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9월 17일 15시 06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마약상이 전투원?'…미, 또 베네수 선박 공습해 3명 사망
이달 두 번째 공습…마약밀매 증거 제시 없어
미국이 마약운반선이라고 주장하는 베네수엘라 선박을 해상에서 또다시 공격해 3명을 살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평시 범죄 단속에 전시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자국 선박 공습이 "침략"이라며 반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이하 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카리브해와 라틴아
김효진 기자
2025.09.16 20:29:04
이스라엘, 트럼프 승인 하에 가자지구 지상군 투입…점령 작전 시작
아랍 국가들, 이스라엘 유엔 회원국 자격 정지 추진…공동 방위 체계 활성화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한 지상 공격을 개시했다. 사실상 미국의 승인 하에 이뤄진 이번 공격으로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1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방송 CNN은 두 명의 이스라엘 관리를 인용해 이스라엘의 가자지구에 대한 지상 공격이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이번 공격이 가자지구 가자시티의 외곽에서 시작됐다
이재호 기자
2025.09.16 19:30:40
전승절보다 더 예의주시 해야 할 SCO 정상회의, 중국은 무엇을 구상하고 있나
[기고] SCO정상회의 및 전승절 열병식의 전략적 메시지와 한국 외교
2025년 9월, 중국은 톈진과 베이징이라는 두 무대를 통해 세계를 향한 메시지를 발신했다. 상하이협력기구(SCO) 톈진 정상회의에서는 '다극화 세계'를 공식 천명했고, 베이징의 항일 승리 80주년 열병식에서는 '군사적 존재감'을 시각적으로 드러냈다. 외교와 군사, 제도와 역사를 결합한 메시지를 통해 중국은 미국 주도의 규칙 기반 질서에 맞서 국제질서의
최재덕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09.16 15:25:35
760조 원 약속하고 관세 15%로 낮춘 일본…한국도 수백조 갖다 바쳐야 하나
미, 16일부터 일본산 자동차 관세 15%로 인하…여한구 본부장 "우리도 빨리 적용되도록"
미국이 오는 16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일본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를 15%로 하향 조정한다. 일본의 자금으로 투자하는 사업의 이익을 미국이 대부분 가져가는 조건으로 합의된 결과다. 막판 무역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한국도 일본의 사례를 그대로 따르게 될지 주목된다. 15일 미 정부는 연방관보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본산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15% 관
2025.09.16 13:59:20
트럼프식 '표현의 자유' 이중잣대…혐오 발언 옹호하더니 커크 암살 비하 땐 '해고'
미 공화당, 커크 애도 않는 게시글 찾아 신상 공개…"검열" 비판했던 SNS 폭력 발언 단속도 주문
지난주 미국의 저명한 우익 활동가 찰리 커크가 암살된 뒤 그의 죽음을 애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직장에서 해고되는 사례가 발생하며 도널드 트럼프 정권이 내세운 소위 '표현의 자유'가 이중잣대로 적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급진 좌파" 책임을 주장하는 데 이어 공화당 한 의원은 애도의 뜻이 담기지 않은 온라인 게시글 작성자의 신원을
2025.09.16 06:05:41
한국인 구금 이후 커지는 대미 투자 우려에 진화 나선 트럼프 "해외 인력 환영"
"외국 국가나 기업의 미국 투자, 겁주거나 의욕 꺾고 싶지 않아"…반(反)이민 성향 짙은 지지층 설득한 듯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등 미 정부기관의 한국 기업 직원 구금 이후 미국 투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의 투자 및 전문 인력들을 원한다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1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의 본인 계정에서 "외국 기업들이 매우 복잡한 제품, 기계, 그리고 여러 가지
2025.09.15 10:04:18
애꿎은 유럽 탓하는 트럼프, 러시아산 석유 수입 중단 압박했지만 이미 러시아산 수입 3% 밖에 안해
러우 전쟁, 집권 하루만에 종결시키겠다더니 9개월째 진전 없어… 트럼프, 러시아 석유 수입하는 인도에 관세 압박했지만 통하지 않아
집권하면 24시간 안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겠다고 공언했지만 9개월이 넘어가는 시점에서도 약속을 못지키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 국가들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이 문제라면서, 수입을 막으면 러시아에 대한 대대적인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13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의 본인 계정에 북
2025.09.15 00:04:27
'마피아' 트럼프보다 더 위험한 '극우 인터내셔널'에 주목하라
[인터뷰] 안병진 경희대 교수 "정글이 된 국제사회, 한국이 가진 강점 잘 활용해야"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전후로 한국에 널리 알려진 모스 탄이나 고든 창 등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치는 영향은 그렇게 크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마가'(MAGA, Make America Great Again) 인플루언서인 로라 루머나 트럼프의 오랜 책사이자 팟캐스트 '워룸'을 운영하는 스티브 배넌 등이 트럼프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극우 인사들이죠.
전홍기혜 기자
2025.09.13 18:59:50
범죄자들을 사랑한 '감옥의 천사', 그녀가 남긴 유산은…
[김성수의 영국이야기] 19세기 영국 교도소 개혁의 어머니, 엘리자베스 프라이
19세기 초 영국의 감옥은 말 그대로 지옥이었다. 수감자들은 짚더미 위에서 굶주리고, 간수들은 뇌물을 받고 눈감아주는 게 일상이었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한 방에 처박아두고, 술에 취한 수감자들이 도박을 벌이며 난동을 피우는 모습은 일상다반사였다. 그런데 어느 날, 퀘이커교도 여성 한 명이 런던에 있는 뉴게이트 감옥에 나타났다. 바로 엘리자베스 프라이(El
김성수 <함석헌 평전> 저자
2025.09.13 17:59:36
"현대 책임이다. 적절한 비자 요청했어야"…'적반하장'에 '뒤끝'까지 부리는 트럼프 행정부
러트닉 상무장관 발언에 미국 매체도 "현실성 떨어져…상무부 장관에게 전화해 비자 얻어낼 수 있을지도 불분명" 지적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국인들 구금 사태는 이들이 적법한 비자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한국 기업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적법한 비자를 받을 수 없는 구조적 문제는 언급하지 않아 미국 내에서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1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매체 <악시오스>는 "지난주 ICE(이민세관단속국)의 단속을 받은
2025.09.12 11:4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