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1월 19일 17시 00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남북연합 '지루한 성공의 길' 원점에 섰다"
[인터뷰] 최원식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민(民)의 자치로 정치 구원해야"
청일전쟁 이후 한반도의 운명은 늘 외부세력에 의해 결정돼 왔다. 망국, 해방, 분단이 그랬다. 무력에 의한 한반도 통일을 시도했던 6.25전쟁은 주변 강국들의 개입에 의해 어마어마한 피해만 낳은 채 현상 복귀로 끝났다. 그러나 4.27 남북 정상회담과 6.12 북미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한반도의 주인인 우리가 한반도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비
박인규 프레시안 편집인, 이재호 기자
북미 화해 시대에 맞는 6.25 기념일
[전쟁국가 미국] 한국전쟁은 북한에게 무엇이었나
2018년 6월 25일, 한국전쟁 68주년은 특별하다. 북미 화해라는 획기적 사건 이후 처음 맞이하는 기념일이기 때문이다. 지난 6월 12일 미국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는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의 종식을 약속했다.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한 것이다. 이로써 70년 가까이 지속돼온 북미 적대관계,
박인규 프레시안 편집인
北美, 세계에서 가장 오랜 적대 관계의 청산
북미 정상회담 개최가 의미하는 것
북한과 미국의 역사적인 정상회담이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이번 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경우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의 비핵화와 함께 북미 관계의 정상화가 이뤄질 것이다. 세계사의 '대전환'이라는 이름에 값하는 커다란 변화가 오게 되는 것이다. '대전환'의 요체는 북한과 미국의 관계 정상화다. 70년에 걸친 북미 대결의 역사가 끝장나고, 북한이 국제사
"한미 동맹이 위태롭다"
[해외시각] '미국 우선’에서 '미국 왕따'로
북미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 지 하루 만에 회담 재개로 180도 입장을 바꾼 트럼프의 깜짝쇼는 무엇을 남겼을까? 한반도에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 3차 남북 정상회담 한 달 만에 남과 북의 정상이 다시 만나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완전한 평화를 위한 남북 공조를 한층 강화했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에선 트럼프의 변덕이 미국의 패권적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는
조선일보는 난독증인가
지독한 대미의존증, 혹은 평화체제 공포증
"한국 역시 국내적 제약들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만약 평화협정이 조인된다면, 주한미군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그 협정이 체결된 이후에는 주한미군의 계속적 주둔이 정당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보수 야당은 주한미군의 감축·철수를 강하게 반대할 것이고, 이는 문 대통령에게 큰 정치적 딜레마가 될 것이다. 또한 문 대통령은 정권교체 이후에도 판문점 선언의
미국은 어떻게 '사찰'을 최초로 발명했나
[전쟁국가 미국] 알프레드 매코이 <미국 세기의 그늘 속에서>
미국은 2차 대전이 끝나면서 세계의 패권 국가로 등극했다. 참전을 놓고 국내 여론이 대립하고 있던 1941년 2월, 타임 라이프의 발행인 헨리 루스는 라이프 사설을 통해 20세기를 '미국의 세기(American Century)'로 규정하면서 미국의 참전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가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목적을 위해, 우리가 적절하다고 믿는 수단으로 전 세계에
'군복 입은 케인즈', 미국을 만들다
[전쟁국가 미국] NSC-68과 한국전쟁 <하>
딘 애치슨, 폴 니츠 등 미국의 전면적 재무장을 원하는 세력에게 북한의 남침은 '울고 싶은데 뺨 때려준 격'이었다. NSC-68이 주장한 소련 군사력에 의한 세계 공산화 음모가 현실화 한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소련의 음모가 드러난 이상 미국은 대응에 나서야 했다. 미국을 비롯한 '자유진영'의 전면적 재무장이 그것이다. 사실 북한의 남침은 미국 지도자들의
영구 전쟁국가의 탄생
[전쟁국가 미국] NSC-68과 한국전쟁 <상>
2차 대전 후 미국의 세계 패권이 완성된 결정적 계기는 한국전쟁이었다. 한국전쟁을 통한 전면적 재무장에 의해서였다. 한국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국방비를 일거에 4배 가까이 증액했고 군사 물자 생산도 7배로 늘렸다. 서독과 일본 등 과거 적국의 재무장을 단행했다. 미국이 대대적 재무장에 나선 것은, 그것만이 미국 중심의 세계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할 수 있는
IAEA는 미국의 하수인인가
2007년 '북한-시리아 핵 협력설'의 진상 <하>
2007년 9월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제기된 '북한-시리아 핵협력설'은 당시 진행되던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가로막은 중대한 걸림돌이었다. 특히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11년 5월 발표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시리아에 영변형 원자로를 지어준 것을 기정사실화 했다. 북한을 핵확산의 주범으로 지목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독립연구자 가레쓰 포터는 19
북한은 어떻게 악마화 되었나
2007년 '북한-시리아 핵 협력설'의 진상 <상>
2007년 9월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제기된 '북한-시리아 핵 협력설'은 당시 진행되던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가로막은 중대한 걸림돌이었다. 특히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11년 5월 발표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시리아에 영변형 원자로를 지어준 것을 기정사실화 했다. 북한을 핵확산의 주범으로 지목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독립연구자 가레쓰 포터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