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네이처> 사설 "한국 정부 나서서 황우석 조사해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네이처> 사설 "한국 정부 나서서 황우석 조사해야"

"청와대 박기영 역할 '수수께끼'"-"과기부도 소극적"

세계적인 과학 잡지 <네이처>가 사설을 통해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윤리 문제에 대해 우리 정부의 조사를 촉구해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네이처>는 특히 이 사설에서 청와대 박기영 정보과학기술보좌관과 과학기술부를 언급하며 이들이 일방적으로 황 교수를 옹호해 온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네이처> "한국 정부가 나서서 황우석 조사해야"**

<네이처>는 17일 발행된 438호에 실린 '규제기구여, 부디 일어서라'는 사설을 통해 "한국 정부가 줄기세포 실험에 쓰인 난자가 어떻게 얻어졌는지에 대해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2004년 이 문제가 처음 제기됐을 때 한국 정부는 조사를 시작하기는커녕 넉넉한 자금으로 황우석의 연구를 지원했고 그에게 헌정 우표까지 발행했다"며 "심지어 일부 정치인들은 황우석에게 노벨상을 안겨주기 위한 운동에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다수의 한국 언론들 역시 황우석의 부인(否認)을 반복했고 또 공개적으로 지지했다"고 덧붙였다.

이 잡지는 "(섀튼의 비난으로 다시 촉발된 이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는 더 이상 회피하기 어렵게 됐다"며 "한국의 언론이 좀 더 비판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는 분위기도 엿보인다"고 최근의 국내 상황을 전했다.

***"누가 이 문제를 조사해도 박기영보다 잘할 것"**

하지만 <네이처>는 한국 정부가 황우석 교수 연구의 윤리 문제를 제대로 조사할 수 있을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잡지는 "특히 대통령의 과학기술 보좌관인 박기영은 황우석 논문의 공저저 중 한 사람이기 때문에 조사를 주도할 인물로 적격이 못 된다"며 "특히 그가 이 연구에서 자신의 역할을 '생명윤리 자문역'이었다고 설명한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박기영이 (황우석 연구에서 했던) 실제 역할은 여전히 수수께끼에 싸여 있다"며 "이번 사안에 대한 조사는 다른 누가 맡더라도 그보다는 잘 할 것"이라고 박기영 보좌관의 그간의 행보를 꼬집었다.

<네이처>가 한 국가의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는 대통령 보좌관을 이처럼 노골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박기영 보좌관은 식물학자이면서도 2004년 <사이언스>에 실린 줄기세포 연구 논문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박 보좌관은 그간 "'과학자의 양심'에 비춰봤을 때 떳떳하다"고 해명해 왔지만 이번 <네이처>의 반응은 세계 과학계가 그런 내용 없는 해명을 수용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과기부 제대로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줄기세포 연구 계속하려면 진상 밝혀야"**

한편 <네이처>는 과기부의 태도 역시 비판했다.

이 잡지는 "과기부 역시 (이번 문제에 대해) 별로 열의를 보이지 않는 것 같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조사 수행은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안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꼭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잡지는 "철저한 조사는 한국 과학계의 진정성(integrity)을 (입증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비판자들에게 인간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윤리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납득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줄기세포 연구는 아직 엄청난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입증하지 못했고, (연구를 계속 진행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강한 대중적 지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에서 누가 황우석 조사할 수 있을지 주목돼"**

<네이처>는 마지막으로 "줄기세포 연구자들은 이제 자신들이 엄격한 윤리적 규약을 기꺼이 준수할 의사가 있음을 보여줘야 하는 수세적 위치에 처하게 될 것"이라며 "황우석에 대한 이런 비난은 (세계) 발생학계 전체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논쟁적인 과학 분야에 대해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엄격한 윤리 지침을 따를 필요가 있고 또 (대중의 눈에) 그렇게 하는 것으로 비춰져야 한다"며 "만약 어떤 이유에서건 간에 그렇게 되지 못한다면 책임 수위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규제기구나 자금지원 기구가 나서서 연구자들이 확실한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며 "한국에서 누가 이 일을 맡을지 주목된다"고 지적했다.

<상자기사 시작>

다음은 <네이처>의 사설 전문. 번역에는 김명진 성공회대 강사(과학사회학)가 도움을 줬다.

***한국의 규제기구여, 부디 일어서라**

획기적인 줄기세포 실험에 쓰인 난자가 어떻게 얻어졌는지에 대해 한국 정부가 조사를 시작할 때가 되었다.

이번 주에 서울대학교의 황우석이 인간 복제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유도한 첫 번째 실험에 사용된 난자를 얻는 과정에서 부정이 있었을 가능성에 대해 다시 한 번 비난이 제기되었다.

이번에 그를 비난한 사람은 황우석의 오랜 협력자였던 피츠버그 대학의 제럴드 섀튼이다. 협력 관계의 종식을 알리는 11월 12일의 성명에서, 섀튼은 황우석 실험실에서 "난자 기증과 관련된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작년 5월에 <네이처>가 처음 제기했던 내용을 그 이유로 들었다(Nature, 429, 3; 2004를 보라).

당시에도 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있었지만 한국에 있는 몇 안 되는 생명윤리학자들은 (조사를 강제할 만한) 힘이 없었고, 결국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Nature, 429, 490; 2004를 보라). 다수의 한국 언론들은 황우석의 부인(否認)을 반복했고 또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한국 정부는 조사를 시작하기는커녕 넉넉한 자금으로 황우석의 연구를 지원해 주었고 그에게 헌정된 우표를 발행했다. 심지어 일부 정치인들은 황우석에게 노벨상을 안겨주기 위한 운동에 앞장서겠다고 다짐까지 했다.

전 세계의 줄기세포 연구자들도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거의 다를 바가 없었다. 아마도 이토록 높은 유명세를 누린 연구가 비윤리적인 실천에 의지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 그렇지 않아도 논쟁으로 점철된 이 분야에 오점이 생기지나 않을까 두려워서였을 것이다. 일본에서의 상황이 잘 보여 주는 바와 같이, 그와 같은 우려는 이 영역의 연구의 기회를 빠른 속도로 가로막을 수 있다. (이번 호 262쪽에 실린 기사를 보라.)

섀튼의 행동은 작년에 제기되었던 문제를 다시 끄집어냈다. 그 실험은 대학원생이나 연구팀의 일원이 기증한 난자를 이용했는가? 기증자는 난자 제공에 대한 보수를 받았는가? 황우석은 이러한 공격을 단호하게 부인해 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한국 당국이 이러한 질문들을 회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한국의 언론은 좀더 비판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다. 몇몇 보고에 따르면 대통령 과학기술 보좌관인 박기영이 이미 조사를 약속했다고 한다.

그러나 박기영은 황우석 논문의 공저자 중 한 사람이기 때문에 조사를 주도할 인물로 적격이 못된다(Science, 303, 1669-1674; 2004). 이후에 그녀는 이 연구에서 자신의 역할이 "생명윤리 자문역"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는 또 자신은 난자 기증의 윤리에 대해 자문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 연구에서 박기영의 실제 역할은 여전히 수수께끼에 싸여 있다. 이 사안을 조사하는 역할을 다른 누가 맡더라도 그녀가 맡는 것보다는 더 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역할을 누가 맡을 것인지는 아직 지켜봐야 할 문제다. 과학기술부는 별로 열의를 보이지 않는 것 같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사 수행은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조사는 꼭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단지 한국 과학계의 진정성(integrity)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비판자들에게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윤리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납득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 연구 분야는 아직 엄청난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입증하지 못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강한 대중적 지지를 필요로 한다.

줄기세포 연구자들은 이제 자신들이 엄격한 윤리적 규약을 기꺼이 준수할 의사가 있음을 보여줘야 하는 수세적 위치에 처하게 될 것이다. 황우석이 자신의 실험실을 허브로 한 국제 줄기세포 네트워크를 막 엮으려는 찰나에(Nature 437, 1077; 2005) 터진 이러한 비난은 발생학계 전체에 반향을 미칠 것이다.

어떤 논쟁적인 과학 분야에 대해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엄격한 윤리 지침을 따를 필요가 있고, 또 (대중의 눈에) 그렇게 하는 것으로 비춰져야 한다. 만약 어떠한 이유에서건 간에 그렇게 되지 못한다면 책임 수위는 한 단계 뛰어오르게 된다. 규제기구나 자금지원 기구가 나서서 연구자들이 확실히 책임을 지게끔 해야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누가 한 단계 딛고 올라서 그 일을 맡을 것인가?

<상자기사 끝>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