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2월 24일 05시 03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김영수
미국 MIT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캐나다 앨버타 상과대학 금융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도요타그룹 등을 거쳐 현재 캐나다에서 당뇨병치료제품을 만드는 Eastwood Bio-Medical Research Inc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사모펀드의 특별한 사법 리스크: 풋(Put) 리스크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10>
사모펀드가 거래를 진행할 때는 여러 변호사를 동원하여 철저한 계약서를 작성한다. 큰 법률 회사들마다 사모펀드 전담 부서가 있어 최고급 변호사들이 참여하고, 이들은 엄청난 수수료를 받으며 모든 리스크를 고려하여 빈틈없는 계약서를 작성한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사모펀드들은 재판에서 승률이 그다지 높지 않다. 특히 큰 소송에서 자주 패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겨
김영수 이스트우드컴퍼니 CEO
21세기의 시대정신(Zeitgeist)과 사모펀드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9>
‘시대정신(Zeitgeist)’이라는 말은 철학자 헤겔이 유행시킨 단어로, 단순한 유행이나 일시적인 현상을 넘어서 그 시대의 가치관, 사고방식,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 시대의 시대정신은 엄격한 도덕률과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가 특징이었고, 1960년대의 시대정신은 자유와 평등, 반문화 운동이 중심이었다. 현대의 시대
전설이 된 사모펀드, OB맥주의 운명을 바꾸다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8>
OB맥주와 사모펀드의 거래는 '아시아 사모펀드계의 전설'이라고 불린다. 일단 맥주 이야기부터 하자. 필자는 <다시 쓰는 맥주이야기>라는 책을 쓴 적이 있다. 책에서 '왜 맥주 비즈니스에서 M&A가 자주 일어나는가'에 관해서 설명했다. "원래 물장사는 무거운 물건을 옮겨야하는 것이니 물류비용이 많이 들고, 그래서 규모의 경제가 크게 작용한다.
사모펀드는 어떻게 동물원을 정육점으로 바꾸었나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7>
1983년 유학생으로 미국에 처음 갔다. 모든 것이 신기했고 피엑스(PX) 미제 물건이 온 천지에 널려있었다. 한국 유학생 부부가 미국에 와서 처음 슈퍼에 가면 남편은 조니워커 위스키를 사고 아내는 쿠키를 산다는 농담이 있었다. 그리고 여기 저기 미국적인 체인점이 있었다. 각 체인점마다 독특한 특색들이 있다. 보통 미국의 체인점은 중서부의 어느 시골에서
사모펀드는 '절대악'인가?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6>
사모펀드는 부도덕한 존재인가? 사실 공허하고 진부한 질문일 수 있다. 사모펀드는 투자를 엮는 한 형태일 뿐이며 가치 중립적이다. 도덕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고 비도덕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쇠로 농기구도 만들 수 있고 사람을 고문하는 고문도구로도 만들 수 있듯. 사모펀드에 대한 비난은 중세를 거쳐온 반유대주의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유대인들에게는 농토를
사모펀드의 한계와 위험 3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5>
9. 민원, 소송, 정치적 리스크 요새 ESG 경영이란 말이 유행이다. 예전처럼 무자비한 감원·구조조정· 핵심자산 팔아치우기를 통하여 사모펀드가 수익을 올리려 시도할 경우 소송과 민원·항의 등이 발생하여 많은 연기금들이 해당 사모펀드에서 투자를 회수하거나 추가 투자를 중지한다. 사모펀드 ‘펀드 속의 펀드’ 등 겹겹의 방어막이 있다 하더라도 최근에는 행동
사모펀드의 한계와 위험 2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4>
5. 불패신화로부터의 리스크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분야에,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규모로 인수를 하고,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신출귀몰한 경영 개선책을 사용하여, 아무도 생각치 못했던 높은 수익을 올리면서 쿨하게 철수한다” '사모펀드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을 요약한 말인데, 솔직히 이런 일이 '계속' 일어나기가 그렇게 쉽겠는가? 그런데 대부분의 사모펀
사모펀드의 한계와 위험 1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3>
앞선 글을 보면 사모펀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그 시작이 곧 대성공으로 이어질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은 다소 복잡하다. 현재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최상위 대학의 졸업생들이 선호하는 직종이 사모펀드로, 이는 최근까지 투자은행이 차지하던 위치를 대체한 것이다. 사모펀드 직종은 변호사나 의사를 포함한 기타 전문 직종을 능가하는 인기를 얻고 있다. 많은 젊
재벌이 사모펀드에 밀리게 된 이유는?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2>
사모펀드 급성장의 경제·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 1987년 블랙먼데이를 계기로 드럭셀 번햄 램버트 투자은행이 주도하던 정크본드(Junk Bond:고위험 고이자 채권. 대형 기업인수합병시 큰 돈을 급히 동원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많이 사용되었음)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주요 거대 투자은행들을 일반은행으로 전환시키
사모펀드, 실질적인 한국 경제의 지배자
[김영수의 사모펀드 이야기] <1>
"사모펀드들이 이미 한국 경제를 점령했다"고 단언한다. 원래 IMF 때 외국의 사모펀드에 한국의 알토란 같은 기업·은행이 넘어가면서, 사모펀드가 무엇인가를 한국인이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 매운 맛' 을 처음 봤다. 그런데 지금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사모펀드가 외국계와 토종을 합쳐 2023년 이미 1000개를 훌쩍 넘었다. 약정액으로도 100조원이 훨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