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있었던 궤도 5개사 노조의 총파업과 관련해 2개 신문사가 자신들의 보도내용에 잘못이 있었음을 시인하고 정정보도문을 게재키로 했다.
***언론중재위, 문화·파이낸셜뉴스에 정정보도 게재 결정**
언론중재위원회는 지난 8일과 9일 이틀 연속으로 열린 심리에서 문화일보와 파이낸셜뉴스에 각각 정정보도문을 게재하라고 결정했다. 국민일보와 헤럴드경제는 당사자간의 이견이 커 중재불성립 결정이 내려졌다.
이에 앞서 서울지하철노조는 지난 8월 31일 언론재중재위원회에 국민일보, 문화일보, 파이낸셜뉴스, 헤럴드경제 등 4개 신문사를 상대로 정정보도문 게재를 신청했었다.
서울지하철노조측은 신청서에서 “궤도 5개사노조 총파업 당시 지하철노동자들의 요구는 주5일제 법제화에 따라 줄어든 법정 노동시간만큼 지하, 야간, 교대근무에 찌든 노동자들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지하철의 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일자리 나누기를 통해 청년실업문제에 공기업이 앞장 서 부응하자는 것 이었다”며 “그러나 적지 않은 언론사들은 이를 ‘지나친 임금인상’ ‘이라크 파병철회 등 정치적 이슈를 걸고 파업을 한다’ 등으로 왜곡 보도했다”고 밝혔다.
서울지하철노조측은 “일부 언론의 이같은 적대적 보도행태는 노동자·노동조합의 명예와 도덕성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여론을 등에 업은 사용자측의 노조탄압을 더욱 부추겨 갈등과 파국을 재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문화일보는 지난 7월 24일자 <잘못된 파업 사실상 자인한 노조> 제하의 사설에서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양 공사 합쳐 누적적자는 8조원에 육박하고 지난해에만 증원, 임금인상에 필요한 1조 2천억원을 (서울) 시 보조금으로 충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확인결과 지난해 서울지하철공사가 임금인상에 쓴 비용은 2백50억원이었고, 신규 채용인력도 펜싱선수 2명에 불과했다. 사설 내용대로라면 펜싱선수 2명의 연봉이 무려 1조원에 가깝다는 얘기가 된다.
또, 파이낸셜뉴스는 지난 7월 25일자 <여론 불리 서둘러 철회, 노노갈등 상처로 남아> 제하의 보도에서 “(지하철노조가) 근로조건 개선과는 무관한 이라크 파병 반대 등 정치적 요소를 들고 나와 파업을 했다”고 했으나 지하철노조의 요구사항 중 파병반대와 관련한 문구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차 중재 준비, “중재불성립 언론사 민사 소송”**
이밖에 국민일보는 7월 25일자 <지하철 파업 무엇을 얻었나> 제하의 사설에서 “한 달 19일 근무에 연봉 4천 5백만원을 받는 근로자들이 근무일수를 14일로 줄여달라 요구했다”고 보도했고, 헤럴드경제는 지난 7월 23일자 <세상 속으로, ‘파업 도미노’> 제하의 기사에서 “지하철노조가 동시다발적으로 파업을 벌이고 있다. 역시 관건은 임금인상이다”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서울지하철노조 이호영 선전홍보부장은 “지하철은 근무특성상 출근과 근무 사이에 엄청난 차이가 있고, 엄밀히 말해 한 달에 19일을 출근하지만 밤을 지새우기 때문에 근무일수는 26일이 된다”며 “이는 당시 두 공사가 중앙일간지에 대대적으로 뿌린 의견광고 문구를 베끼면서 실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부장은 또 “헤럴드경제의 경우에는 궤도연대파업의 주요 이슈가 인력충원이었음에도 의도적으로 이를 임금인상으로 몰아세웠다”며 “두 신문사에 대해서는 현재 민사소송을 준비중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하철노조측은 4개 신문사 이외의 다른 언론사 관련 보도에 대해서도 2차 언론중재위 신청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호영 부장은 “1차 중재신청은 가장 악의적 보도를 내보낸 신문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2차는 교묘하게 사실을 왜곡한 언론사들까지 포함할 계획”이라며 “아직 대구지하철노조의 파업이 계속되고 있는 관계로 마무리 시점에서 궤도 5개사노조 공동으로 언론중재 신청을 하는 방안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