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1월 22일 19시 1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카스트로 체제의 내일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12ㆍ끝>
쿠바는 지금 전환기에 있다. 그 변화의 바로미터는 정치권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읽혀진다. 지난 5월 20일 쿠바 수도 아바나에서는 카스트로의 독재를 비판하는 정치모임이 있었다. 1959년 1월 쿠바혁명이 성공한 뒤 46년만에 처음으로 아바나에서 열린 반체제 모임이었다.
김재명 분쟁지역전문기자
한인(韓人) 후예들을 만나다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11> “혁명으로 차별 없앴지만, 한국인 정체성 잃어”
올해 3월로 쿠바 이민사는 84년을 맞았다. 그 84년이란 세월의 두께는 고통과 절망, 그리고 억척같은 생존의지로 켜켜이 다져졌다. 두고 온 고국의 산하를 그리워하기엔 너무나 생존에 급했던 그런 나날들이었다. 쿠바 이민사는 수탈과 눈물, 생존의 몸부림과 두고온 고국 땅
혁명은 가고 이미지만으로 남은 체 게바라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9>
베레모에 덥수룩한 수염을 가른 채 시가를 입에 문 체 게바라(1928-1967년). 그가 살아있다면 오는 6월이면 만으로 77세다. 쿠바에서의 편안한 자리를 박차고 11개월 동안의 볼리비아 게릴라 투쟁 뒤 39세의 젊은 나이에 사살됐던 게바라. 그는 쿠바에선 국민적 영웅으로 받
“체 게바라는 사회주의적 휴머니스트”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7> 체 게바라의 오토바이여행 친구 알베르토 그라나도
미국은 베트남전 수렁에 빠져들고, 젊은이들은 거리에서 변화와 개혁을 외치던 1960년대, 체 게바라는 그 격동기를 질풍노도처럼 살다 갔다. 그는 한 시대를 온몸으로 저항하다 숨진, 20세기의 아이콘이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이 20세기를 움직인 100인 가운데 체 게바라를
쿠바인들의 생존술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6>
쿠바 사람들은 누구나 작은 수첩만한 식량배급카드를 지니고 있다. 카스트로 정권은 1959년 혁명이 성공한 뒤 기본 생필품들을 무상으로 나눠주어 왔다. “사회주의 체제 아래의 쿠바에선 (자본주의 국가들에서 보는 것처럼) 식량의 독과점으로 굶어죽은 사람이 나와선 안된
미국의 대(對)쿠바 봉쇄정책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5>
부패했던 바티스타 친미 독재정권이 1959년 혁명으로 무너졌을 때 쿠바의 민초들은 열광했다. 쿠바의 천연자원과 부(富)를 훔쳐가던 미국 기업들이 하나둘씩 몰수돼 국유화될 때 그들은 박수를 쳤다. 쿠바 민초들뿐 아니다. 세계의 진보적인 지식인들도 열광하기는 마찬가지
혁명아 체 게바라의 마지막 날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4>
체 게바라(1928-1967년)를 말할 때 쿠바 수도 아바나에서 동쪽으로 280km 떨어진 인구 20만의 도시 산타 클라라를 빼놓을 수 없다. 그곳엔 체 게바라 혁명기념탑과 아울러 거대한 체 게바라 동상이 넓은 광장을 바라보며 서 있다. 그리고 동상 지하에 만들어진 기념관 안엔
체 게바라의 혁명 근거지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3>
쿠바에선 체 게바라를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거리엔 대형 게바라 초상화가 내걸려 있고, 곳곳에 게바라 관련 상품들을 파는 가게들이 있다. 카리브 해의 파도가 시원스레 넘실대는 풍경이 바라보이는 아바나 고급호텔의 벽걸이 그림도 게바라다. 빈민가가 들어선 아바
관타나모 미 해군기지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2>
아바나에서 동쪽으로 900km. 알 카에다 포로들을 가둔 미 해군기지가 있는 관타나모로 가는 길은 멀었다. 버스를 타고 13시간 걸려 산티아고 드 쿠바를 가서, 다시 택시를 전세내 1시간30분을 달려 관타나모에 닿았다. 애당초 계획은 아바나-관타나모 사이를 하루 1회씩 오가
물 없이 지낸 아바나의 첫 밤
김재명의 쿠바 리포트 <1>
<프레시안> 뉴욕 통신원 김재명 분쟁지역전문기자가 3주 일정으로 쿠바와 볼리비아 현지 취재를 떠났다. 쿠바에선 피델 카스트로 혁명의 성과와 문제점, 미국-쿠바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고, 볼리비아에선 체 게바라의 무장 게릴라 근거지를 돌아보면서 그의 실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