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2월 24일 23시 0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언
[초록發光] 지역사회 거버넌스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
얼마 전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안)’ 설명회가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시스템은 하늘에서 갑자기 뚝 떨어진 정책이 아니다. 집단에너지나 구역 전기 사업이 분산에너지의 한 형태이고, 지역에서 마이크로그리드나 프로슈머를 통한 에너지자립섬 등을 시도하기도 했다. 최근 급속한 기후변화로 인한 에너지생산과 소비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
박정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원
2050 탄소중립 앞당긴 바이든 시대, 그렇다면 어떻게?
[초록發光] 기후에너지 정치의 거점, '지역 에너지센터'가 필요하다
미국 대선 결과 바이든이 다음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바이든은 그의 공약으로 취임 첫날 파리협정에 재가입하고, 100일 이내에 기후정상회의를 소집해 주요배출국의 2030년 목표 상향을 설득하겠다고 했으며, 기후의무를 다하지 않는 국가가 생산하는 고탄소제품에 탄소국경세 등의 조치를 취하고, 기후목표 달성과 무역 정책을 연계해 파리협정 목표 상향을 무역 협정의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뉴딜, 지역에서부터 시작하자
[초록發光] 제도와 예산으로 정부를 움직이게 해야
지난 7월 발표된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그린뉴딜은 한 달 반 동안 온갖 비판을 불러일으키다가 '녹색 경기부양책'에 가깝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 같다. 어쩌면 '그린뉴딜이라는 비전을 훔쳐서 지옥으로 가는 아스팔트를 깔았다'는 분석이 맞는지도 모르겠지만, 기후위기를 당면한 과제로 받아들이고 생존의 문제를 고민해야 하는 청년의 입을 통해 나온 '언어를 빼앗겼다'
기후위기 비상선언 다음, 지방정부가 해야 할 일
[초록發光] 기후위기 비상선언! 그 다음은?
기후위기대응과 그린뉴딜 바람이 뜨거운 상황에 지역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지난 6월 5일 전국 기초지자체 226곳 중 지자체장이 부재중인 2곳을 제외한 224개와 제주시, 서귀포시를 포함한 226개 기초지자체가 기후위기비상선언을 했다. 참여한 시장·군수·구청장들은 선언문을 통해 지금이 기후위기비상상황임을 명확히 선포하고, 지구 평균온도가 1.5℃이상
에너지 분권을 위해 산자부가 해야 할 일
[초록發光] 에너지 분권은 가능하다
문재인 정부 들어 에너지 분권에 관한 계획과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믹스로 전환, 분산형·참여형 에너지시스템 확대, 에너지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에너지전환을 위한 기반 확충을 5대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했다. 이후 에너지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수소 에너지, 친환경은 맞나
[초록發光] 수소경제, 잠시 멈춤이 필요하다
지난 5월 23일 강원도 강릉 과학단지에서 실증 사업 중이던 수소 저장 탱크가 폭발해 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수소 저장 탱크는 태양광으로 발생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생산된 수소를 저장했다가 수소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탱크에 저장됐던 수소는 수소 연료 전지를 통해 다시 전기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될 예정이었다. 복수의 기사와 뉴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