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18일 23시 2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의약품 가격, 이렇게 높은 진짜 이유가?
[서리풀 연구通] 의약품 가격, 이렇게 높아야 할 이유 없다
오늘 저녁 밥상 위에 놓을 두부 한 모, 시금치 한 단의 가격이 100배 오른다면? 아마 장을 보러 간 사람들 모두가 대폭 인상된 가격에 놀라움과 분노를 금치 못할 것이다. 빗발치는 국민 청원으로 순식간에 청와대 홈페이지가 마비될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런 동요와 저항 없이 100배 이상 뛴 가격이 있다. 바로 항암제 가격이다. 1965년 100달러(약 11
수영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9.02.15 00:27:14
대학생 휴학 증가, 속을 들여다보니…
[서리풀 연구通] 대학생 정신건강 위험 수위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이 위험한 수준이다. 2018년 3월 전국 대학생 2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대학생의 불안 정도는 고위험 수준이 40%, 잠재적 위험 수준이 30%로 나타났다. 합치면 70%의 학생이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 중에서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학생도 1.6%에 달했다. 이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조
이오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9.02.09 11:44:36
'건강한 식사'가 '윤리'에 덜미 잡힌다?
[서리풀 연구通] '착한 식사' 캠페인의 부작용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사'(healthy eating)를 하는 것이 좋다. '건강한 식사'란, 패스트푸드나 탄산음료 같은 몸에 해로운 음식을 삼가고 대신에 과일과 채소, 유기농 식품 등을 위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건강은 남은 생애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 시기에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푸른 언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9.02.02 17:11:53
'신기술 도입이 곧 진보'라는 낡은 프레임
[서리풀 연구通] 원격의료, 과연 시민 건강에 이로울까?
정부가 신성장 동력 발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ICT 강국이라는 오래된 타이틀과 압도적인 인터넷-스마트폰 사용률은 통신망 하나로 기존 산업군을 전부 데이터-화할 수 있다는 장밋빛 미래를 꿈꾸게 하는 모양이다. 한 차원 높은 ICT 기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도입되면 정말 우리 사회가 좋아질까? 2018년 한해, 보건의료계도 장밋빛 돌풍에서 예외일 수 없
미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9.01.25 15:57:55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차이, 아시나요?
[서리풀 연구通]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강화돼야
2019년은 황금돼지해라고 한다.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언론과 정부는 '운세'까지 활용하고 있다. 황금돼지해에 태어난 아이들은 재물운이 있고 뭐라도 다 좋단다. 그리 되면 참 좋기는 하겠는데, 지난해에 비추어 올해 태어난 아이들에게 갑자기 무슨 좋은 운이 따라 붙을지 아무리 주변을 둘러보아도 짐작 가는 바가 없다. 올해 태어난 아이들이 유치원을 가게 될
팥수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9.01.18 11:39:13
분열된 사회는 건강을 망친다
[서리풀 연구通] 배제와 혐오, 모두에게 해롭다
한국 사회는 한층 더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2017년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구원은 96만 명에 이르며(☞관련 자료), 가장 최근의 이민자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88만 명의 외국인이 한국에서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관련 자료). 이미 이주민 2백만 명 시대가 되었고, 작년에는 예멘 출신 난민들의 수용 여부가 사회적 의제가 될 만큼 이주 관
민동후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2019.01.11 14:41:42
지쳐서 쉬겠다는데, 왜 주눅 들어야 하죠?
[서리풀 연구通] '정당한 환자' 되기 위해 견뎌야 할 낙인
일이 생계의 방편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일을 통해 성장하기도 하고, 일터에서 사회적 관계를 쌓기도 하며, 사회적 인정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일을 통해서 질병에 걸리기도 하고 사고, 혹은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막대하며, 특히 일 중심 사회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모든 것이 일
류한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9.01.04 18:03:01
'위험의 외주화'가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서리풀 연구通] 노동자가 죽어야만 제도가 바뀌는 세상, 대체 언제까지?
지난 12월 22일 토요일, 광화문 파이낸스센터 빌딩 앞에서 태안화력발전소 하청노동자 고(故) 김용균 씨를 기리는 범국민촛불추모제가 열렸다. 추모제에 참여한 3천여 명의 시민들은 유족과 함께 '위험의 외주화'를 규탄하고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을 촉구했다. 하청노동자들의 반복되는 죽음에도 불구하고 2년이 넘도록 '위험의 외주화 방지법'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8.12.29 11:57:27
임신중단 합법화, 그 너머
[서리풀 연구通] '불법' 존재로 산 여성, 국가가 답할 때
2016년 10월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수많은 여성들을 거리와 광장으로, 또 온라인 국민청원으로 모이게 만든 중요한 의제 중 하나는 임신중단 합법화 요구였다(☞관련 기사 :"내 자궁에 간섭마" 서울 도심서 열린 한국판 '검은 시위', 낙태죄 폐지 국민청원에....靑 "내년 실태조사, 낙태죄 폐지 격론 벌어진 헌법재판소 "여성 자기결정권 침해" vs. "태아
김성이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2018.12.21 13:56:58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위해…
[서리풀 연구通] 디지털 성범죄가 낳는 건강 피해
최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약칭 성폭력처벌법) 개정안이 2년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기존 법은 동의 없이 다른 사람의 신체를 촬영하고 유포하는 것을 성범죄로 인정하고 이를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여기에 빈틈이 존재했다. 만일 피해 당사자가 직접 자신의 몸을 촬영한 경우라면, 제3자가 이를 동의 없이 유포해도 법원은 성폭력처벌법
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2018.12.14 13:4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