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께서, 15세를 지학(志學), 30세를 이립(而立),
40세 불혹(不惑), 50세 지천명(知天命), 60세 이순(耳順),
70세를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不踰矩)라 하였다는 사실을
배웠던 것 같긴 하지만,
시험에 대비하여 외우려 하였을 뿐
의미를 이해하려 하지 않았고 의미에 공감하지도 못하였다.
학생을 가르치면서도 정확하게 알지 못하였는데
몇 년 전에야 이 말의 의미를
비로소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공감할 수 있게 되었다.
15살을 '뜻 지(志)' '학문 학(學)'을 써서 지학(志學)이라 하였는데
학문에 뜻을 두게 되는 나이라는 의미다.
15살이면 중 2쯤 되는데, 그 나이쯤 되어야 비로소
공부다운 공부를 할 수 있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겠는데
15살 이전의 공부는 시간 투자에 비해 효율이 적고
큰 실력 향상도 이루어낼 수 없다는 또 다른 이야기일 것이다.
30살을 '설 립(立)'을 써서 이립(而立)이라 하였는데
스스로 설 수 있는, 부모나 스승에 의지하거나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결과에 책임져야하는 나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40살을 '미혹될 혹(惑)'을 써서 불혹(不惑)이라 한 것은
미혹되지 않는다는,
자신의 생각이 확실하게 정리되어
다른 사람의 말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의미일 것이고
50살을 지천명(知天命)이라 말한 것은
'알 지(知)' '하늘 천(天)' '명령할 명(命)'으로
하늘의 명령 알게 된다는, 세상 이치를 알게 된다는 의미일 것이다.
15살에 공부 시작하였다는 말 곱씹어 볼 수 있어야 한다.
공자님이 15살에 공부를 시작하였다는 말은
15살 이전에는 놀아도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식과 지혜 뛰어나고 성인(聖人)이라 칭송받는 공자께서
15살에 공부 시작하였음에 주목하여 15살까지는
이일 저일 경험할 기회 주고 이런 저런 생각할 기회 주면 좋겠고
시험 준비를 위한 공부 아닌
알아가는 기쁨을 위한 공부면 좋겠다.
15살부터 공부해도 괜찮다는 사실에 고개 끄덕이면 좋겠고
어렸을 때부터 공부시키지 않아도 공부 잘할 수 있고
뜻 펼칠 수 있으며, 멋지게 살 수 있다는 사실에 공감해주면 좋겠다.
너나없이 공부 공부하는 오늘 우리 현실,
욕심 때문이기도 하겠고, 여유 없음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따라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불안감이 가장 큰 원인일 텐데
지금이라도 불안감 미련 없이 떨쳐 버려주면 좋겠고
공부 못해도 괜찮다고 생각해주면 좋겠으며
15살에 공부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해 주면 좋겠다.
모두가 "예"라고 이야기할 때에
"아니오"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용기 가져주면 좋겠다,
흙을 나르는데, 손으로 움켜쥐어 1000번 나른 양보다
트럭에 실어 1번 나른 양이 훨씬 많다는 사실 안다면
어렸을 때부터 공부시키려 아등바등 하는 것이 어리석음이라는 사실
인정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