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최종편집 2025년 07월 13일 10시 08분

  • 제보
  •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프레시안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스페셜
  • 협동조합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검색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스페셜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 협동조합

검색

"송기원"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32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정렬
  • 최신순
  • 정확도순
기간
~

그래도 노벨상 0순위는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요즘 과학, 특히 생명과학의 추세에 약간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은 그 내용을 잘 모르더라도 적어도 대부분 '크리스퍼(CRISPR)'로 불리는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10.06 12:02:49

"신이 아니라 내가 생명의 창조자!"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합성 생물학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한 이전의 글들을 읽으며 마음이 불편하셨던 분들이 계셨을 것이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아마도 '합성 생물학'이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9.29 07:40:14

'좀비 바이러스' 유출? <부산행> 현실이라면…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2012년 6월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 하나는 전 세계를 긴장시켰다. 이 논문은 조류를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9.01 10:37:23

"넌 PC 조립하니? 난 생명체 만든다!"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컴퓨터 공학이나 정보 기술(IT)의 급격한 발전 뒤에는 실리콘 밸리 부근에서 차고를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8.26 07:29:54

16년 전에 죽었던 생쥐가 살아났습니다!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마이클 크라이튼의 원작을 1993년 스필버그 감독이 영화로 만든 쥬라기 공원은 호박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8.04 08:42:43

이 청바지는 옥수수로 만들었습니다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어느 나라에서든 최근 발표되는 미래의 경제 패권을 가를 신기술에는 반드시 합성 생물학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7.28 07:57:02

'유전자 조작' 연어는 어떻게 탄생했나?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지난 글에서 공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생명체를 DNA라는 소프트웨어가 담긴 유전자 회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7.21 09:22:13

생명 블록 쌓기, 바이오브릭을 아시나요?

우리는 과학기술을 대할 때 흔히 두 가지의 상반된 태도를 보인다. 한 가지 일반적인 태도는 지금 우리가 해결할 수 없는 인류의 난제를 과학기술의 발전이 모두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순진하고 막연한 희망이다. 또 다른 태도는 예를 들어 '합성 생물학'처럼 새로운 개념의 과학기술이 빠른 속도로 다가올 때 갖는 막연한 불안감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거부감이다. 이 두 가지 상반된 태도는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고, 한 개인 안에 혼재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는 쉽게 과학기술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갖는다. 특히 인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7.14 07:32:49

기계도 만드는데, 생명은 왜 못 만드나?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 ①인간, 드디어 조물주와 맞짱 뜨나?, ② 이것은 인간이 '직접 만든' 생명체입니다) 과학 연구를 영어로 'res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7.07 10:02:31

이것은 인간이 '직접 만든' 생명체입니다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연재를 시작합니다.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생화학)가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관련 기사 : 인간, 드디어 조물주와 맞짱 뜨나?) 최근 미국에서 인간 유전체 합성 계획이 발표되면서 다시 관심을 끌고 있는 합성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2016.06.30 07:32:35

  • ◀ 처음
  • 1
  • 2
  • 3
  • 4
  • 마지막 ▶
  •  
  •  
  •  
  •  
  •  
  •  
  •  
프레시안
  • 조합소개
  • 기사제보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방침
  • RSS

프레시안협동조합 | 사업자번호 101-81-69524 | 대표 전홍기혜
제호: 프레시안 | 신문사업·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서울아00083 | 창간 2001.9.24 | 등록 2005.10.12 | 발행인·편집인 전홍기혜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봉규
(04043)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73 BK빌딩 101호(양화로 10길 49 BK빌딩 101호) | 02-722-8494 | FAX 02-6008-8400

Copyrightⓒ Pressian Coo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