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수괴'는 대통령직에서 내쫓겼지만, 광장의 외침은 끝나지 않았다. 시민들은 파면에도 승복 메시지 없이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선언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분노하며 "내란수괴 윤석열을 다시 구속하라"고 외쳤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권한 밖인 헌법재판관 지명권을 행사한 데 대해서도 규탄했다.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옛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비상행동)은 11일 늦은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4번출구 앞에서 '내란은 끝나지 않았다! 윤석열 재구속! 한덕수 처벌! 이완규 지명 철회! 내란 종식 긴급행동' 집회를 열었다.
집회 사회를 맡은 박민주 활동가는 "극우‧내란세력들이 우리에게 쉴 틈을 일주일도 채 주지 않았다"며 "구속되지 않은 윤석열은 '미래세대'를 운운하며 관저를 나와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헛소리를 했다. 파면 직후 관저에서 국민 세금으로 파티를 즐겼다"고 비판했다.
이어 "내란세력이 재집권을 하겠다며 날뛴다. 또 사회 곳곳에 내란 하수인들을 알 박기하고 있다"며 "우리는 파면 이후에도 바람 잘 날 없는 시기를 보내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오늘도 거리로 나왔다"고 이날 집회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사회자의 선창에 따라 "내란수괴 윤석열을 다시 구속하라", "내란 알 박기 한덕수를 처벌하라", "위헌적 헌법재판관 지명 철회하라" 등 구호를 외쳤다.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이렇게 빨리 이렇게 분노스러운 마음으로 만날 거라고는 생각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의 관저 퇴거 모습에 대해 "얼굴에는 웃음을 띠고 내란 추종자들을 하나하나 손잡고 안아주는 모습이 너무나 분노스러웠다"며 "관저에서 나오는 것은 옳으나 그가 향한 곳은 틀렸다. 그가 가야 할 곳은 서초동 사저가 아니라 감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들은 내란을 멈추지도 반성하지도 않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권한대행 한덕수가 아주 노골적으로 '윤석열 놀음'을 하고 있다"며 "한덕수가 윤석열의 공범, 내란 공범이다. 한덕수도 윤석열과 함께 감옥으로 가야 할 범죄자에 다름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를 향해 "민의를 받들어 한덕수를 즉각 탄핵하라. 아무것도 못 하게 하라. 이것이 주권자들의 명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6개월 차 임신부라고 밝힌 시민 혜진 씨는 "내란대행 한덕수가 '대통령 놀음'을 하고 있다. 한덕수가 트럼프와 통화하며 '동맹강탈'을 용인했다. 우리의 주권을 갖다 바치고 있다. 말도 안 되게 안보와 관세를 연계하겠다고 트럼프가 주장하는데 이것조차 받아들이겠다고 한다"며 "권한대행이라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더 이상 낼 수 없다. 관세도 내리라'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 후과는 오롯이 우리 국민이 지게 생겼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덕수는 애초에 협상할 자격조차 없는 사람 아닌가. 국민은 대통령 윤석열을 탄핵했고 한덕수는 윤석열 대행일 뿐"이라며 "더 가관인 것은 내란 공범 이완규를 헌법재판관 후보로 알 박기하고 국익을 팔아먹는 정책을 알 박기하려는 것 아닌가. 한덕수는 탄핵이 답"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시민 영은 씨도 한 총리가 내란 혐의를 받고 있는 이완규 법제처장을 헌법재판관으로 지명한 데 대해 "내란범 그 자체인 사람이 헌재 재판관 후보라니 말이 되나. 저들은 윤석열 파면 하나로 꼬리를 자르려는 것이 분명하다"고 했다.
그는 "공범 탄핵들은 기각되고 국민의힘은 사죄는커녕 너도나도 대선 출마하겠다고 난리"라며 "우리 사회에 '윤석열들'이 가득하다.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 싸움은 윤석열'들'과의 투쟁이다. 저들이 아득바득 지키려는 기득권을 깨고 시민이 주인되는 투쟁"이라고 했다.
이어 "'구조적 성차별이 없다'고 한 윤석열의 파면만으로 우리 사회에 성차별이 사라지지 않는다"며 "2016년 박근혜 탄핵 광장 후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선언됐지만 금방 정치는 여성을 지우고 부정했다. 선거에 극우 안티 페미니즘이 동원되고 여성공약이 사라지고 성폭력범과 2차 가해자들이 공천을 받았다. 아직 광장에서 페미니스트 깃발을 내릴 수 없는 이유"라고 했다.
그러면서 "2019년 4월 (헌재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판결로) 여성들에게 낙태죄를 묻던 시대 끝났지만 6년이 지났음에도 관련 법안도, 여성의 재생산권 보장 법 제도도 마련되지 않았다"며 "여성과 모든 이들이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정치가 책임질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