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0월 31일 21시 59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용상 오르고, 침전 머물고'…與 "김건희 문화재 사유화, '주술' 소문도"
'경회루 동석' 前문화체육비서관, '용상' 질타에 "먼저 나와서 상황 몰랐다"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용상' 논란과 관련해 당시 경회루에 동석했던 황성훈 전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을 질타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전 코바나콘텐츠 대표의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 방문 등 '문화재 사유화' 의혹을 집중 추궁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명성황후 침전 방문과 관련해선 '주술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
한예섭 기자
2025.10.29 15:59:44
문체위 국감서 '김기춘 한국시리즈 VIP 초청' 논란
박수현 "KBO 사과해야"…체육계 폭력 등 고질적 비위 지적도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올해 한국시리즈 개막전에 박근혜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김기춘 전 실장을 VIP로 초청한 것으로 드러나 국정감사장에서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은 27일 대한체육회·국민체육진흥공단 등 대상 국정감사장에서 강수상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을 답변대로 불러내, 김 전 실장이 전날 한국시리즈
곽재훈 기자
2025.10.27 17:28:44
우리가 문학에서 기대하는 것들을 사탄보다 더 교활하게 담았다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라슬로 크라스나호르카이 <사탄탱고>
"어느 시월의 아침 끝없이 내릴 가을비의 첫 방울이 마을 서쪽의 갈라지고 소금기 먹은 땅으로 떨어질 즈음(이제 첫서리가 내릴 때까지는 온통 악취 나는 진흙 바다가 펼쳐져 들길로 다니기도 도시로 가기도 어려울 터이다), 후터키는 종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사탄탱고>(라슬로 크라스나호르카이 지음, 조원규 옮김, 알마) 국내에도 적잖은 독자층을
안치용 인문학자, ESG연구소장
2025.10.25 16:54:14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던 '게르만 부부의 결투'
[프레시안books] 에드워드 브룩 히칭 <사랑으로 읽는 세계사>
흔한 결혼 서약 문구 중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가 있다. 영원한 사랑의 맹세이자 한 번 성립된 결혼은 그만큼 깨기 어렵다는 사회 통념이 반영된 구절이기도 하다. 이혼이 제도적으로 보장된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문구는 상징적인 것에 불과하지만, 과거 게르만족은 이혼을 위해 이 구절을 말 그대로 실행해야 했다. 부부 쌍방이 무기를 들고 결투를 벌인
김효진 기자
2025.10.25 12:39:19
민주당의 역사 70년, 그리고 민주당의 다음 70년은…
[최재천의 책갈피] <민주당의 역사 1955 2025> 박혁 글
2008년 총선에서 낙선하고 난 그 해 여름, 김대중 대통령께서 나를 동교동으로 부르셨다. "첫째, 지역구인 성동을 벗어나지 마라. 부지런히 지역을 갈고 닦아라. 둘째, 여의도 얼씬거리지 마라. 셋째, 외국 유학이나 연수 갈 생각하지 마라. 그런 시대는 지났다... 민주당의 역사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해라." 하지만 청개구리였다. 민주당의 역사에 대한 책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5.10.25 11:00:48
한림출판사,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서 한국 국가유산 영문도서 공개
국가유산청 공동 기획, 외국인 눈높이 맞춘 K-헤리티지 콘텐츠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한림출판사(임상백 대표)가 세계 최대 도서 축제인 202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한국 국가유산 영문 시리즈를 공개했다. 1963년 창립한 한림출판사는 한국 문화를 영문으로 소개하는 도서를 꾸준히 출판해 왔다. 현재 한림출판사는 미국 현지 법인 운영과 독일, 아시아 지역 유통망, 아마존을 통해 한국 도서 해외 직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도서전에서 한
박세열 기자
2025.10.20 12:01:44
팝콘 먹으며 영화보는 관객들을 정확히 조준하는 <웨폰>의 공포
[이동윤의 무비언박싱] <웨폰>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중산층. 유산 계급과 무산 계급 중간에 놓인 계급. 자신의 노동력 만이 유일한 자산인 무산 계급과 대자본을 품고 살아가는 유산 계급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자산은 보유하고 있으나 그 자산 만으로 살아갈 수는 없고, 결국 자신의 노동력을 판매해야 하는 계층. 중산층에 대한 대략적인 정의다. 정의만 놓고 보면 대자본을 품지 않은 자들은
이동윤 영화평론가
2025.10.20 10:47:19
서열사회 최상위 윤석열 결말은? 성장중독증 한국, 자유를 찾자!
[리얼 톡-심층인터뷰] 김익한 교수 <철학, 자유에 이르는 길>
"제 아이가 어릴 때 저희 가족이 서울 강남에서 경기도 여주로 이사를 간다는 이야기를 들은 주변 학부모들이 이런 반응을 보였어요. '여주? 여주가 아니라 호주겠지.' 한국 사회에서는 어른이 되어도 자유롭지 못합니다. 책에서는 다섯 가지 정도를 원인으로 지적했는데, 딱 하나만 강조하고 싶습니다. 제발 서열사회를 깹시다. 이 서열사회의 최상위에 올라가면 윤석
전홍기혜 기자
2025.10.18 19:06:51
"킴리아보다 훨씬 효과 좋은 CAR-T세포 치료제 개발"
[최준석의 과학자 열전] 최은영 서울대의대 교수 인터뷰
최은영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의과학과, 면역학)는 "우리가 만든 CAR-T세포 치료제가 글로벌제약사 노바티스의 킴리아보다 종양 치료 효과가 훨씬 좋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지난 10월 2일 서울의대 내 연구실로 찾아간 내게 "동물실험에서 특정 혈액암(B세포 림프종)에 걸린 생쥐는 킴리아를 맞고 종양에서 회복하는 듯하다가 암이 재발했고, 96일째에는 다섯
최준석 과학저널리스트
2025.10.18 16:09:53
우리는 대만이라는 나라를, 심지어 나라 이름도 정확히 모른다
[이웃 나라 타이완] 대만이라는 이름을 가진 나라는 없다
타이완은 우리에게 몇 안 되는 적대적이지 않은 이웃 나라다. 그렇다고 아주 친한 나라도 아니다. 93년 단교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다. 한류열풍과 관광으로 끊어졌던 관계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한 나라에게도 좋은 이웃이 필요하다면, 그 첫걸음은 그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게 아닐까. 그런 관점에서 '이웃 나라 타이완'이라는 연재를 시작한다. 필자는 201
박범준 자유기고가
2025.10.18 16: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