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05일 14시 59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민족주의는 한국사회의 문제아인가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3>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①
근대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상상의 공동체'니 '발명된 전통'이니 '사회공학'이니 하는 단어들이 지식인들의 상투어가 되어 있고 민족주의는 모든 악덕의 대명사가 되고 있다. 그러나 잘 생각해보자. 서양 강대국들 사람들의 입장과 한국인의 입장이
강철구 이화여대 교수
아직도 끝나지 않은 식민주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2>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⑥
식민지 해방과 제3세계의 억압 아시아, 아프리카, 카리브 지역에서 탈식민화는 1960년대에 대부분 끝났다. 2차대전 후에 전 세계적으로 식민지 해방운동이 광범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과거의 식민국가들은 이제 제국을 유지하는 데 정치, 경제적으로 너무 비용이 많이 들
고유문화의 해체와 식민지 문화의 형성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1>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⑤
결과적으로 식민지인들은 인격을 가진 인간으로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자신의 인간적인 존엄성을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상태를 거부하고 스스로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바로 죽음이나 형벌을 의미하게 된다. 그것은 식민체제에 대한 도전이기 때문이다.
식민사회와 '정치적 협력자'의 문제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0>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④
식민세력이 들어오며 식민지의 전통적인 사회 구조도 무너지게 되었다. 새로 유럽인들이 지배계급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새로이 복잡한 사회구조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중남미의 경우 특히 더 그렇다. 유럽인, 원주민, 아프리카에서 들어온 흑인 노예들이 뒤
식민지의 경제적 착취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9>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③
아메리카에 식민지를 처음 건설한 스페인 왕실이 계속 관심을 가졌던 것이 귀금속의 착취였던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식민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처음부터 경제적 착취이다. 정착식민지의 경우 식민자들은 원주민들로부터 토지를 아예 강탈했으니까 이야기할 것조차 없다.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와 식민지배 체제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8>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②
16세기 초에 중남미 지역을 정복한 스페인 사람들은 식민지 지배의 정당성을 '정복의 권리'에서 찾았다. 자기네들이 정복한 땅이니까 그것을 점령하고 다스리는 것은 정당한 일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아메리카의 땅과 주민들을 지배하고 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
식민주의, 왜 지금까지도 문제인가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7>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①
제3세계국가들이 이렇게 된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제3세계 학자들은 모든 문제의 근원을 식민주의에게 돌린다. 식민주의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의 자생적인 정치적, 경제적 발전을 가로막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조장했을 뿐 아니라 문화적 창조성도 억눌렀다는 것이다.
산업혁명과 비유럽세계의 식민화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6> 산업혁명과 비유럽세계의 탈산업화 ⑦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산업혁명은 결코 프로테스탄티즘에 의한 도덕적인 자본 축적, 위대한 발명가들, 앞선 과학, 모험적인 기업가들, 이로 인해 탄생한 거대한 생산력, 이런 것들에 의해 미화될 수 있는 평화스럽고 단순한 경제적 사건이 아니다. 그것은 비유럽 지역 사람들
비유럽세계의 탈산업화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5> 산업혁명과 비유럽세계의 탈산업화 ⑥
이는 면직산업 만에 한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산업들이 다 마찬가지이다. 그리하여 한때 번영하던 인도경제는 원자재를 빼앗기고 반대로 기계로 생산한 완제품을 사서 쓰는 한심한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는 오늘날의 제3세계 국가들이 과거 식민지 시대에 대부분 똑 같이
면직산업과 원료ㆍ시장ㆍ통상로 보호의 문제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4> 산업혁명과 비유럽세계의 탈산업화 ⑤
해군이 면직산업 발전에 결정적인 전환점을 마련해 준 것은 1753-63년의 7년 전쟁에서 프랑스에게 승리한 것이었다. 이 전쟁에서 프랑스 함대에게 심대한 타격을 가함으로써 영국이 인도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만약 영국이 패배했다면 인도나 아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