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18일 23시 36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요즘 학생운동은 끝났지'라는 말, 여성파업으로 반대한다
[역행하는 시대, 우리가 멈춘다] 역행하는 캠퍼스, 돌파하는 여성파업
2023년 아이슬란드 여성파업을 두고 한국 언론은 환호했습니다. 차별과 폭력, 저임금과 착취에서 벗어나려 한 아이슬란드 여성들의 파업은 성별임금격차를 비롯한 성차별을 개선하는 힘이었습니다. 한국은 어떻습니까.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말을 정책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윤석열 정부는 여성노동자들의 자리마저 삭제하려 합니다. 여성노동자들이 싸워 쟁취한 성과마저
유지원 학생사회주의자연대 활동가
2024.02.15 14:56:30
클린스만이 한국 축구 망친다고? 그를 임명한 건 정몽규다
[정희준의 어퍼컷] 축구협회가 외국인 감독을 좋아하는 이유는?
대한축구협회가 아수라장이다. 클린스만 국가대표팀 감독의 경질 요구가 빗발치는 가운데 정작 당사자는 아시안컵 참패의 평가도 외면하고 입국 이틀만에 거주지 미국으로 가버렸다. 축구팬들은 협회 앞에서 시위하고, 한 시민단체는 정몽규 회장을 강요, 업무방해,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했다. 감독 경질을 놓고 벌이던 논쟁이 14일부터는 선수들 간 물리적 충돌 문제로
정희준 문화연대 집행위원
2024.02.15 09:58:12
윤석열·이재명·한동훈…. 우리는 그들을 모른다?
[박해성의 여의대교] '이미지 정치'의 뒷면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미지 정치'에 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제법 잘 안다고 생각하는 정치인들, 예를 들어 윤석열 대통령이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또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우리는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요? 우리는 그가 어떤 철학을 가졌는지, 그의 정치적 신념은 무엇인지, 그가 추구하는 정책의 실체는 어떠한지를 보고 그 정치인에 대해 호감을 느끼거나
박해성 티브릿지 대표
2024.02.15 05:03:42
트럼프 재집권하면 주한미군 철수하고 분담금 대폭 인상한다?
[정욱식 칼럼] 평화의 재발명(8) : 지혜로운 '트럼프 리스크' 대처법은?
'트럼프 리스크'가 지구촌을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최악의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1월 미국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한국이 감당하기 힘든 리스크가 몰아칠 수 있다는 것이다.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그가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또다시 정상회담에 나서 비핵화는 사실상 포기하고 북한의 핵무장을 묵인하면서 군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겸 한겨레평화연구소장
2024.02.15 05:03:09
'탈중국' 외친 윤석열 정부, 미 반도체 전쟁에 자동 동참?
[경제뉴스N시선] 윤석열 '가치외교'의 경제적 대가
장면 1. 지난해 12월,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이 네덜란드 정부의 대중국 수출통제 발효를 몇 주 앞두고 합법적으로 수출할 예정이었던 장비 3대의 선적이 중단되었다. 블룸버그, CNBC, 영국 가디언 등의 언론에 따르면 선적 중단의 배경에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압력이 있었다. ASML이 수출하려던 장비는 최신 장비가 아닌 심자외선(DUV) 장비였지만, 화
안진이 더불어삶 대표
2024.02.13 05:02:17
왜 김정은은 보수만이 아닌 '민주' 정권까지 디스했을까?
[정욱식 칼럼] 평화의 재발명(7) : 달라진 북한, 무력 흡수통일 실익 있나
무너진 남북관계와 위태로운 한반도 평화를 재설정하려면, 중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은 미래를 향해서만은 안 된다. 과거를 제대로 복기할 수 있어야 실효성 있는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23년 말에 개최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남한) 정권이 10여차나 바뀌었지만 '자유민주주의체제하의 통일' 기조는 추호도 변함없이 그
2024.02.12 04:24:30
인공지능을 정치에 어떻게 활용해 볼까?
[이세계 민주주의 교실⑤] AI 에포컬리즘과 민주주의
지구가 아닌 이세계에서 눈을 뜬 당신 앞에 주어진 과제는 '마법으로 드래곤 사냥하기'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모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도구'로서의 정치체제를 만드는 것이었다. '포스트 민주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의 청년들에게 민주주의는 어떤 의미인지, 세계의 청년들은 지금의 민주주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일종의 사고실험이었
송경호 연세대 정치학과 BK21 박사후연구원/레온 데로 산토스 베립(라이덴대)/박가영(연세대 정치외교학과)
2024.02.12 04:23:52
21세기 단군신화? 기업은 '시민'이 될 수 있을까
[이세계 민주주의 교실④] CSR을 넘어…기업에 '쑥과 마늘' 대신 무엇을 먹일까
송경호 연세대 정치학과 BK21 박사후연구원/아야잔 바이살로바(연세대 정치외교학과)/송채연(연세대 정치외교학과)
2024.02.11 21:00:03
'정체성 정치'의 역습…극우 이민혐오가 백인의 '정체성'?
[이세계 민주주의 교실③] 포퓰리즘 위협과 오염된 '정체성 정치'
송경호 연세대 정치학과 BK21 박사후연구원/말테 하네스 볼스키(마스트리히트대)/양종원(연세대 정치외교학과)/이준상(연세대 경제학과)
2024.02.10 20:00:42
한국이 식량부족? OECD 중 최하위권, 식량안보 지키려면?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인간안보의 주요 이슈 - 식량안보 <인간 개발 보고서>는 유엔개발계획(UNDP)이 매년 발표하는 보고서로 1994년 최초로 비전통적인 안보 개념인 '인간 안보(Human Security)' 개념을 명시했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정치, 군사적 안보를 넘어 인간 그 자체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환경안보, 건강안보, 에너지안보, 경제안보, 식량안보
김자영 원광대 HK+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
2024.02.10 20:00:22
오늘의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