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난자를 둘러싼 금전 거래가 있었음이 드러났다. 같은 의업에 계시는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의 발표 전문을 읽으면서 필자는 이 분이 그동안 감내해야 했던 고민과 말 못하는 답답함의 상흔들을 만지는 듯했다. 국민과 관계자들에게 겸손한 사과를 잊지 않은 노성일 이사장의 발표 전문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모든 일은 내가 단독으로 꾸민 일이며, 따라서 황우석 교수는 난자 매매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 분은 '국익을 우선했으며, 의사의 윤리 때문에 연구원이 난자를 제공했는지 밝힐 수 없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 발표 내용이 사전에 황우석 교수와 협의가 됐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정말 너무 안타깝게도, 노성일 이사장은 가능한 모든 선택 중에서 가장 승산이 낮은 패를 선택했다는 말씀을 드려야 한다는 사실이 가슴 아프다.
임상연구 및 임상시험 전반에 걸쳐 미국, 유럽, 일본은 물론 한국도 지난 1995년 이래 임상시험관리기준을 제정해 연구에 참여하는 관련자들의 법적 임무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연구 책임자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가 바로 공동 연구자나 부연구자에게 중요한 연구 업무의 일부를 위임할 때 이들이 필요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연구책임자는 공동연구자들이 연구의 정직성을 제대로 지키는지, 법과 규제 조건에 맞추어 연구를 실시하는지, 더 나아가 이들이 개인적인 이해에 근거해 연구를 진행시키려 하지 않는지 확인하고 이를 감독해야 할 책임이 있다.
노성일 이사장이 '내 탓이오'하고 나선 충정은 이해되나, 이렇게 되면 책임 연구자인 황우석 교수가 연구에 '책임자'로서 관여하지 않았거나 아니면 관여는 했어도 주어진 책임을 제대로 다하지 못했다는 것을 자인하는 꼴이 된다. 전자의 경우는 논문 저작권에 대한 또 다른 윤리적 시비를 낳게 하며, 후자는 이렇게 중차대한 연구의 책임자로서 마땅히 감당해야 할 성실함(due diligence)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더 위중한 도덕적 책임에 직면하게 된다.
***이제 핵심 쟁점은 연구자의 '정직성'이다**
그러나 필자가 노성일 이사장의 선택을 가장 승산이 낮은 패라고 평가절하한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그것은 바로 노성일 이사장이 난자 매매를 사실로 인정한 순간, 황우석 교수를 둘러싼 모든 논쟁의 핵심이 연구 대상에 대한 윤리로부터 연구자의 윤리, 즉 '정직성(research integrity)'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잘 알려진 대로 황우석 교수는 반복된 <네이처>나 <사이언스>의 질문 또는 해명 요청에 대해 난자 제공자에게 어떠한 유무형의 대가도 지급하지 않았다고 강력히 부인해 왔다. 예를 들어 황우석 교수는 2004년 <사이언스> 논문에 이렇게 기술했다. "[난자를 사용한] 어떠한 실험도 한양대병원의 기관윤리위원회(IRB)로부터 승인을 받고 나서야 실시했다. 난자를 제공한 사람들은 우리 연구의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 (…) 재정적 보상은 없었다."
요컨대 노성일 이사장의 발표 전문은 황우석 교수의 그간의 해명을 전적으로 뒤집는 것이며 한술 더 떠 모든 게 자신이 꾸민 일이라고 주장함으로써 황우석 교수가 문제가 된 연구에서 당연히 담당해야 하는 책임 연구자로서의 임무를 연구 중에는 물론이고, 문제가 이렇게 확대된 이 시점까지도 성실히 감당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확인해준 결과를 낳고 말았다.
예를 들어 제대로 연구를 책임지는 사람이라면 노성일 이사장의 발표처럼 초기 난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가 갑자기 난자가 밀려들기 시작했을 때, 그리고 한양대 병원이 연구계획서를 심의했는데 실제 난자는 미즈메디병원에서 공급됐을 때 당연히 의문을 제기하고 모든 연구 과정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확인해야 했다.
황우석 교수가 정녕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는지는 오직 자신만이 과학자의 최후 양심에 따라 밝힐 사안이고 누구도 시비를 걸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황우석 교수는 이 연구에서 '미필적 고의', 즉 불법 난자가 제공된 가능성을 인식하면서도 연구를 위해 그냥 방관했다는 비난을 비켜갈 수 있을지는 몰라도 책임 연구자로서 마땅히 역할을 감당하지 못했다는 더 큰 비판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황우석 교수가 연구자의 윤리, 즉 정직성을 지켰다고 해명하고 나서더라도 더 이상 그의 말에 도덕적 무게가 실리지 않게 돼 버렸다. 노성일 이사장이 이러한 결과를 예측했는지 알 수 없으나 이것이 바로 노성일 이사장이 가장 승산이 낮은 패를 쥐었다는 판단의 근거다.
***제발 내면의 '양심의 목소리'에 충실하라**
더욱이 노성일 이사장은 '국익'이니 '의사의 윤리'니 하면서 이 논쟁의 핵심과 전혀 관련이 없는 거대 담론을 끌어 들임으로써 투명한 공개와 해명을 기대한 사람들로부터 황우석 교수 연구팀이 과연 이 연구의 윤리적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심하게 만들었다. 사족이지만 의사의 윤리 때문에 연구원의 난자 제공 유무를 밝힐 수 없다는 주장은 엄정한 법적 규제 하에 있는 연구는 일반 진료 상황과 달리 문제가 됐을 때 언제라도 그 내용을 밝히게 되어 있다는 점에서 옳지 않다.
또한 노성일 이사장은 이 연구를 어떻게든 빨리 진행해야 하는 이해관계에 놓여 있던 분이기 때문에 그분이 국익을 말하는 것은 연구의 정직성에서 매우 중요한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의 배제 원칙에 정면으로 충돌한다.
필자는 이전 기고문을 통해 명예 제도에 따라 연구의 정직성 원칙에 충실하는 것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임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네이처>의 요구를 황우석 교수에 대한 배려로 볼 수 있느냐는 항의를 했다. 그러나 친구를 진정으로 위하는 사람은 위기의 순간에 귀에 순한 말을 하지 않는 법이다. 요컨대 <네이처>는 비록 삭막한 제목을 썼을지 몰라도 이 점을 알고 있기에 황우석 교수가 우회하지 말고 정공법을 쓰도록 요청한 것이다.
이제 황우석 교수의 정식 해명이 남아 있다. 필자는 제발 자충수를 두어 최악의 선택을 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 양심의 요청에 정직하게 반응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필자와 같은 후학들이 부디 과학계에서 '부정직함'이 갖고 올 쓰디 쓴 과실을 따먹지 않도록 배려해 주실 것을 정말 간절히 부탁드린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