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는 이날 서울 용산 서울문화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3월 한달간 '냉각기를 갖자'며 집중 협상을 제안한 사측은 막판까지 노조의 타협안을 거부했다"며 "새 매체 창간 등 근본적인 전략변화까지도 염두에 두고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6월 '삼성 기사 삭제 사건'으로 사태가 촉발된지 9개월, 지난 1월 전격 파업에 돌입한 지 석 달만이다.
<시사저널> 노조는 앞으로 한달간을 '총력 투쟁 기간'으로 선포했다.
"독자들을 법정에 세우려는 회사의 한심한 작태"
이 같은 노조의 투쟁에 독자들이 함께 하겠다고 나섰다. 바로 지난해 10월 사태가 확산될 무렵 조직된 1700여명의 '시사저널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시사모)'(www.sisalove.com) 회원들이다.
'시사모' 회원 10여명은 이날 같은 자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영진은 기자들에 대한 고발은 물론 이제 참언론, 독립 언론을 지키겠다고 나선 우리 미디어 수용자들에게까지 형사 고발이라는 한심한 작태를 벌이고 있다"고 밝히면서 노조의 투쟁을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시사모에 따르면, 사측은 지난 3월 시사모 운영위원 6명을 형사 고발했다. '진품 <시사저널> 예약운동'을 벌이고 있는 시사모가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는 이유였다. 평범한 회사원, 대학 연구원, 기업체 연구원, 출판인들이었던 시사모 회원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사측의 '독자 고발'은 시사모 회원들을 더 자극하는 계기가 됐다.
시사모 측은 '진품 <시사저널> 예약운동'에 대해 "<시사저널> 절독과 정기구독 해약과 같은 네거티브 방식은 독자들의 뜨거운 애정을 표현하기에 적절치 않다"며 "정상화의 염원을 담아 '미래의 <시사저널> 구독 운동'을 펼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회사는 "이 행위는 <시사저널> 마케팅전략팀과 단 한차례의 협의도 없이 이뤄지는 불법행위"라며 "<시사저널> 판매 행위를 가장하고 도용해 돈을 걷는 행위는 '불법 행위'이며 고도의 영업 방해 행위"라고 주장했다.
"어떤 경영인이 '열성 독자'라는 자산을 짓밟나"
시사모는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시사저널> 경영진은 지금 세 가지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고 밝혔다.
시사모는 "첫째, 한국 사회에서 보기 드문 독립 언론이라는 신뢰를 쌓아온 <시사저널>의 신뢰와 명예를 경영진이 저버리고 있으며, 둘째, 진품 <시사저널> 예약운동을 벌여온 시사모 운영진을 고발해 자신들의 존립 기반인 독자들의 가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으며, 셋째, 이런 결과로 <시사저널> 경영진은 한국의 건강한 시민 사회 전체를 적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시사모는 "경영진은 편집권 독립과 관련된 노동조합의 요구를 비롯해 <시사저널> 기자들에 대한 징계 및 고소고발, 시사모 운영진에 대한 고발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우리는 이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시사저널> 노조, 시민사회의 모든 민주주의자들과 함께 연대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희상 노조위원장은 연대사에서 "시사모와 같은 진성 독자들은 <시사저널>이 정상화가 되면 가장 큰 자산이 될 것"이라며 "어떤 경영인이 이런 자산을 짓밟고 내쫓는가"라고 말했다.
<시사저널> 사태로 조성된 '미디어 수용자 운동' 시사모는 그간 홈페이지를 통해 '진품 <시사저널> 예약 운동'을 비롯해 <시사저널> 기자들이 징계 및 고소를 당하자 '나도 고소하라!' 운동을 펼치며 기자들을 지지해왔다. 시사모 조형근 부회장은 지난 2월 <시사저널> 기자들이 엮은 <기자로 산다는 것> 출판기념회에서 "우리는 단순히 기자들을 응원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수용자 운동을 벌여나가고 있다"며 "언론의 자유를 지키는 싸움에 동참하는 것은 미디어 소비자의 권리이자 의무"라고 말했다. 조형근 부회장은 10일 "지금 당장은 시사모 활동 역시 <시사저널> 정상화가 급선무이며 시사모의 많은 회원들 역시 그것을 바라고 있다"며 "정상화가 된 뒤에 뜻이 맞는 시사모 회원들이 함께 그런 운동을 전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