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2일 07시 02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지역 간 격차, 지역 회복력이 우선돼야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성장과 포용, 환경을 동시에 고려해야
1. 전 세계적 의제로 등장한 지역 간 격차 2016년 12월 17일자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일국 내 지역 간 격차의 위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섬뜩하게 지적한 바가 있다. "주류경제학이 지역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대답을 하고 있지 않으며", "경제학자들이 대답을 제공할 수 없다면 포퓰리스트 반군이 할 것이다." 이후
정준호 강원대 부동산학과 교수
2022.04.01 09:15:17
지방 고용대책, '각자 도생'하면 살아남기 어렵다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지방 소멸 위기, 해결 시간 많지 않아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투표는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정치적 행위라고 한다. 그런데 투표에는 대표자를 선출하는 것 외에 다른 투표도 있다. 경제학자 티뷰가 '발로하는 투표'라고 지칭한 '인구이동'이다. 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침묵하고 퇴장한다는 점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2022.03.18 10:00:33
지방 쇠퇴를 맞이하는 자세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지방 소멸은 위기인가?
좁은 국토에서의 지역 불균등 발전 운전하거나 기차를 탈 때 주변 경관을 살피는 일은 즐겁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러한 취향을 가지지는 않는다. 특히 차양을 걷고 창문 밖을 바라볼 때 기차를 탄 주변 사람들은 햇빛에의 노출과 단잠의 방해에 인상을 찌푸린다. 그들에게 차창 밖으로 지나치는 풍경은 의미 없는 시각적 공해일 뿐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윤지환 한국외대 국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2022.03.04 10:48:52
남북협력, 다양한 상상력이 필요한 때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활용한 남북한 협력방안 모색
2000년 9월 189개국 지도자들이 모인 유엔 새천년정상회의에서 빈곤종식을 위한 발전목표가 담긴 새천년 정상선언이 발표됐다. 새천년 정상선언의 구체적인 목표와 지표를 제시한 것이 새천년개발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다. 여기에는 1) 절대빈곤 및 기아퇴치, 2) 보편적 초등교육 달성, 3) 양성평등과 여성능력의 고
황진태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부연구위원
2022.02.18 09:58:03
초광역 메가시티, '메가 토건 프로젝트' 구상인가?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메가 토건프로젝트 보다 혁신생태계 구축이 핵심
초광역 메가시티 구상 열풍 지역마다 메가시티 구상이 열풍이다. 부울경(동남권) 메가시티, 대구·경북 메가시티, 충청권 메가시티, 강원 강소 메가시티 등 지역균형발전과 성장전략으로 다양한 구상이 지역별로 추진 중이거나 계획 중이며,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2020년 이후 역사상 처음으
박경 목원대 금융경제학과 명예교수
2022.02.04 09:10:19
지방으로 돌아간 청년, 농사만 짓는 것은 아니다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2022년, '뉴노멀'에 투자할 때
초광역권과 경제공간구조 재편 2022년, 새해 전국의 시군구가 분주하다. 특히 1월 13일 "인구감소지역 특별법"이 시행된 지 2주가 되어 가는 시점에서 더욱 그렇다. '특별법'의 이름만으로도 인구감소지역 문제의 심각성과 문제해결을 위한 시급한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인구감소지역의 지정"이라는 지역의 쓸쓸한 운명을 뒤집어,
이현욱 한국해양조사협회 해양조사기술연구소 연구원
2022.01.21 11:13:02
2022년, 균형발전과 혁신의 만남 필요한 때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불평등, 균형발전, 혁신, 디지털 전환을 위한 공간경제 연구 필요
2021년 경제지리학자의 시선들 2021년 한해도 코로나로 인해 잃어버린 일상 속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와 공간변화를 직시하는 많은 경제지리학자의 글들이 소개되었다. 글로컬리제이션, 관광, 교육격차 등 코로나의 영향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제시됐고, 플랫폼 경제, 메타버스, 모빌리티 등 다가오는 신세계에 대한 고민도 유익했다. 인구감소와 저출산 문제, 지
이원호 한국경제지리학회장
2022.01.07 09:29:20
북유럽은 어떻게 '성장·복지·지역균형발전' 모두 잡았나?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장소기반 혁신전략과 지역 기여형 대학 육성해야
우리나라의 수도권 인구가 올해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 이대로라면 지방은 청년인구의 유출과 고령화로 소멸할 거라는 위기의 목소리가 높다. 이런 중앙과 지방간의 지역 간 격차는 2000년대 이후 글로벌화, 지식기반경제로의 진전으로 더욱 확대됐다. 더불어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경제성장은 잠재성장률이 3%도 안 되는 저성장 기조에 들어섰다. 반면에 한
박경 목원대학교 금융경제학과 명예교수
2021.12.24 16:44:28
'산학연' 협력, 잘 되고 있나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산학연 협력의 실제와 개선 방향
산학연 협력은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며, 협력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지속적해서 강조되어 왔다. 구글에서 산학연협력으로 검색을 해보니 교육부가 주도하는 링크사업(LINC, LINC+, LINC3.0)이라 불리는 "산학연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있고 중소벤처기업부에서 하고 있는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가 나온다. 삼성전자 등 민간의 대표적인 대기업에서도
김명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책임연구원
2021.11.26 09:40:54
'노인=과거=전통'이라는 획일화된 교육 틀에서 벗어나야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 뉴노멀시대, 인구교육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es)가 2021년 6월에 발표한 '코로나19 대유행의 광범위한 영향: 한국의 재정 및 출산율 전망 보고서(The Pandemic's Long Reach: South Korea's Fiscal and Fertility Outlook)'에 따르면, 한국의 경제는
김수정 전남대 지리교육과 조교수
2021.11.12 09:2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