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20일 10시 2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건강한 생활습관'이라는 것, 누구나 가질 수 있을까?
[서리풀 연구通] "국가의 건강정책 및 가족과 지역사회 같은 사회적 노력 병행되어야…"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라면 건강한 생활습관은 현대인에게 있어 만병통치약과 같다. 어떠한 병이든 치료를 위해서는 생활습관 관리를 기본 바탕으로 전제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관리가 증상 완화의 핵심인 만성질환의 경우 생활습관의 관리는 더욱 더 중요하다. 이런 관점이 보편화되면서 만성질환이 악화되거나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그 책임이 환자 개인에게 돌아가는
박여리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10.14 07:13:14
시골 노인의 의료 이용은 가치가 없다?
[서리풀 연구通] "전국민 건강보험, '누구나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어야…"
정부가 2018년 발표한 공공보건의료 발전종합대책은 그동안 공공의료를 취약지역, 취약계층에게 초점을 맞춘 보완적 역할로부터 모든 국민에 대한 필수적 의료 제공이라는 보편적 역할로 확장한 출발점이었다. 그 이후 2019년은 지역의료, 2020년은 감염병 대응을 키워드로 한 공공보건의료 강화계획을 연이어 발표했다. 아무 시도도 없는 것에 비하면 낫다고 할지도
박유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10.07 07:59:31
'위드 코로나' 시대, 미등록이주민을 생각하다
[서리풀 연구通] "'코로나19 검사나 백신접종 시 추방 않겠다'는 메시지 필요"
내국인 1차 접종 완료율 70% 넘는데, 외국인 백신접종률은? 9월 29일 기준, 한국 전체 인구 대비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률이 75%를 넘겼다. 2차 접종률도 10월 말이면 70%를 넘어설 것이란 예측이 주를 이룬다. 이에 비해 외국인의 코로나 발생 현황은 어떨까? 9월 28일 발표된 정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확진자 수는 6월 말(26주) 이후
박주영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9.30 07:18:46
코로나19가 초래한 의료공백, '생존 사슬'이 끊어지다
[서리풀 연구通] 코로나19가 초래한 응급의료 사망률 증가와 지역응급의료 정보체계 구축의 필요성
코로나19로 인하여 필수의료서비스 제공이 중단되는 일이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 필수의료서비스는 생명 유지와 건강에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의료서비스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의 조사 결과,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필수의료서비스가 부분적으로 중단되었는데, 그 이유로는 봉쇄 조치 등으로 인한 병원 방문의 감소, 재정적 어려움, 코로나 치료로 인한 병원의 환
김영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9.23 09:58:30
연결된 세상, 코로나19 백신으로 일상을 되찾으려면…
[서리풀 연구通] 백신 형평성의 과학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어느덧 한국의 1차 접종자 비율이 미국과 독일의 1차 접종자 비율을 넘어섰고, 세계에서 가장 먼저 접종을 시작한 나라인 영국, 이스라엘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 바로 가기 : ) 델타 변이가 우세해지면서 백신의 효과가 떨어졌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예방접종을 통해 사람들의 고통과 죽음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사
연두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9.16 10:03:32
무엇이 코로나19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나?
[서리풀 연구通] "개인 방역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세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의 누적 확진자 수가 2억 2000만 명을 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26만5423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2021년 9월 8일 기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었지만 우리나라의 백신접종 완료률은 아직 36.6%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와 돌파 감염 등이 발생하고 있다.
김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9.09 10:09:15
더 이상 의료 인력에게 '감사'만 하지 말자
[서리풀 연구通] "정부는 더 늦지 않게, 지금 당장 의료현장 요구에 응답하라"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과 정부의 협상이 금일 타결되었다. 더 이상 의료 인력의 헌신에 의존하지 않고 조속히 처우 개선과 적절한 보상안을 마련하길 희망하는 바이다. 이와 관련하여 오늘은 미국 의료혁신실행정책연구센터의 아파이딘 박사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직업환경의학회지>에 발표한 코로나19 판데믹에서 일차의료종사자의 소진에 대한 연구를 소개
이오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9.03 09:52:07
코로나 팬데믹이 앞당긴 원격의료, 건강격차 확대시킨다
[서리풀 연구痛] "원격의료, '형평성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해야…"
코로나19 팬데믹은 여러 나라에서 원격의료 도입 논의를 촉진시켰다. 실제로 2020년 미국 보건부는 저소득층 및 고령자를 위한 의료급여 프로그램에서 기존의 제한적인 원격의료 사용을 한시적으로 확대했다.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 바이러스 노출로부터 의료진과 환자 모두를 보호하고, 환자의 진료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오늘 소개하는 연구는 '형평성 관점'에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8.26 12:12:42
올림픽은 생활체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까?
[서리풀 연구通] "다양한 인구 구성원이 여러 종목을 하는 것이 미디어에 노출돼야"
지난 8일 '2020' 도쿄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시작은 할 수 있을까 싶었고, 코로나19 상황이 이렇게 심각한데 올림픽 개최를 강행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비롯한 여러 비판이 있었지만, 막상 시작하니 올림픽 경기를 보며 잠시나마 장기화된 코로나19의 괴로움을 잊고 스포츠 경기의 쾌감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동안 올림픽은 엘리트 체육인을 위한 축제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8.19 09:53:04
법제도의 여성 차별이 여성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은?
[서리풀 연구通] "낮은 소득 수준과 제도적 성 차별이 여성 자살률 촉발한다"
자살 현상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남성의 자살률이 여성보다 월등히 높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행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 당 남성 자살률은 13.7명인데 반해 여성은 7.5명으로 남성의 자살률이 2배 가까이 높았다.(☞ 바로 가기 : ) 자살률에서의 성 차는 남성 대 여성의 자살비(Male : Female rati
송리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1.08.12 08:5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