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23일 00시 32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尹 파면에 아쉬운 日? NHK "尹, 징용문제 해법 제시했는데…"
英 가디언 "윤석열, 내란죄로 별도 형사 재판시 무기 또는 사형"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대해 각국 주요 언론들도 이를 속보로 타전했다. 특히 한일 관계에 남다른 공을 들였던 윤 전 대통령의 행적을 반영이라도 하듯, 일본 공영방송 NHK는 그가 한일 관계 개선에 힘써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4일 NHK는 탄핵심판을 전하며 윤 전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전후 최악'이라고도 불리던 한일관계 개선에
이재호 기자
2025.04.04 15:41:09
트럼프, 동남아 관세로 중국 '우회 생산' 막았지만…"각국 중국과 '조용히' 교류 늘릴 듯"
관세 미국에도 악영향·연결된 세계 경제 "침체 악순환" 우려…중·EU "대항조치", 영·캐 '안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이하 현지시간) 모든 나라에 10% 이상의 사실상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유럽 등이 보복을 예고하는 등 무역 전쟁이 본격화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관세 회피를 위해 생산지 이전을 시도하는 동남아 국가들에도 40% 이상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평가다. 이번 관세가 대미 수출국
김효진 기자
2025.04.04 06:03:46
트럼프발 관세 폭탄, 한미 FTA 폐기 수순? "한국도 FTA 틀 안에서 미국과 협상해야"
트럼프 "미국이 번영할 차례"라지만 물가 상승 예상되면서 각계에서 우려 목소리 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면제한 한미 FTA 협정이 있음에도 한국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멕시코가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기존 자유무역협정 틀을 지키는 방향으로 합의한 것을 참고로, 한국도 FTA를 살리는 방향으로 미국과 협의를 가져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2025.04.03 14:57:57
가자 재봉쇄 한 달 "모든 빵집 문 닫아"…유엔 "남은 식량 2주가 한계"
이목격자 "이스라엘에 살해된 구호 활동가 15명, 처형된 듯"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봉쇄 한 달이 지나며 가자지구의 식량난이 심화돼 이 지역 모든 빵집이 문을 닫았다. 구호품 진입 허용 촉구에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식량을 빼돌리고 있다는 기존 주장만 되풀이했다. 이스라엘은 유엔(UN) 직원을 포함해 지난달 의료·구호 활동가 15명을 살해한 사건 관련 유엔의 해명 요구에도 침묵을 지켰다. 주검 목격자
2025.04.03 06:06:29
'기밀 술술' 트럼프 정부, 또 보안 사고…개인 이메일로 업무 수행
힐러리 이메일 사용 비판한 마이크 월츠, 본인은 구글 이메일 사용
미 행정부의 안보 관련 주요 인사들이 민간 모바일 메신저에서 예멘 후티 반군 공격 계획을 논의하고 민간인을 대화방에 초대하는 등 보안 사고를 일으켜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에는 구글의 이메일 서비스인 지메일(Gmail)로 업무를 수행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정부 출범 석 달도 되지 않아 연이어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서 주요 당국자들의 보안의식에 문제가 있는
2025.04.02 22:31:45
트럼프, 르펜 유죄에 '동질감'…대서양 넘은 '법치 공격'
르펜, 프 법원서 횡령 유죄 받아 대선 출마 막혀…머스크·유럽 극우 등 판결 비판
프랑스 극우의 얼굴인 마린 르펜(56) 국민연합(RN) 전 대표가 유럽의회 자금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차기 대선 출마가 금지됐지만, 지난해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죄 판결을 받은 뒤 오히려 사법부를 공격해 법치 신뢰를 흔든 탓에 프랑스 또한 유사한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 일론 머스크 등 미 정부 인사들은
2025.04.02 07:02:15
트럼프 "3선 농담 아냐·방법 있어"…헌법 무시에 '경악'
전문가 "법에 3선 '꼼수' 여지 없다" 반박…트럼프 "휴전 타결 안되면 러에 2차 관세"·이란엔 "폭격" 위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이하 현지시간) 미 헌법이 금지한 대통령 3선 재임 "방법"이 있다며 이러한 주장이 "농담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러시아산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경고하기도 했다. 이란엔 새로운 핵협상을 요구하며 "폭격"을 위협했다.
2025.04.01 05:09:55
수용소 적응 힘들었던 지식인들, 끝내 '무슬림' 좀비로 숨졌다
[김재명의 전쟁범죄 이야기 111] 독일의 전쟁범죄-홀로코스트 39
지난 주 글에서 오스트리아 유대인 장 아메리, 이탈리아 유대인 프리모 레비, 이 두 지식인이 나치의 전쟁범죄를 용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음을 살펴봤다. 이들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고난의 시간을 보냈던 이른바 '홀로코스트 생존자'이고, 훗날 '자유로운 죽음'을 말하면서 스스로의 결단에 따라 죽음을 앞당겼다는 공통점을 지녔다. 의미 있는 또 다른 공통점을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2025.03.31 11:58:00
미얀마 지진, 원자폭탄 334개 맞먹는 힘 방출…사망자 10만 명 넘을 가능성도
군사정권, 지진 후에도 반대세력에 공습…미얀마 민족통합정부, 2주간 휴전 제안
미얀마에 규모 7.7 강진이 발생하면서 사망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최대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29일(현지시간) 미국 방송 CNN은 28일 발생한 지진으로 지금까지 16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군사 정권이 밝혔으나, 전문가들은 실제 사망자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측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미
2025.03.30 12:12:28
중국 경제, '피크' 찍었나…기술 발전에도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는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양회와 중국 경제 : 성장 한계인가, 새로운 도약인가?
중국에서 매년 3월 개최되는 양회(兩會)인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는 경제 발전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치 행사다. 2024년에 이어 올해 2025년 양회에서는 '신품질 생산력(新質生產力)'과 '과학기술 자립자강(科技自立自強)'이 강조됐는데, 이는 중국 정부가 외부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기술 혁신을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려 한다는
이유정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25.03.29 15:4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