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18일 12시 29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정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정치개혁의 목표다
[복지국가SOCIETY] '시민의회'를 통한 정치개혁을 생각한다
질문1. 한국 사회는 정치개혁이 필요한가? 질문2. 한국 사회에서 가까운 미래에 정치개혁이 성공할까? 개인의 의견을 말하자면 질문 1에 대한 대답은 90% 이상이 '예'로 답할 것 같고, 질문2에 대한 대답은 10%가 안되는 사람들이 '아니오'로 답할 것 같다.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실제로 주변에 물어본 결과, 나의 예상과 비슷한 대답을 많이 들을
이지헌 디스커스온 대표
2024.01.08 22:09:03
리영희, '한국 민주화운동의 마지막 수인(囚人)'
[다시! 리영희] 와다 하루키와 리영희
도쿄대학의 30대 젊은 교수였던,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열성적으로 지원했던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가 리영희 선생과의 오랜 인연을 회고하는 글을 보내왔습니다. 와다 교수는 원문에서 경어와 존칭을 썼지만 평어로 바꾸고 존칭은 대부분 생략했습니다. 편집자 리영희 선생의 병문안을 서울에서 하고 마지막 인사를 한 때로부터 벌써 13년의 세월이 흘렀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2024.01.08 16:03:28
AI로 정치인 대체하자? 'IT 강령술사'가 등장한다
[신년특별기고 - 송경호의 'AI 정치' ①] AI로 정치를 대체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정치 역시 예외는 아니다. 인간의 정치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 인공지능에게 정치를 맡긴다면 어떻게 될까? 국회의원 총선거가 치러지는 2024년을 맞아, <프레시안>이 정치학자 송경호 박사와 함께 준비한 이 특집 연재는 인공지능에 의한 정치가 어떻게 구현되고 작동될 것인지
송경호 연세대 정치학과 BK21 박사후연구원
2024.01.08 05:01:34
끓는 물에 동상 손가락 넣은 '경성크리차' 731부대, 그 숫자에 '엄지 척' 아베
[김재명의 전쟁범죄 이야기 53] 생체 실험과 세균전쟁 ②
"몸 안으로 페스트균이 주입된 중국인은 고통 때문에 눈을 크게 뜨고 양팔로 허공을 쥐어 뜯으며 끊임없이 비명을 질렀다. 이 빈사(瀕死)의 절규에 신경 쓰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이런 일은 다반사였기 때문이다. 사람들을 감옥 건물 바깥으로 끌어내 영하 20도 이하로 인공적으로 바람을 날려 맨손을 얼렸다. 그런 다음 작은 몽둥이로 동상에 걸린 손을 작은 널빤지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2024.01.06 14:31:28
1000년 전 고려거란전쟁, 2024년 한반도와 다르지 않은 이유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고려‧거란 전쟁으로 본 2024년 한반도 국제정세와 독도문제
지난해 11월부터 방영된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은 공영방송 50주년 특별 기획 드라마로 제작됐다. 드라마는 강조의 반란으로 목종이 폐위되고 현종이 즉위하는 정치적 혼란기의 고려를 당시 동북아 패권국 거란이 침공하면서 시작된다. 권신 김치양과 목종의 어머니 천추태후의 목종 폐위 음모는 궁중 암투를 넘어 고려를 흔들었고 이에 반발한
이신욱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 인문사회연구소 HK 연구교수
2024.01.05 15:29:16
尹 정부 역행에 맞서, 2024년 '여성파업'을 제안합니다
[역행하는 시대, 우리가 멈춘다] 세계 여성파업의 물결, 이제 우리도 첫발을 떼자
2023년 아이슬란드 여성파업을 두고 한국 언론은 환호했습니다. 차별과 폭력, 저임금과 착취에서 벗어나려 한 아이슬란드 여성들의 파업은 성별임금격차를 비롯한 성차별을 개선하는 힘이었습니다. 한국은 어떻습니까.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말을 정책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윤석열 정부는 여성노동자들의 자리마저 삭제하려 합니다. 여성노동자들이 싸워 쟁취한 성과마저
홍희자 사회주의를 향한 전진 여성운동 위원회 활동가
2024.01.05 14:19:41
김포의 서울 편입 나오는데…2024년 지방 시대 가능할까?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윤석열 정부 지방 정책, 구체성 갖춰야
지역균형발전과 전망 윤석열 정부는 6개 국정목표와 120대 국정과제를 선언했으며, 이 중 지역균형발전은 국정목표 중 하나로 상정됐다. 이를 위해 윤석열 정부는 지방분권을 강화하고 지역주도형 균형발전을 추진했다. 구체적으로는 지역별 혁신성장 역량진단과 균형발전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로 맞춤형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려는 시도였다. 하지
이병민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024.01.05 08:56:39
온스테이지와 향음악사의 마지막을 보면서
[음악의 쓸모] 나이 든 평론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온스테이지>가 끝났다. 2023년 11월 16일, 페퍼톤스의 영상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 온스테이지는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운영해 온 사회공헌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로 음악인들의 영상을 찍어 대중에게 공개하는 플랫폼이었다. '숨은 음악, 세상과 만나다'라는 슬로건처럼 대중에게는 덜 알려진 음악인들을 알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2010년 1
김학선 대중음악평론가
2024.01.05 08:38:13
한동훈 식 말하기, 원조는 <공공의 적> 강철중?
[박해성의 여의대교] 정치인의 화법
정치인의 화법은 그의 정체성과 정치적 방향성을 고스란히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존 F. 케네디는 미국의 개척정신을 상징하는 정치인입니다. 달 착륙 연설이 대표적인데요, 그는 여기서 프론티어로서의 비전을 분명하게 제시했습니다. "우리는 이번 10년 안에 달에 가서 다른 일들을 하기로 했습니다. 그것이 쉬워서가 아니라, 그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We choo
박해성 티브릿지 대표
2024.01.05 08:37:58
김정은의 통일문제 언급, '북한 독립' 선언일까
[현안진단] 남북관계, 국가관계로 바뀌나
노동당 제8기 9차 당 중앙 전원회의, 무엇을 말하고 있나 북한은 지난 26일부터 30일까지 <당 중앙위원회 제8기 9차 전원회의>를 개최하고 결과 문헌을 출판하여 당 중앙지도기관 성원에게 배포했다고 전원회의 종료 하루 만에 보도(2023. 12. 31)했다. 정례적인 연말 전원회의는 당해 년 사업을 결산하고 다음해 목표를 제시하며, 때로는 그
평화재단
2024.01.04 09:58:01
오늘의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