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이야기로 한국사회의 현실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당신이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며 위로를 얻고 때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면 더욱 좋겠습니다.
이를 위한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노회찬재단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협력 운영하고 소셜 디자이너 '두잉'이 진행하는 '6411 사회극장'입니다.
'사회극'은 집단이 공유하는 문제를 탐색하는 작업입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이에 기초해 역할놀이를 합니다. 그리고 인식의 개선과 확산 때로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합니다. 심리상담 전문가가 이 과정을 함께합니다.
'6411 사회극장'을 준비한 우리는 '사회극'을 통해 올 한해 여성, 비정규직 등 사회적 약자들이 겪고 있는 삶의 문제를 조명하려 합니다. 이를 기록으로 남겨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려 합니다.
어쩌면 당사자들의 시선 속에 그들의 삶을 개선할 소중한 단서가 담겨 있을지도 모릅니다.
네 번째 기록은 고시원에 사는 중년 남성들과 함께한 사회극입니다.
중년이 돼 돌아온 고시촌...1.5평 방에 공용 부엌도 없어
장주영(가명, 60)씨는 2년 전 서울 관악구 대학동 고시촌으로 돌아왔다. 그는 20대 때 5년 동안 이곳에서 사법고시를 준비했다. 일방향 통행길이 가파르게 올라가는 윗동네에는 옛 고시원들이 남아있다. 사는 사람은 바뀌었다. 전국 고시원 평균 월세는 33만 4000원(2018년 국토교통부 실태조사), 사법시험이 폐지 된 뒤 이곳엔 그 평균 월세조차 감당할 수 없는 40~60대 독거 중년 남성들이 모여들었다. 주영 씨는 보증금 없이 월세 15만 원인 1.5평짜리 방을 잡았다. 이불을 깔려면 의자를 책상 위로 올려야 했다. 공용부엌도 없었다. 화기는 절대 금지였다. 밥은커녕 라면도 끓여먹을 수 없었다. 40년 전엔 고시원에서 계란프라이와 소시지도 줬는데 다 사라졌다. 10여명이 사는 한 층에 화장실 하나, 샤워기 한 대, 세탁기 한 대가 다였다. 에어컨은 복도에만 있었다. 여름엔 다들 방문을 열고 살았다.
대학동 고시촌으로 돌아온 뒤 6개월 동안 그는 고시원 밖으로 거의 나가지 않았다. 아팠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하지정맥류…. 당뇨 탓에 식사조절을 해야 했지만 엄두도 못 냈다. 한끼에 3500원 정도 하는 식당에서 사먹거나 사단법인 길벗사랑공동체 '해피인'에서 공짜 점심을 먹었다. 점심과 함께 받은 빵은 저녁을 위해 남겨뒀다. 몸뿐 아니라 마음을 다쳤다. 중산층에서 한발 헛디디니 허방이었다. 시작은 부인과 갈등이었다. 함께 학원을 운영했다. 재산은 모두 부인 명의였다. 그는 맨몸으로 집을 나왔다. 그 6개월 동안 그는 자살을 생각했다. 이혼하지 않은 상태고 부인이 소득이 있어 기초생활수급도 받을 수 없었다. "창피해서" 사람을 만나고 싶지 않았다.
그가 고시촌으로 돌아오기 전 봉사활동을 하며 알게 된 '해피인'에서 자꾸 찾아왔다. 이들을 도와 마을 전시회를 꾸리며 마음의 안정을 찾아갔다.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일하다보니 사는 재미가 살아났다. 2년 전엔 '해피인'에서 점심을 먹는 사람이 20~30명이었는데 그새 100명으로 늘었다. 아는 얼굴도 있었다. 40년 전 고시공부를 하던 '형님'은 70대가 된 지금도 고시원에 살았다. 사람들이 보였다. 사정은 제각각이었지만, 여기 아니면 더 갈 곳이 없다는 건 같았다. 혼자 살며 대체로 몸이 아프다는 점도 비슷했다. '수급자'는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노인도 청년도 아닌 이들은 복지체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
지난 4월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가 윗동네에 '참 소중한...' 센터를 열었다. 공용부엌이 없는 고시원 거주자들이 이곳에서 라면도 끓여먹고 탁구도 쳤다. '참 소중한...' 센터 이영우 신부 등과 함께 주영 씨는 '소행모(작은 행복을 모으는 모임)'를 꾸렸다. 윗동네 주민 20여 명이 참여한 자조모임이다. 함께 나무 상자를 만들고 꽃을 심어 꽃길을 만들었다. 사진 강의도 같이 들었다. 연말엔 사진전도 열 계획이다. 대학동 기록을 남기려고 소식지 만들려고 한다.
"갈 곳 없어 왔지만 이곳이 제2의 고향"
지난 6월 24일 주영 씨는 '참 소중한...' 센터에서 열린 '6411 사회극장'에 참여했다. 그를 포함해 윗동네 주민 8명이 모였다. 참여자들은 자신과 이웃의 모습을 담은 가상의 주인공을 상상해 즉흥극을 만든다. 그 즉흥극 안에 기쁨과 슬픔, 바람을 담는다. 이 '상상 놀이'에 정해진 규칙은 없다. 최대헌 '심리상담 청자다방' 대표, 오진아 '소셜디자이너 두잉' 대표가 진행을 맡았다.
주영 씨는 홍길동이란 인물에 자기 삶을 담았다.
참가자들은 각각 주인공을 떠올렸다.
사회자는 참여자들에게 누구 얘기를 더 듣고 싶은지 물었다. 다들 주영 씨를 가리켰다. 주영 씨의 홍길동이 오늘 사회극의 주인공이 됐다.
홍길동은 어느새 주영 씨 자신이 됐다.
사회자는 주영 씨에게 아이들과 아내, 형, 그리고 이곳에 오기 전 자신의 역할을 맡을 참여자를 뽑아보라고 했다. 무대에 주영 씨를 포함해 6명이 섰다. 사회자는 주영 씨에게 "이 사람들이 자신을 향해 어떻게 서 있을 거 같냐"고 물었다. 주영 씨는 자기를 이해하는 작은 아들 역할을 맡은 이를 자기를 바라보도록 세웠다. 주영 씨와 사이가 틀어진 큰 아들은 반쯤 뒤돌아 세웠다. 아내는 완전히 등을 돌렸다. 형님은 그를 바라봤다.
사회자는 그에게 이 모습을 보니 기분이 어떤지 물었다.
사회자는 주영 씨에게 혼자 방에 있는 상상을 해보라고 했다.
"건강, 취업 등 문제 복합적...종합지원센터 만들어줬으면"
즉흥극의 상황이 바뀌었다. 참여자들은 주민센터, 주거복지센터, 보건복지부 공무원 등의 역할을 맡았다. 그들에게 대학동 독거 중년 남성 대표로 홍길동 곧 주영 씨가 의견을 전달하는 자리다.
사회극장이 끝날 때쯤 참여자들은 포스트잇에 무엇이 달라지길 바라는지 써서 붙였다.
홍길동의 큰 아들 역할을 맡았던 참가자는 이렇게 말했다.
'참 소중한...' 센터 앞에는 자조모임 '소행모'에서 꽃을 심은 나무 상자가 놓여 있다. 그 나무 상자에 주영 씨가 심은 금잔화는 곧 만개할 테다. 한번 자라면 확 퍼져 그가 제일 좋아하는 꽃이다.
2.1평 이하 공간에서 한 달 137만 원으로 사는 고시원 거주자
- 한국도시연구소, <서울시 고시원 실태조사>
고시원의 주거 환경은 어떨까. 고시원에는 어떤 사람이 살까.
지난해 4월 서울시 연구 용역을 받아 한국도시연구소가 작성한 <서울시 고시원 거처상태 및 거주 가구 실태조사 통계보고서>에 대략적인 답이 나와 있다. 연구진은 서울 5807개 고시원, 15만 5379가구 중 661개소 2102개 가구를 표본으로 추출해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시원 거주 10가구 중 5가구는 2.1평 이하 공간에 산다. 월 평균 가구소득은 137만 1000원이다.
고시원 주거환경...좁고, 환기 안 되고 소음, 악취도
고시원 가구의 주거 전용면적은 7제곱미터 미만이 53.2%로 가장 많다. 7~10제곱미터 넓이 공간에 사는 가구 비율은 29%, 10제곱미터(3평) 이상 거주 가구 비율은 17.8%다. 10명 중 5명이 두 평 이하, 8명이 세 평 이하 공간에 사는 셈이다.
고시원 생활환경을 묻는 5점 척도 주관적 인식 평가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도 비좁음(3.1)이다. 그 뒤는 채광(3.42), 소음(3.53), 환기·악취(3.87) 등 순이다.
'창문이 없거나 작아 빛이 잘 들지 않고 환기가 되지 않으며, 얇은 벽 탓에 옆 방 소리가 들리는 좁은 방'이라는 고시원의 일반적인 이미지가 그려지는 결과다.
고시원 거주자들이 이 같은 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은 하루 평균 12.5시간이다.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이 시간은 길어진다. 100만 원 미만 가구는 하루 중 14.8시간, 60세 이상 가구는 하루 중 15.5시간을 고시원에서 보낸다.
고시원 거주자...소득 낮고, 남성, 30대 미만이 높은 비율
고시원 거주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137만 1000원, 평균 월세는 33만 5000원이다. 소득의 25% 정도를 월세로 쓰고 있는 셈이다.
소득 분포를 보면, 고시원 거주 가구 중 37.2%가 100만 원 미만을 번다. 이밖에 100~200만 원 36.6%, 200~300만 원 18.1%, 300만 원 이상 5.7% 등이다. 고시원 거주자의 근무형태는 임시 일용 노동자 34.1%, 상용 노동자 16.8%, 자영업자 3.2%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자 중 44.7%는 무직이라고 답했다.
고시원 거주자의 성별은 남성이 76.6%로 여성(23.4%)보다 많다. 연령대로 보면 30대 미만이 29.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60세 이상 19.8%, 50~59세 19.6%, 40~49세 15.9%, 30~39세 14.7% 등이었다.
가족과 연락이 단절되거나 건강이 좋지 않은 가구도 꽤 됐다. 고시원 거주 가구 중 가족, 친척과 연락을 끊고 산다고 답한 비율은 20.8%다. 20.9%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정도의 질환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계속 살겠다 83.1%, 절반은 경제적 이유...주거복지, 사회복지 절실
고시원 거주 가구 중 83.1%는 고시원에서 '계속 살겠다'고 답했다. 그 중 절반 정도는 경제적 이유를 댔다. 주거비가 저렴해서 30.3%, 임차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서 22.9% 등이다. 통근통학에 좋은 위치라서 계속 고시원에 살겠다고 답한 사람은 22.9%였다.
고시원 거주자들은 자신이 바라는 주거복지로 공공임대주택 20.7%, 월세 보조 10.4%, 전세자금 대출 5.9% 등을 꼽았다. 고시원 거주자들이 바라는 사회복지는 소득보조 48.2%, 일자리 지원 32.3%, 의료 지원 16.5% 순으로 나타났다.
최용락 기자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