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08일 22시 0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역사의 복귀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7ㆍ끝>
미 군정이나 국무부의 문서철들을 며칠간만 뒤져보면 미국이 한반도 분단에 책임이 있고, 미 군정이 대안적 정치세력을 탄압했으며, 미국이 연이은 (남한의) 독재정권을 지원했고, 미국이 정치적 학살행위들에(1948년의 여수, 1948-49년의 제주도, 지리산 게릴라, 전쟁 도중
브루스 커밍스 미 시카고대 교수
2003.02.27 08:46:00
한미관계에서의 인종주의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6>
많은 한국인들은 한국과 한국인들을 대하고 다루는 미국인들의 태도에 인종주의가 만연해 있다고 믿고 있다. 미국의 주류언론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국인들은 지속적으로 한국에 대한 (미국의) 편벽된 대접에 대해 항의해 왔다. 그것이 북한을 지옥으로 묘사하는 한
2003.02.26 09:11:00
최근 시위에 대한 미국의 반응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5>
미국과 대한민국간의 최근의 문제들은 한국에 경험이 많은, 그리고 이미 오래전에 제임스 웨이드나 다른 많은 사람들이 간파했던 것과 동일한 문제들을 알아챘을 만한 미국인들에게-그래서 사실 놀랍기도 한데- 일종의 초조함을 야기시킨 것 같다. 독재정권 기간동안 대한민
2003.02.25 08:36:00
과거의 ‘반미주의’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4>
1980년대 중반의 서울은 완벽한 병영(兵營)이었다. 전두환은 폭동진압을 위한 전투경찰을 엄청나게 늘려 1980년대 중반에는 그 숫자가 15만명이나 됐다. 검은 헬멧, 그 밑에 촘촘 한 철사로 만들어진 얼굴가리개, 목 뒷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가죽띠, 솜을 누벼 만든 전투복,
2003.02.24 09:00:00
‘반미'가 아니라 '반부시'다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3>
한국의 많은 시위자들은 미국의 정책이 남북간 화해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일부 미국인들에게 이는 가혹한 평가일지 모르지만 이제까지 말한 최근의 사태진전으로 보아 현재 한반도를 감돌고 있는 새로운 위기의 책임이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결론내리기는 어
2003.02.22 08:57:00
북한과의 또다른 “위기”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2>
부시행정부가 초기부터 동아시아 세 나라와의 관계를 망쳐버렸다고 얘기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부시행정부는 현재 한반도에서 세심하게 관리해야 할 2개의 어려운 관계에 직면해 있다. 하나는 대한민국과의 관계이며 또다른 하나는 2002년 10월에 시작된 북한과의 위기
2003.02.21 08:57:00
한미관계, 억압된 역사의 복원
<브루스 커밍스의 한미관계 분석> <1>
최근 한국에서의 ‘반미’ 현상에 관한 브루스 커밍스 교수(미 시카고대)의 글, <한국에서의 ‘반미주의’의 구조적 기반(The Structural Basis of 'Anti-Americanism in the Republic of Korea)>을 싣는다. 미국내 진보진영의 학자로서는 거의 유일한 한반도 전문가로
2003.02.20 08:5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