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2일 16시 59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유럽 자본주의는 어떻게 발전했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8> 16-18세기 유럽경제의 발전 ②
이렇게 유럽 자본주의의 성장과 관련한 월러스틴의 주장은 아메리카와의 관련을 무시하지는 않으나 상당부분 1970년대까지 유럽중심주의적 학자들이 주장한 내재적 성장론을 수용한 것이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설득력이 별로 없다. 그러나 정작 더 큰 문제는 아시아와의 관
강철구 이화여대 교수
2007.12.27 10:17:00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7> 16-18세기 유럽경제의 발전 ①
그러나 자본주의 체제는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킬 수 없으므로 약 50년을 주기로 팽창과 정체를 되풀이하는 경기변동을 맞게 된다. 그런 과정을 통해 경제가 재정비되며 더 효율적인 자원 분배를 가능하게 만든다. 그렇다고 자본주의 체제가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
2007.12.18 01:50:00
인류 최대의 홀로코스트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6> 유럽의 해외팽창 ④
그러나 1492년 이후에 모든 것이 바뀌었다. 유럽 문명이 아메리카를 매개로 국제적이고 지구적인 우월성을 확보하기 시작한 것이다. 서유럽의 8배나 되는 광대한 토지,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수천만의 노동력,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세계를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2007.12.13 01:25:00
유럽은 어떻게 아메리카를 착취했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5> 유럽의 해외팽창 ③
아메리카의 이런 엄청난 착취가 스페인을 16, 17세기에 유럽 최대의 부국으로 만든 바탕이다. 영국인과 프랑스인들은 중남미 지역에서도 활동했으나 북아메리카에 대한 침탈은 17세기 이후에야 본격화 했다.
2007.12.11 03:30:00
유럽은 어떻게 아메리카를 정복했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4> 유럽의 해외팽창 ②
1492년의 아메리카 인구는 적게는 5천만에서 많게는 2억 정도까지도 본다. 그러나 1억 정도로 보는 사람이 많다. 이는 당시 유럽의 인구와 맞먹는 것이다. 그 가운데 3/4이 16세기 한 세기 동안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또 17세기 중반이면 90%까지 줄어든 것으로 추산된다.
2007.12.06 01:57:00
아메리카의 발견?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3> 유럽의 해외팽창 ①
반면 인도에 도착한 바스코 다 가마에 대해 유럽인들은 그가 인도를 발견했다고는 결코 이야기하지 않는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갖고 있던 인도에 대해 그렇게 말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결국 아메리카를 '발견'했다고 말하는 것은 아메리카인의 존재와 그 문화를 전
2007.12.04 04:47:00
르네상스 이데올로기를 넘어서서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2> 부르크하르트와 르네상스 ③
이렇게 '서양 근대문명의 흥기'라는 큰 논의 틀의 일부로 연구되어온 르네상스 연구는 이제 심각한 저항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시대를 규정하는 이름만으로는 당분간 르네상스를 받아들인다 해도 부르크하르트가 강조하는 '근대성'이나 '진보'라는
2007.11.29 00:34:00
부르크하르트가 보는 르네상스와 그 문제점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1> 부르크하르트와 르네상스 ②
앞에서도 보았듯이 인문주의자들이 고대의 비기독교적 문화에 접하기는 했으나 그렇다고 비종교적인 인물들은 아니었다. 일반인들의 태도도 마찬가지이다. 종교개혁 이전 이탈리아의 교회가 많이 부패하고 타락한 것은 사실이지만 부르크하르트가 주장하는 것보다는 훨씬 나
2007.11.27 00:12:00
르네상스, 무엇이 문제인가?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10> 부르크하르트와 르네상스 ①
그러면 부르크하르트는 르네상스를 어떻게 보았을까? 그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인들이 새로운 근대국가를 만들었고, 인문주의라는 학문을 통해 고대의 세속적인 가치를 다시 받아들임으로써 기독교의 억압을 분쇄했고, 신분제를 해체함으로써 인간중심적이고 자유로운 사
2007.11.22 01:08:00
유럽의 도시는 특수하다고?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9> 유럽 중세도시는 자유로웠나? ③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아시아 도시의 성격은 유럽중심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 정치적 성격이 그렇게 강한 것도 아니고 아시아 경제가 18세기까지도 유럽보다 훨씬 발전했으며 활력 있었다는 주장도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다. 유럽도시의 경제적 성격을 지나
2007.11.20 06:2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