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2일 15시 2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아이티 지방 주민들 "우리에게도 구호물자를…"
구호물자 수도에 집중현상… 난민 허용 등 '해외 구호'도 필요
아이티 수도로부터 29km 떨어진 레오간에서는 절망감에 빠진 마을 남자들이 마체테(날이 넓은 아프리카 전통 칼)와 곤봉을 들고 모여들어 "세계가 잊은 마을"을 위해 싸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레오간과 수도를 잇는 붕괴된 해안 고속도로 위에는 도움을 구걸하는 난민들이
안은별 기자
옥수수 받겠다더니 보복성전… 北 '오락가락' 이유는?
"적절한 수준 설명 있으면 해결될 문제"…정부 대응에 주목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국방위와 통전부가 사전 의견 조율이 안 됐거나, 일부러 다른 말을 하면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 전략이란 "'협력을 원한다. 그러나 체제를 건드리면 용서 못 한다'"는 어법 속에 감춰진, '남북관계 개선이냐
정부 "北 전통문 공식 제안으로 받아들여 검토"
3대 선결조건 재확인…"관광객 신변안전 보장 가장 중요"
정부는 북한의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가 "금강산·개성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갖자"며 보낸 통지문을 "북한의 공식제안으로 접수했다"고 15일 밝혔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은 15일 통지문을 보내온 아태를 북측 당국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확
아이티, 시체도 산 사람도 부패하는 '생지옥'
모습 드러낸 프레발 대통령 "시신 7000구 묻었다"
12일 발생한 지진으로 '전쟁보다 참혹한 상황'을 겪고 있는 아이티에서, 시체를 처리하고 환자를 시술할 여력이 부족해 위생 문제로 인한 2차적인 인명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아이티 수도 포르토프랭스 종합병원의 원장은 14일 <로이터> 통신에 "질병으로
北, 금강산 관광 재개 위한 실무접촉 제안
남측의 '3대 조건' 답변 준비됐나…'현물 지급' 복병 될 수도
북한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가 14일 통일부에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접촉(실무회담)을 갖자고 제안해 왔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공식적인 실무회담 제안은 2008년 7월 관광이 중단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북한 아태평화위는 이 통지문에서 "금강산
"시체 둘 곳도 없다"…아이티 지진 사망자 10만명 추정
'탕산대지진' 이후 최대 규모 되나…인구 1/3이 이재민
"시신을 안치할 곳이 없어 거리 곳곳에 그냥 쌓아두고 있으며 무너진 학교 옆에 어린이들의 시신이 참혹하게 나뒹굴고 있다" (13일 <CNN> 현지 리포트) 현지시간 12일 오후 아이티에서 일어난 강진으로 10만 명이 넘게 사망하고, 인구의 3분의 1인 300만 명이 피해
대북 삐라, '신년 덕담' 나눈 남북관계에 복병 부상
北, "남측 당국이 조치 취하라"…정부 대응 주목돼
대북 전단 살포는 지난 해 겨울에도 계속되어 그렇잖아도 차가운 남북관계를 얼어붙게 만들었던 요인이었다. 그러나 당시 통일부는 보수단체를 찾아가 '만류'하는 것 외에는 '제재할 법적 근거가 없다'며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북한은 전단 살포를
아이티 지진으로 수천 명 매몰
한국인 7명 연락 두절…주변국 무관심 속 자연재해 잇달아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아이티에서 일어난 진도 7.0의 강진과 관련, 13일 현재까지 한국인의 피해가 접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이티 교민을 비롯해 현지 체류 중인 70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현재 7명과 연락이 닿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티에 7.3 규모 강진 '대참사' 예고
대통령궁·정부기관 건물 붕괴 등 피해 잇따라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인 아이티에 12일 오후(현지시각)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했다. 여진으로 피해가 증폭되고 인근 지역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는 등 대참사가 예고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날 오후 5시께 강진에 이어 규모 5.9, 5.5의 여진
北 여자 축구대표팀, 일본 동아시아선수권 불참
"사죄 없고 안전 보장 안 된다"…日 건국기념일도 감안한 듯
오는 2월 6일 도쿄에서 열리는 동아시아축구연맹 여자선수권대회에 북한 여자대표팀이 사실상 참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교도통신>은 북·일 양국 관계자가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5일 히라노 히로후미(平野博文) 관방장관 등이 내각회의 후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