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참가한 문재인, 안희정, 이재명 후보에 이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측에도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1) 000의 사건 세 가지, 2) 000을 만든 세 사람, 3) 000이 바꿀 미래 세 가지.
후보들이 보내온 답변에 맞춰 한 후보당 1~2회에 걸쳐 게재합니다. 심상정 후보의 '세 가지'입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2017년 대선에 출마한 유일한 원내 진보정당 후보입니다. 문재인(더불어민주당)-안철수(국민의당) 양강 구도로 진행되는 이번 대선에서 심 후보는 지지율 3% 안팎으로 4~5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심 후보는 "촛불 민심을 받들 수 있는 후보"를 자처하면서 '노동이 당당한 나라'를 이번 선거의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습니다.
이번 대선에서 심 후보의 과제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완주'와 '의미 있는 득표율'입니다. 백기완(14대 대선), 권영길(15~17대 대선)에 이은 세 번째 진보진영 대선 주자인 그는 2012년 사퇴한 아픈 경험이 있습니다. 그는 진보정의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지만, 후보 등록 직전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지지하면서 물러났습니다. 이번에도 문-안 두 후보가 막판까지 박빙의 승부를 벌일 경우, 사퇴 압박이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 있습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가 안철수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하지 않겠냐는 관측과 거울상입니다.
완주보다 더 중요한 과제는 사퇴 압력을 뒷받침하는 '사표론'을 잠재울 만큼의 득표율입니다. 정의당은 그 숫자를 '5%'로 보고 있습니다. 역대 진보 후보 중 최다 득표율은 2002년 대선에서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가 얻은 3.9%(95만7148표)였습니다. 100만 표를 훌쩍 넘기겠다는 목표입니다.
심 후보는 지난 13일 있었던 첫 대선후보 TV토론에서 분명한 색깔과 존재감을 보여줬습니다. 이제 채 한 달이 남지 않은 대선 기간 그가 진보정당을 수십 년간 괴롭혔던 '사표론'을 잠재우고 '2016년 촛불 혁명'의 민심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심상정 후보가 꼽은 세 가지 사건은 다른 후보와 차별되는 그의 삶의 궤적을 보여줍니다. 첫 번째 사건은 '1985년 구로동맹파업'입니다. 서울대 출신인 그는 1980년 구로공단에 위장 취업하면서 본격적인 노동운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구로동맹파업은 한국전쟁 이후 일간지 1면에 처음 보도된 노동사건이었다. 내가 언론과 맺은 첫 인연도 구로동맹파업이었다. 그해 6월 KBS <9시뉴스>에 '구로동맹파업 배후 주모자 검거에 현상금 500만 원, 일계급 특진'을 걸었다는 내용과 내 증명사진이 보도됐다."
이 사건의 배후 주모자로 지목된 심 후보는 이후 9년 동안 지명수배자로 지냈습니다. 또 1300명의 해고 및 강제사직, 44명의 구속, 부상자 130명이라는 큰 파장을 낳은 이 사건으로 심 후보는 노동운동가로서 삶을 살게 됐습니다.
'전설적인 여성 노동운동가'인 그가 정치인이 된 것은 2004년 총선을 통해서입니다. 이때 처음 도입된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덕분에 민주노동당은 10석을 얻으면서 원내에 진출하게 됩니다. 심 후보는 당시 비례 순번 1번으로 의원이 됐습니다. 심 후보는 2004년 국회 진출을 인생 두 번째 사건으로 꼽으면서 "노동자에게도 정당과 국회의원이 있고, 노동자도 정치를 한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굉장한 충격이었다"며 "'저 당이 우리 당이다', '노동자도 정치의 주인일 수 있다'는 것이 엄청난 헌신과 열정을 불러일으켰다"고 회고했습니다. 이때 같이 의회에 입성한 노회찬 의원과 함께 심 후보는 진보 정당의 '스타 정치인'으로 대중들에게 각인됐습니다.
세 번째 사건은 '2017 대선 출마'입니다. 심 후보는 완주 의지를 거듭 밝힙니다. 그는 "그간 대선에 출마한 진보정당 후보는 진보적 시민들의 '비판적 지지'의 대상이었지만 이번 대선은 다르다"며 "정권 교체는 이미 국민들이 해놓았다. 개혁 경쟁으로 승부할 수 있는 선거"라고 이번 대선의 차별점에 대해 말합니다.
"내게는 이번 대선을 통해 이루고 싶은 꿈이 있다. 그 꿈은 대통령보다, 정권교체보다 더 큰 꿈이다. 바로 60년 대한민국의 노선을 대전환하는 것이다. 승자독식, 성장 제일주의의 대한민국 사회를 확 바꾸는 것이다. 그래서 노동이 당당한 나라, 우리 청년들이 다시 사랑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고 싶다."
"내 삶을 바꾸는 대통령"이 되고 싶다는, '노동'을 정치의 키워드로 삼고 있는 심 후보가 선택한 '세 사람'도 타 후보와 차이를 보입니다. 첫 번째 사람은 전태일 열사입니다.
1970년 서울 동대문 평화시장에서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며 분신한 전태일 열사에 대해 심 후보는 "내 인생의 들불이자 나침반"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스물두 살 때 미싱사 자격증을 따게 된 이유가 전태일 열사 때문이었다. 낮은 곳을 향한 끝없는 연민과 인간 해방을 향한 불굴의 의지로 대변되는 전태일 정신에서 진정한 민주주의와 진보의 길을 배웠다."
두 번째 사람은 남편 이승배 씨입니다. 이 씨는 2004년 심 후보가 국회의원이 된 이후 14년간 가사일을 도맡아 해왔고, 이번 선거 과정에서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심 후보는 많은 여성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남편이 집안 살림을 책임져 주면서 자유로운 의정 활동이 가능했다. 남편에게 제일 고마운 점은 제가 엄마 노릇을 제대로 못 했는데 남편이 아들과 굉장히 많은 시간을 보냈고, 그래서 아들이 밝고 반듯하게 자라줬다는 점이다."
세 번째 사람은 청년 노동자 임선재 씨입니다. 임 씨는 지난 9일 '여의도 벚꽃축제' 마지막 날에 4년 동안 사귄 여자 친구와 함께 결혼 예복을 입고 동료들과 함께 "최저임금을 1만 원으로 올려달라"는 퍼포먼스를 했습니다. 임 씨는 지하철 스크린도어 유지·보수업체에서 일합니다. 19세 청년이 서울 구의역에서 사고를 당했던 바로 그 일입니다. 임 씨는 야간노동까지 해야 한 달에 190만 원 정도를 버는데 이 돈으로는 결혼을 할 수 없다며 최저임금 1만 원 인상을 요구했습니다. 심 후보는 이 시대 수 많은 청년들의 처지를 대변하는 임 씨의 얘기를 매우 가슴 아프게 들었다고 합니다.
"이 청년의 소박한 꿈을 이뤄주는, 청년이 사랑하는 나라를 만들고 싶다. 이 친구 결혼시키는 게 내 목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