들도 이를 속보로 타전했다. 특히 한일 관계에 남다른 공을 들였던 윤 전 대통령의 행적을 반영이라도 하듯, 일본 공영방송 NHK는 그가 한일 관계 개선에 힘써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4일 NHK는 탄핵심판을 전하며 윤 전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전후 최악'이라고도 불리던 한일관계 개선에
트럼프, 동남아 관세로 중국 '우회 생산' 막았지만…"각국 중국과 '조용히' 교류 늘릴 듯"
트럼프발 관세 폭탄, 한미 FTA 폐기 수순? "한국도 FTA 틀 안에서 미국과 협상해야"
가자 재봉쇄 한 달 "모든 빵집 문 닫아"…유엔 "남은 식량 2주가 한계"
'기밀 술술' 트럼프 정부, 또 보안 사고…개인 이메일로 업무 수행
미 행정부의 안보 관련 주요 인사들이 민간 모바일 메신저에서 예멘 후티 반군 공격 계획을 논의하고 민간인을 대화방에 초대하는 등 보안 사고를 일으켜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에는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인 지메일(Gmail)로 업무를 수행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정부 출범 석 달도 되지 않아 연이어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서 주요 당국자들의 보안의식에 문제가 있는
트럼프, 르펜 유죄에 '동질감'…대서양 넘은 '법치 공격'
트럼프 "3선 농담 아냐·방법 있어"…헌법 무시에 '경악'
수용소 적응 힘들었던 지식인들, 끝내 '무슬림' 좀비로 숨졌다
미얀마 지진, 원자폭탄 334개 맞먹는 힘 방출…사망자 10만 명 넘을 가능성도
미얀마에 규모 7.7 강진이 발생하면서 사망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최대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29일(현지시간) 미국 방송 CNN은 28일 발생한 지진으로 지금까지 16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군사 정권이 밝혔으나, 전문가들은 실제 사망자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측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미
중국 경제, '피크' 찍었나…기술 발전에도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는
이유정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우크라戰 불똥 협동조합 체제로 극복한 독일 축구팀 샬케 04
이종성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
유학생 이어 유럽 관광객까지 구금한 트럼프 정부…"붙잡힐라" 미 여행 취소 줄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