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3월 29일 18시 1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진보'라는 수식이 감춘 것들에 대한 질문
[기고] 유천초 부당 징계 등의 사태를 통해 본 진보교육감의 현실
6월 29일 단식 16일차의 아침, 윤용숙 선생은 몸을 세울 수가 없을 정도로 어지러웠다. 6월 30일이면 민병희 강원도교육감의 임기가 끝인데, 그때까지는 버텨야하는데…. 그녀는 몸이 따라주지 않는 것이 서럽고 남은 단식자들에게 미안했다. 서럽고 억울하고 답답한 날들을 만들어준 것은 소위 '진보로 분류된 민병희 강원도 교육감' 이었다. 강원도교육청이 유천
명숙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상임활동가
"최저임금, 모든 노동자의 안전적 삶의 영위가 핵심이다"
[인권의 바람] 최저임금과 차별
넘쳐나는 말과 사건 속에서 인권의 가치를 벼리기 위한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활동가들의 고민을 <프레시안>에 연재합니다. 우리의 말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여는 싹이 되고, 인권 감수성을 돋우는 생각의 밭이 되기를 바랍니다. "10년을 일해도, 20년을 일해도 최저임금인 건 너무하지 않나요?"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만나면 자주 듣는 말 중
기업·특권층·혐오의 자유?…이것이 윤석열식 '자유'인가
[인권의 바람] 윤석열 취임사와 내각 인사에 관하여
넘쳐나는 말과 사건 속에서 인권의 가치를 벼리기 위한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활동가들의 고민을 <프레시안>에 연재합니다. 우리의 말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여는 싹이 되고, 인권 감수성을 돋우는 생각의 밭이 되기를 바랍니다. 편집자. 2022년 5월 11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했다. 국회 앞 여의도를 가득 메운 전국에서 대절한 버스들과 사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국가의 의무는 '전파 차단'만이 아니다
[인권의 바람] 치료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역 대책을 구축해야
넘쳐나는 말과 사건 속에서 인권의 가치를 벼리기 위한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활동가들의 고민을 <프레시안>에 연재합니다. 우리의 말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여는 싹이 되고, 인권 감수성을 돋우는 생각의 밭이 되기를 바랍니다. 편집자. "저희 어머니는 여전히 에크모를 달고 있는데 음압 병동에서 다른 병실로 옮겨졌을 뿐인데, 코로나가 완치되
평등은 봄처럼 저절로 오지 않는다
[인권의 바람] 차별금지법 제정 운동이 일구는 정치
넘쳐나는 말과 사건 속에서 인권의 가치를 벼리기 위한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활동가들의 고민을 <프레시안>에 연재합니다. 우리의 말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여는 싹이 되고, 인권 감수성을 돋우는 생각의 밭이 되기를 바랍니다. 편집자.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던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더니 눈발까지 흩날린다. 봄인가 싶었던 사람들은 모두 두꺼운 겨
비정규직 투쟁의 시작 기륭 언니들..."위험하니까 남자들은 뒤로 가"
[바람 같은 전설의 언니들] ③ 기륭전자분회의 유흥희 님을 만나
지난 40년간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으로 바뀐 것도 있으나 갈 길은 여전히 멀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은 6월 5일 전설의 투쟁을 했던 여성노동자들을 모시고 <바람 같은 전설의 언니들> 이야기마당을 개최한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의 투쟁과 삶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그녀들이 해왔던 투쟁과 현재의 고민을 연재한다. 편집자. ※ 이야기마당 &l
바람같은 전설의 언니들을 만났다..."길이 보여서 여기까지 온 게 아니야"
[바람 같은 전설의 언니들] ① 동일방직 해고자 김용자 님을 만나
지난 40년간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으로 바뀐 것도 있으나 갈 길은 여전히 멀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은 6월 5일 전설의 투쟁을 했던 여성노동자들을 모시고 <바람 같은 전설의 언니들> 이야기마당을 개최한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의 투쟁과 삶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그녀들이 해왔던 투쟁과 현재의 고민을 연재한다. 편집자. 0. 연재 순서 &
"왜 그렇게 열심히 일하냐고요? 나이 든 사람이 일 못하면 잘리잖아요"
[LG트윈타워를 쓸고 닦은 사람들 ①] 언니들의 힘, 연대의 힘을 알게 된 청소노동자들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이 2021년 새해 첫날부터 집단해고되었다. 차별 속에서도 자부심을 갖고 일해 왔지만 '청소노동'에 대한 선입견, 동정적인 시선 속에 그 삶과 노동은 종종 단순화되고는 한다. 깨끗한 사무공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청소노동자의 삶을 과연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들의 목소리가 온전히 세상에 전해지도록 인권활동가들의 인터뷰 기사를 싣는다.
도박 중독 부추기는 온라인 마권 발매, 막아야 한다
[끝나지 않은 마사회 싸움 ③] 명숙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상임활동가
지난 겨울, 고 문중원 기수의 죽음 이후 시민사회 일각에는 '14년 간 7명의 노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마사회를 그대로 둘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 자리 잡았다. 문 기수의 죽음을 둘러싼 100일여의 싸움이 한국사회에 '마사회의 구조적 개혁'이라는 과제를 남긴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한국마사회 적폐 청산을 위한 대책위원회(대책위)'가 출범했다.
간호사 사망 후 34개 권고 내려졌지만...서울의료원은 '묵묵부답'
['덕분에' 대신 괴롭힘 방지를⑤] '괴롭힘 방지 권고', 무엇이 이행을 가로막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간호사 등 보건의료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 대한 '덕분에'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간호사들의 노동환경은 바뀌지 않고 여전히 인력부족과 괴롭힘으로 고통 받고 있다. 작년 7월 16일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발효됐으나 간호사들이 일하는 현장은 바뀌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는 서울의료원에서 직장내괴롭힘으로 사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