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11일 23시 4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작심 발언' 안세영, 이번엔 화해 손짓? "조율되면 다시 대표팀 하고싶다"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안세영 선수가 국가대표 활동을 계속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만나고 싶었던 안세영 선수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안 선수는 대표팀의 나이 제한이나 부상 관리 등에 대해 협회가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 선수
허환주 기자
2024.08.25 05:03:26
"트럼프보다 더 나쁜 윤석열, 한국은 기후 악당 국가"
[픽터뷰] <1.5도 이코노믹 스타일> 저자 김병권
"한국은 현재 재생에너지 비중이 10%가 안 되는 OECD에서 거의 꼴찌 수준인 기후 악당 국가입니다. 재생에너지 등 기후 대응 쪽으로 문재인 정부 때는 약간 진전이 있었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크게 퇴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때와 비슷하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기후협약을 탈퇴하는 등 여러 후진적인 정책을 취했습니다. 사실 현재 한국의
전홍기혜 기자
2024.08.25 05:02:14
이 세상을 업신여기지 않고 세상과 나를 미워하지 않는 것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
이 세상을 속속들이 들여다보는 일, 이 세상을 설명하는 일, 이 세상을 경멸하는 일은 아마도 위대한 사상가가 할 일이겠지. 그러나 나에게는,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것, 이 세상을 업신여기지 않는 것, 이 세상과 나를 미워하지 않는 것, 이 세상과 나와 모든 존재를 사랑과 경탄하는 마음과 외경심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는 것, 오직 이것만이 중요할 뿐이야
안치용 인문학자, ESG연구소장
2024.08.24 19:16:05
4년에 한번, 비주류 음악 중계 의무화는 어떨까
[음악의 쓸모] 한국 비주류 음악이 겪는 부당함
새 앨범을 듣는다. 홀리 마운틴(Holy Mountain)의 첫 앨범 [Holy Mountain]이다. '성스러운 산'이란 밴드 이름은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의 스토너/둠 메탈 밴드 슬립(Sleep)의 두 번째 앨범 [Holy Mountain]에서 가져왔다. 이는 곧 홀리 마운틴도 스토너 메탈이나 둠 메탈에 큰 영향을 받은 밴드란 의미가 된다. 밴드 스스로도
김학선 대중음악평론가
2024.08.24 16:15:30
'불평등이 줄며 세상이 좋아지고 있다'는 주장은 '정치적 신화'다
[프레시안Books] <격차>
세계불평등연구소의 2021년 <세계불 평등 보고서>를 보면, 상위 10% 인구가 전 세계 소득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하위 50% 인구의 소득 비율은 8%에 불과하다. 지금의 세계경제시스템을 유지하고 잘 사는 나라 사람들의 선의와 자선을 보태는 방식으로 이 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까. 제이슨 히켈 바르셀로나자치대 환경과학기술연구소 교수의 &l
최용락 기자
2024.08.24 15:07:50
'몰빵 후원' 바꿔야 안세영 셔틀콕이 자유롭게 난다
[이종성의 스포츠 읽기] 안세영의 '파리 독립선언'과 리나의 '단페이'
안세영 발언 때문에 10년 전 중국 여자 테니스 스타 리나(42)가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여자 단식에서 우승하는 장면을 다시 봤다. 리나는 2011년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었다. 아시아 선수 최초의 그랜드슬램 테니스 대회 단식 우승이었다. 안세영과 종목도 다른 리나의 경기 장면을 다시 본 이유는 그녀의 플레이를 보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이종성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
2024.08.23 05:02:05
'올림픽 메달' 가면의 뒤, K스포츠 붕괴는 시작됐다
[정희준의 어퍼컷] K스포츠 몰락의 주범은 바로 체육계
파리올림픽 폐막일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은 기자회견에서 "엘리트 체육의 붕괴로 선수단 규모도 적었다"며 "2012 런던 때는 무려 380명이 출전"했다고 말했다. 이번 올림픽 출전선수는 고작 144명이었다. 단체 구기종목은 전멸했는데 여자핸드볼을 제외하면 출전도 못했다. 그는 또 엘리트스포츠에 대한 기업들의 지원이 절실하다고도 했다. 선수도 없고 재정상태도 열
정희준 문화연대 집행위원
2024.08.22 16:58:51
<파묘>가 반일? 그렇게 따지면 <명량> 이순신 장군도 반일
최민식 "파묘 감독, 독립기념관에서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 흔적보며 눈물"
배우 최민식이 자신이 출연한 영화 <파묘>가 '반일'(反日), 좌파 영화라는 일부 평가에 대해 그렇게 따지면 <명량>에서 이순신 장군은 대놓고 반일 아니냐고 되물었다. 17일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한 최민식 배우는 일부에서 <파묘>를 반일 영화라고 비난하지 않냐는 질문에 "파묘가 반일영화다, 반일 정서
이재호 기자
2024.08.18 12:55:00
에이리언의 공포, 그 이면에 숨겨진 윤리적 질문들
[이동윤의 무비언박싱] <에이리언: 로물루스>
20세기 폭스사의 에이리언 vs. 리들리 스콧의 에이리언 1978년, 리들리 스콧 감독이 연출한 <에이리언>은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의 공포영화 가능성을 열어젖히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공포를 극대화했다. 첫 번째 작품의 흥행 성공과 평단의 호평 이후 리들리 스콧 감독은 후속작 연출을 적극적으로 희망했으나 판권을 쥐고 있던 20세기 폭스사에 의해
이동윤 영화평론가
2024.08.17 13:00:34
'불안'의 순기능 이용하기
[최재천의 책갈피] <당신의 불안은 죄가 없다> 웬디 스즈키 글, 안젤라 센 번역, 김경일 감수
불안은 삶의 일부다. "최근 추정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90퍼센트 정도가 일상생활에서 불안을 느끼며 그로 인해 영향을 받는다." 불행하게도 "우리의 뇌는 구석기 시대와 비교해서 생물학적 진화를 이루지 못했다." 이에 반해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세상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어지럽다. 불안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 퓰리처상 수상 작가 리처드 포드가 있다.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4.08.17 11: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