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18일 21시 2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중국 때리려던 트럼프, 오히려 중국 도와주고 있다
NBC "미국 없어도 세계화 계속…'탈세계화'아닌 '탈미국화'"…WP "중국, 세계화의 예상치 못한 수호자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로 미국에 경제위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국제적인 차원에서도 중국이 미국의 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방송 NBC는 '트럼프는 어떻게 미국의 세계 무역에서의 리더십을 내팽개쳤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를 비롯한 약탈적인 무역 정책에
이재호 기자
2025.04.18 16:57:43
日 대표단, 트럼프 만나 "美 관세 조치 매우 유감·재검토 강력 요청"…트럼프 "큰 진전"
<교도통신> "트럼프, 방위비 문제도 언급"…한미 협상서 방위비 문제 거론 가능성은 낮은 듯
미국이 세계 50여 개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와 관련해 일본이 미국과 협상에 착수했다. 일본 측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재검토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밝혔다. 17일 일본 방송 TBS는 이번 협상의 일본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16일(현지시간) 미측과 회담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일본과 미국의 경제를 강화하는 포괄적인 합의에
2025.04.17 15:58:43
퇴임 후 첫 공개연설 바이든 "트럼프, 100일 만에 미국에 피해"
사회보장제도 축소 언급하며 트럼프 공략, 내년 중간선거 핵심 의제로?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퇴임 이후 처음으로 공개 석상에서 연설을 통해 트럼프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사회보장제도를 축소하려는 트럼프 정부의 최근 행보에 날을 세웠다. 바이든 전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는 것이 오히려 미국 국내 정치적으로 트럼프에 숨통을 틔워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5일(이하 현지시간) 바이든 전 대통령은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
2025.04.17 05:57:47
트럼프, '자신 잃었나'… 속도 조절하는 日
"'흑자국' 中, 美보다 버틸 여력 있다"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한국과 다음 주 협상을 할 수 있다고 밝히고 먼저 협상하는 나라가 유리하다며 빠르게 움직일 것을 촉구했다. 미국이 '중국 포위'를 위해 협상 우선국으로 삼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인 일본이 서두르지 않겠다며 속도 조절에 나선 뒤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 초점이 중국에 맞춰진 가운데 동남아 순방에
김효진 기자
2025.04.16 07:01:44
트럼프에 반기든 하버드…NYT "트럼프 압박 거부한 최초의 대학"
트럼프 정부, 하버드에 22억 달러 보조금 철회했지만…하버드 기금 보유액 2024년 기준 532억 달러
미 하버드 대학교가 트럼프 정부의 대학 운영 관련 요구 사항에 응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미 교육부는 하버드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한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에 육박하는 기금을 보유하고 있는 하버드가 트럼프 정부의 압박에 입장을 바꿀지 미지수다. 14일(이하 현지시간) 미 교육부는 '반유대주의 퇴치를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
2025.04.15 21:22:34
불법이민 축출에 정부조직 총동원령 내린 트럼프
[꿈의 나라로 가는 죽음의 길] ①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지구촌을 향해 ‘관세폭탄’을 연일 터트리자 세계경제가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그 난리통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지만 트럼프가 행정조직 총동원령을 내리고 불법이민 색출-축출작전을 벌이느라 미국은 그야말로 북새통이다. 바이든이 임시체류를 허용한 전쟁-경제난민까지 합법-불법을 가리지 않고 쫓아내라는 추방령의 서슬이 시퍼렇다. 축출위기에 몰려
김영호 <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
2025.04.15 17:10:21
일 벌려놓고 수습 못하는 트럼프…러 공습으로 '우크라 민간인 34명 사망'
4일 크리비리흐 놀이터 공습 뒤 열흘 만…'조바심' 트럼프 러 압박 강화할지 주목
러시아가 13일(이하 현지시간) 오전 우크라이나 북동부 수미 지역 중심부를 공격해 최소 34명이 숨지고 117명이 다쳤다. 최근 이어진 러시아의 민간인 공격을 계기로 지지부진한 휴전 협상을 중재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압박을 강화할지 주목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영상연설을 통해 수미 지역이 러시아 탄도미사일 2
2025.04.15 07:05:11
오락가락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유예 없다더니…"예외 없다. 다른 범주로 옮겨갈 뿐"
미 투자자 레이 달리오 "트럼프 정부 정책, 매우 파괴적…경기 침체보다 더 나쁜 결과 발생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가 예외 조치되지 않았다면서, 다른 범주로 옮겨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에 미국 내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의 본인 계정에서 "다른 국가들이 우리에게 가한 불공정한 무역 수
2025.04.14 16:00:30
첫발 뗀 미·이란 핵협상 일단 순항…19일 후속 회담
미·이란 대표, 오만 통한 간접 회담 진행 뒤 잠시 대면도…외신 "미, 핵 프로그램 완전 폐기보다 무기화 제한에 초점 맞출 듯"
12일(현지시간) 미국과 이란이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들어 처음으로 오만에서 핵협상을 가졌다. 양쪽은 회담의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다음 주 회담을 이어가기로 했다. <AP>, <로이터> 통신 등을 보면 양쪽은 오만 무스카트 외곽에서 이날 오후 3시30분부터 2시간20분 가량 대화를 나눴다. 미 백악
2025.04.13 20:56:15
미, 중국에 완화 손짓? 스마트폰·반도체 상호관세 면제
애플 등 미 기술기업 및 삼성·대만 TSMC도 수혜 전망…트럼프 "14일 반도체 관세 조사 구체적 밝힐 것" 방심 금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스마트폰, 반도체 등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하며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는 애플 등 미 거대 기술 기업이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미국에선 가격 상승 두려움에 아이폰 '패닉 바잉(공포로 인한 구매)'까지 나타나고 있던 상황이다. 이번 조처가 중국과의 긴장 완화 손짓이라는 평가도 있다. 한국, 대만 등 아시아 반도체 기업들
2025.04.13 15:5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