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8월 14일 21시 30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트럼프, 중국은 부담스러웠나…인도에는 관세 때리더니 중국엔 '관세 유예 연장'
트럼프, 11월10일까지 대중 관세 유예 확정…미중 정상회담에 中 희토류 협상패 효과 관측
11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관세 유예 만료 직전에 이를 다시 90일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러시아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는 현상 유지를 택한 것을 두고 미·중 정상회담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희토류 수출 통제 등 중국이 가진 협상패가 생각보다 강력했
김효진 기자
2025.08.12 21:02:17
4년만에 미러 정상회담, 러우 전쟁 끝낼 수 있을까…러시아 "다음주 미국과 정상회담"
러 "장소 합의 완료·추후 공개"…트럼프, 인도에 50% 관세 폭탄 '대러 2차 제재' 시동
러시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다음 주 정상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고 밝혀 우크라이나전 휴전 협상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원유 수입을 근거로 인도에 50% 관세를 부과하며 예고한 대러 2차 제재에 시동을 걸기도 했다. 중국에 대한 유사한 제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나렌드라
2025.08.07 21:31:51
트럼프가 불댕긴 '선거구 조작 전쟁' 미 전역으로 확대
텍사스 넘어 공화당 우세주들 적극 가담 분위기·캘리포니아 등 민주당 주들도 '맞불' 경고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텍사스주가 불을 댕긴 당파적 선거구 조작(게리맨더링) 전쟁이 미 전역으로 확산 중이다. 공화당이 우세한 주들이 앞다퉈 자당에 유리한 선거구 재구획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이 강세인 주들도 공화당이 이를 시행한다면 맞불을 놓겠다고 경고 중이다. 분석가들은 승자가 불분명한 이 싸움에서 희생
2025.08.07 07:17:50
'오락가락' 트럼프, 3선 도전에 "아마도 아닐 것"이라더니 "다시 출마하고 싶다"
'내맘대로' 트럼프…이미 미국산 개방한 한국에 "이번 합의로 시장 개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 번째 임기에 도전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시 출마하고 싶다고 말하며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본인을 이을 후계자로 J.D 밴스 부통령을 언급하기도 했다. 5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방송 CNBC와 전화 인터뷰를 가진 트럼프 대통령은 2028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3선에 도전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아
이재호 기자
2025.08.06 17:34:07
트럼프 '인도 압박' 목적은 관세 협상? 우크라전 휴전?
러 원유 구매 재차 비판하며 인도 관세 인상 예고·'중국 견제' 협력 기조서 변화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 관련 관세 압박을 강화하며 중국 견제를 위해 협력해 왔던 양국 관계에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인내심을 잃고 있는 듯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를 통해 우크라전 휴전 압박에 나선 것인지 혹은 관세 협상 전술에 그칠 것인지 주목이 모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이
2025.08.05 18:16:01
동맹에 더 가혹한 트럼프…이웃국가 캐나다 관세 35%로 인상한 '새 상호관세' 발표
동남아국 일부엔 40%·환적 땐 40% 추가 관세…한·일보다 높은 20% 관세 대만 '고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일본·유럽연합(EU) 등과의 합의가 반영된 새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발표하고 적용 시점을 8월7일(이하 현지시간)로 연기했다. 동남아 국가 중 미국과 합의에 이르지 못한 나라들엔 최고 수준의 관세가 책정됐고 고율 관세를 우회하기 위한 환적(transshipment)엔 추가 40% 관세가 부과된다. 캐나다 관세는 35%로 인상
2025.08.01 21:19:01
한미 관세 합의, 외신 평가는? "한미, 투자수익 배분 등 해석 갈릴 수도"
'투자수익 90% 미국에' 유사 조건 합의한 일본 이미 "기여도 기준 분배" 이견…이 대통령의 "정치적 승리" 평가도
상호관세 발효를 목전에 두고 한국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데 대해 외신은 수출 주도 경제인 한국에 안도감을 준다면서도 세부 내용이 불확실해 투자 수익 배분 등 관련 양국 간 해석 차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30일(이하 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한국 경제가 수출에 "극도로 의존"하고 있고 주력 수출품목인 자동차 부문에서 기부
2025.07.31 19:13:56
일본 이어 유럽도 미와 관세 15% 협상 타결…한국도 15%선 관세 가능할까
미 상무 "8월1일 이후 관세 유예 연장 없어·협상은 계속"
유럽연합(EU)이 2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자동차를 포함해 대부분 물품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관세 인하 대가로 1000조원 이상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고 830조원 규모 미국 투자도 약속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자동차 관세는 15%로 인하한 것이 "최선"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
2025.07.28 18:31:37
미일 관세 협상, 상호·자동차관세 각 15%로 인하…한국도 이 정도에서 타결될까?
철강 관세는 유지·방위비는 협상서 제외…일 "대미 흑자국 중 최저 관세"
일본이 미국과 무역협정을 타결해 상호관세를 15%로 낮췄다. 협상의 일본 쪽 최대 초점이었던 자동차 관세도 15%로 인하됐다. 미국의 동아시아 동맹, 대미 무역 흑자국이자 자동차가 주요 수출품이라는 공통점을 지닌 일본의 협상 사례는 한국에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선거 참패에도 대미 협상 등을 이유로 버텼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거취에도 다시
2025.07.23 21:31:06
트럼프, 한국에 관세 압박 계속하면 한국은 미국 무기 못산다
최승환 일리노이대 교수 "한국과의안보 동맹 강화하고 무역 긴장을 완화하는 것이 미국 국익에 부합"
트럼프 미 정부가 한국에 대한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해 일방적인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등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이렇게 되면 한국이 이전과 같이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구입할 수도 없고, 미국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과 가까워지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미 일리노이대학교 최승환 교수는 외교전문 매체 <더 디플로맷>에
2025.07.18 15:2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