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3일 11시 0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임정, '반탁'의 회오리에 말려들다!
[해방일기] 1945년 12월 28일
모스크바 외상 회담에서 한국 신탁 통치안이 결정된다는 사실 자체는 12월 28일의 공식 발표에 앞서 군정청과 한국 사회 일각에 알려져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정확한 내용이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은 12월 29일의 일이었다. 탁치 반대 운동은 28일에 일어나기 시작했다.
김기협 역사학자
2010.12.28 09:32:00
속이는 이승만, 속는 김구, 극악한 <동아일보>
[해방일기] 1945년 12월 27일
<동아일보>가 아직도 살아있는 신문이라면 해마다 12월 27일에는 1945년 12월 27일에 내보낸 이 기사에 대한 사과문과 반성문을 실어야 한다. 언론이 사회에 해악을 끼친 사례로 한국 언론사에서 가장 극악한 일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정용욱의 조사에 의하면 이 기사
2010.12.27 10:15:00
핀란드의 독립과 명예를 지킨 '연장전'
[해방일기] 1945년 12월 24일
1943년 말의 테헤란 회담, 1945년 2월의 얄타 회담, 그리고 1945년 7월의 포츠담 회담 등 중요한 연합국 회담은 미·영·소 3개국 사이에 이뤄졌다. 1945년 12월의 모스크바 외상 회담도 그 연장선 위에서 이뤄진 것이었다. 미·영·소 3국 체제는 전쟁 수행을 위한 비상 체
2010.12.24 09:52:00
"이승만 박사, 그 졸렬한 방법만을 탓하겠소!"
[해방일기] 1945년 12월 23일 :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⑤
1948년 7월 <신천지>에 기고하신 "기로에 선 조선 민족" 중 1945년 말경의 심경을 되짚은 대목이 있습니다. "(임정 귀국 이후) 1주일이 지나 벌써 민중은 불안을 품었고, 1개월이 되어서는 초조하였다. '남북 통일-좌우 합작'이 구호처럼 들렸고, 임정 내부 좌
2010.12.23 08:41:00
이승만이 극우를 선택한 이유는…
[해방일기] 1945년 12월 22일
해방 당시 이승만은 미국 국무성에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취급받고 있었다. 그의 귀국에도 국무성은 비협조적인 태도였지만, 맥아더 등 군부 인사들의 호의로 쉽게 귀국할 수 있었다. 중국을 거쳐서 올지, 마닐라나 도쿄를 거쳐서 올지, 이승만 본인이 원하는
2010.12.22 10:03:00
김구는 이승만을 '절대 신임'하였을까?
[해방일기] 1945년 12월 21일
1903년 초부터 1905년 7월 사이에 한국인 7226명이 65척의 이민선을 타고 하와이에 도착했다. 이로써 인접국이 아닌 나라로는 미국이 가장 큰 교민 집단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재미 교민 집단은 그 후 해방 때까지도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정병준의 <우남 이승만 연구&g
2010.12.21 08:40:00
매카시 광풍의 선구자는 바로 이승만!
[해방일기] 1945년 12월 20일
1950년 2월 9일 웨스트버지니아 주 휠링의 한 여성 공화당원 모임에서 연설 중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호주머니에서 종이 한 장을 꺼냈다. "여기에 205명의 이름이 적혀 있습니다. 공산당 당원이라는 사실을 국무장관이 파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국무성 안에서 일
2010.12.20 08:45:00
누가 돈벼락을 맞았을까?
[해방일기] 1945년 12월 17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 일본인의 횡령과 독직에 관한 몇 가지 기사가 보였다. 12월 7일자의 기사 (3)에서 말한 30여 건 사건 중 비교적 굵직한 것들이 보도된 것이겠지만, 간부급이 연루된 규모로 보아 평상시의 산발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시스템 붕괴
2010.12.17 08:45:00
돈이 주먹을 부르다
[해방일기] 1945년 12월 16일
우익 폭력에 어떤 사람들이 동원되었는가? 1930년생으로 평양에서 자라고 1946년 8월 단신 월남한 채병률의 회고에서 그 전형적 모습을 알아볼 수 있다.
2010.12.16 08:38:00
드러나기 시작한 美의 한국 분단 의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한국의 독립 방침을 연합국이 정한 것은 1943년 11월 하순의 카이로 선언이었다. 미국, 중국, 영국의 3개국이 여기에 참여했다. 대 일본 전쟁 방침을 의논하는 카이로 회담에는 일본과 불가침 조약을 맺고 있던 소련이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에 며칠
2010.12.15 08: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