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朴정부 문체부 "노무현 미화 연극 대본 고쳐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朴정부 문체부 "노무현 미화 연극 대본 고쳐라"

연극 <개구리> 대본 수정..."국립예술단체 광범위 부당 개입"

문화체육관광부가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3년 정치적 편향성을 이유로 창작 연극 <개구리>의 대본 수정을 요구했고, 실제 문체부 요구에 따라 시나리오가 수정됐음을 확인하는 문건이 공개됐다.

이 작품뿐만 아니라, 문체부가 박근혜 정부 당시 국립예술단체의 작품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부당한 개입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개구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미화하고 박정희·박근혜 전 대통령을 풍자한 작품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2013년 9월 문체부 창작지원 대상에서 배제돼,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올랐다는 의혹이 그간 제기된 바 있다.

<개구리> 대본에서 주인공은 현실을 구제하기 위해 저승의 '그 분'을 찾아 떠나는데, '그 분'은 자신 대신 저승에 있는 주인공의 어머니를 이승으로 내려 보낸다. 문제는, 당초 대본에서는 '그 분'이 이승으로 내려오지만, 수정 후 '그 분' 대신 주인공의 어머니가 이승으로 돌아온다는 데 있다.

이 연극에서 '그 분'은 노무현 전 대통령을 상징한다.

30일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는 서울 광화문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3년 문체부 공연전통예술과 문건을 공개했다.

'국립극단 기획공연 <개구리> 관련 현안 보고'라는 제목의 문건에서 문체부는 이 연극을 두고 "일부 정치 편향적이라 오해될 소지가 존재"한다며 그 사례로 △'그 분(노무현 전 대통령 상징)'과 '카멜레온(박정희 전 대통령 상징)'의 대화를 통해 '그 분'을 미화, '카멜레온'을 비하적으로 묘사했고 △국정원 선거 개입 사건을 '기말고사 커닝'으로 풍자했다는 점을 꼽았다.

문체부는 해당 문건에서 이 같은 이유로 "연출가로 하여금 어머니가 지상으로 내려오는 결말로 수정토록 했"고 "과도한 정치적 풍자를 대폭 완화토록 지시"했다며 "문제의 소지를 최소화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체부는 '향후 조치계획' 부문에서 "향후 국립극단 작품에 '편향된 정치적 소재'는 배제토록 강력 조치"하고 "전 국립예술단체 주관 공연에는 정치적 편향의 내용은 배제토록 협조 요청"하며 "현 국립극단 예술감독(손진책) 교체를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문체부가 직접 창작 연극 내용에 손질했다는 것만으로도 논란의 소지가 크며, 나아가 정치적으로도 큰 논란이 불가피한 대목이다. 문체부가 정권 입맛에 맞춰 예술 작품 내용은 물론 관련 인사에까지 개입했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문체부도 이 같은 조치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었다. '향후 조치계획' 부문에서 문체부는 "창작의 자유 침해 논란, 연극계 및 관객의 반발 등 불필요한 논란 초래가 가능"하다고 적시했다.

이와 관련, 진상조사위에 따르면 2013년 9월 9일 김기춘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개구리>를 두고 "용서가 안 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청와대에서 이 연극이 논란이 된 후, 그 후속 조치로 문체부가 이 같은 일을 추진했다는 정황상 추론이 가능하다.

진상조사위는 "(박근혜 정부 당시) 국립예술단체인 국립극단에도 사전 검열이 조직적으로 이뤄졌음이 새롭게 확인됐다"며 "블랙리스트가 단순히 지원배제만이 아니라, 작품 내용 개입에까지 활용됐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진상조사위는 2015년 10월 국립국악원 금요공감 공연 <소월산천>에도 블랙리스트가 영향을 미쳤고, 국립현대무용단의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공연 <이미아직>의 경우 국정원이 이 작품 협업작가였던 주재환 작가에게 문제를 제기한 정황도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국립예술기관 차원의 작품 전반에 걸쳐 박근혜 정부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 가능한 대목이다.

진상조사위는 "'정치적 편향 내용' 검열 조치가 국립예술단체 전체에 걸쳐 실제 집행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관련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학계를 향한 문체부의 부당 개입 사실 역시 추가로 드러났다. 한국문학번역원의 경우, 2015~2016년에 걸쳐 문체부가 내려보낸 블랙리스트에 따라 이시영, 김연수, 김애란, 신경림, 박범신 작가를 해외교류사업에서 배제했다.

진상조사위는 "피해를 입은 작가로부터 사건 접수를 받아 조사에 착수했다"며 "배제된 작가 일부는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좌파 단체로 분류된 한국작가회의 소속이며, 세월호 관련 시국선언 참여자"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