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2일 19시 05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굽따 시대 '황금기'의 주인은 누구인가?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10>
종교가 인민의 삶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다만 자기 만족을 위한 신앙 행위일 뿐이다. 지금 한국에서의 종교는 어떠한가? 그 안에 있는 목사, 신부, 중, 그들의 삶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일인당 국민소득이 삼만 불을 향하고 있다는 지금, 88만원 세대가 나라
이광수 부산외국어대 교수
코스모폴리탄의 역사를 통해 대중화의 힘을 읽는다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9>
마우리야 제국이 붕괴된 후 인도는 오랫동안 마우리야와 같이 거대한 제국의 탄생을 보지 못했다. 중부에서는 브라만들이 나라를 세워 아쇼까의 흔적을 지우려 애를 썼고, 남부에서는 마우리야가 문명을 전파해 준 덕에 갠지스 강 유역의 선진 철기 문명이 꽃을 피우기 시작
아쇼까, 기득권에 도전하고 좌절하다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8>
북부 인도에서 국가가 발생한 기원 전 6세기로부터 약 200년이 지나면서 최초의 통일 제국이 등장하였다. 마우리야 제국. 개조 짠드라굽따 마우리야는 지금의 아프가니스탄에서부터 인도아대륙의 남쪽까지 대부분을 무력으로 통일하여 명실상부한 제국의 기반을 다졌다. 그렇
불교사를 통해서 본 역사에서의 '발전'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7>
대중이 원하고, 그들과 함께 하고, 그들 속으로 들어가는 것. 그래서 규모도 커지고 성과도 화려하게 나온다고 해서 과연 '발전'이라 할 수 있는가? 인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성장하는 것도 발전이라 해야 하는가? 역사에서 '발전'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인
기원전 6세기, 역사에서 '포스트'의 의미를 읽다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6>
한국의 역사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포스트(post)'에 대한 번역에 대해 생각해본다. 역사학은 당위가 아닌 사실을 시간의 틀 안에서 다루는 종합 학문이다. 따라서 탈(脫)과 이후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포스트를 역사학에서는 '후(後)'로 번역해야
베다, 역사의 시원이 갖는 역사성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5>
고대사 해석의 문제는 근대성의 문제와 떼려야 뗄 수 없다. 그 둘은 전혀 별개의 것이 아님에도 역사학계에서는 그 둘이 마치 별개의 것인 양 간주한다. 그래서 한국 대학의 사학과 대부분에서는 고대사와 근현대사를 하나로 강의하는 교과목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렇지만
인더스문명을 둘러 싼 역사전쟁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4>
인도의 역사는 인더스 문명으로부터 시작한다. - 사실, '문명'이라는 용어는 '야만'에 대한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가치 중립을 표방하는 용어로는 옳지 않다. 그래서 역사학에서는 '다양함'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 '문화'를 선호한다.
고대 인도사를 누가 기술하였는가?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3>
인도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근대 유럽의 발전과 맥을 같이 한다. 유럽 사람들은 16세기부터 시작한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의 삼각무역을 통해 자본을 축적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아메리카 대륙으로부터 은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축적된 자본 덕에 18
역사는 신화로 물들고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2>
실재하는 역사가 무의미하고, 그것이 갖는 신화만이 의미를 갖는 것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비일비재하였다. 그 유명한 아홉 살의 이승복 어린이가 실제로 "난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외쳤는지 아니면 조작되었는지에 대해 알아서는 안 된 시절이 있었다. 그때는 그가 아홉
왜 인도사로 한국사회를 논하려 하는가?
[이광수의 '인도사로 한국 사회를 논하다'] <1>
결국 이 연재는 두 가지를 위해 기획되었다. 우선은 한국 시민들에게 역사 인식의 다양함을 제시해주고자 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인도사를 쉽게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의도하는 바가 있다면, 역사학의 내부 소통과 그 이후 대중화를 꾀하는 데 일조를 하고 싶은
이광수 부산외국어대 교수, 인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