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한반도에 가장 위협적인 중국의 대공 미사일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한반도에 가장 위협적인 중국의 대공 미사일은?

[김태호의 중국 군사 세계] 중국군 내 러시아 첨단 무기 ⑧

1990년대 초 이후 중국은 러시아로부터 각종 무기 체계, 즉 하드웨어를 도입했고, 그 중점은 공중 무기>해상 무기>지상 무기 순이었다. 동시에 중국은 하드웨어의 수입을 최소화하고 그 대신 첨단 기술 획득을 통해 국내 방산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20여 년이 지난 현재, 중국은 상당한 성과를 이룬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글에서 다루려는 지상 무기 체계의 도입은 종류나 수량 면에서 상당히 제한적인데 그 이유는 자명하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거의 모든 지상 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고, 무기 수량도 많을 뿐만 아니라 재고가 쌓여 있다. 뿐만 아니라 냉전 종식 이후에는 중국에 대한 지상 위협이 현저히 감소했다.

또 중국의 방산 업체는 개혁 개방 이후 "군수에서 민수로(軍轉民)"라는 구호 하에 군수품이 아닌 민수품의 개발 생산에 주력했고, 기업의 이윤 창출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개략적으로 2000년을 기준으로 중국 방산 업체의 총 생산량 중 군수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이내, 민수품 비중은 80%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국가의 대외 전략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 외교부의 공식 발표를 믿기보다는 특정 무기 체계가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라는 말이 있다. 적어도 후자가 더 신빙성 있는 근거가 된다는 표현일 것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중국이 러시아로부터 도입한 일부 무기 체계는 이와 같은 사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중국은 1990년대 초 러시아제 T-72 주전차(MBT) 50대, 장갑 차량 70대, 그리고 구형 T-62 주전차를 다량으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사실 수량은 많은 편이 아니다. 더욱이, 중국군의 예산 및 전략상의 소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1980년대 중반 이후 국경 지대(즉, 국경 내외)에서의 소규모 단기전에 대비한 '유한국부전쟁(有限局部戰爭)' 전략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에 필요한 전력은 '권두부대(拳頭部隊)'라고 불리는 신속대응군(RRU)이다. 동 부대에 첨단 지상 무기가 배정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S-300/S-400 대공 방어 체계와 그 위력

여기서 논의하는 체계는 지대지(SSM)가 아닌 지대공(SAM) 미사일임을 미리 밝혀 둔다. 지대지 미사일은 1만 킬로미터 이상 날아가는 ICBM(대륙 간 탄도 미사일)도 있으나 대공/방공 미사일인 SAM은 사거리가 제한되어 있고, 공중의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할 목적을 갖고 있다.

중국의 러시아제 지상 무기 도입은 매우 제한적이나 대표적인 예외 사례는 대공 미사일이다. 중국은 1990년대 초 이후 현재까지 러시아의 S-300/S-400 체계를 도입하고 있는데 그 목적은 매우 다양하다. 동 체계는 베이징, 상하이와 같은 주요 도시 및 하이난(海南) 섬의 잠수함 기지를 방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만(타이완)을 포함한 중국의 주변/국경 지역에 배치될 경우 외국 항공기(즉, 정찰기)나 함정의 작전 제한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주요 목적은 기술 도입을 통한 국내 대공 미사일 체계의 성능 개선이다.

중국이 최초로 러시아 S-300/SA-10(PMU, Grumble)을 도입한 시점은 1993년인데, 당시 100발을 도입했다. 수량적으로 많지 않았기 때문에 실전 배치보다는 연구 개발 목적으로 봐야 하고, 당시 중국의 저고도 대공 미사일인 RF-61A를 보완하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또 중국은 1997년 Tor-M1 저/중고도 대공 미사일 발사대 13~15기(9M331 미사일 120발), 그리고 1999년 동 체계 발사대 20기(미사일 수량 미상)의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목적 중 하나는 S-300/SA-10 계열 미사일 전력의 보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에도 중국은 동 체계를 지속적으로 도입했는데, 2001년 S-300/SA-10 (PMU-1) 168기/발(발사대와 미사일 포함), 2002년 4개 대대분(330기/발), 그리고 S-300/SA-10 (PMU-2) 8개 대대분(749기/발)의 계약을 체결했다. 문제는 계약 시기와 이전/배치 시기 간의 차이로 인해 수량이 중복 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종합하면, 2006년 당시 중국의 방공/대공 미사일 전력은 S-300/SA-10 994발, 중국 국내형인 HQ(紅旗)-9 24발, HQ-7 60발 이상, 그리고 구형인 HQ-2/SA-2를 500발 이상 보유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동 년 중국이 S-300/SA-10 (PMU-2) 미사일 8개 대대분(약 10억불 상당)을 추가로 계약했다는 보도가 있으나 중복 산정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의 대공/방공 미사일 체계 도입에서 가장 중요하고 주변에 위협이 되는 체계는 S-400/SA-21(Triumf)이다. 동 체계는 작년(2015년) 4월 러시아 측이 계약 체결이 임박했음을 발표했고, 작년 말에 계약이 체결됐다. 내년(2017년)에 인도되는 S-400/SA-21 체계는 러시아의 최초 대외 판매이며, 미사일에 따라 사거리가 무려 400킬로미터이다. 총 4~6개 대대분(약 20억~30억 달러)인데, 일반 포대와는 달리 방공/대공 미사일 대대는 1개 대대가 6기의 발사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총 24기에서 36기가 도입된다.

▲ 중국 대공 미사일 체계 중 가장 위협적인 S-400(Triumf). ⓒMil.ru

동 체계의 미사일은 복잡한 편인데, 사거리가 100킬로미터인 91N6E, 120킬로미터인 9M96E2, 250킬로미터인 48N6이 있다. 가장 사거리가 긴 미사일은 40N6인데 대공 사거리가 400킬로미터이다. 사거리가 400킬로미터라는 것은 동아시아 4개 분쟁 지역(남중국해, 동중국해, 대만해협, 한반도 등) 중에 대만해협과 한반도를 작전 반경 안에 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금년도 미 국방부가 의회에 제출한 <중국 군사력 보고서> 2016년판은 중국의 S-400 대공 미사일은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의 요격에 적합함을 지적하고 있고, 이외에도 중국의 국내 개발형인 CSA-9 장거리 대공 미사일 체계는 거점 방어용(point defense)으로서 미사일 요격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중국은 다층 대공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미 획득한 S-300 계열을 포함한 러시아 방공 체계 도입을 통해 기술지원을 획득했음에 틀림이 없다.

S-400/SA-21의 도입과 한반도의 안보

지난 20여 년간 지속되어 온 중국의 러시아 방공 미사일 체계 도입은 조금씩이나마 그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우선적으로 중국 대륙에 근접한 해역에서의 정찰, 감시 활동은 과거보다 자유롭지 못하게 될 것이다. 특히, 중국이 2013년 11월 동중국해에 선포한 방공 식별 구역(ADIZ) 내에서는 더욱 조심을 할 필요가 있다. 당시 중국은 동 구역 내 모든 외국 항공기(민간 및 군용)와 선박은 중국 당국에 사전 신고해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대만해협의 경우는 반(反)접근 전략과 깊은 연관이 있는데 유사시 대만해협 혹은 인근 해역에 진입하는 모든 항공기나 함정은 중국의 대공 방어 체계의 사정권에 들게 된다. 이는 당연히 우려할 사항이고 이에 대해서는 대만 및 타국에서도 면밀히 연구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우리도 손 놓고 있을 상황이 아니다. 다만 이를 공론화하는 연구나 기사는 본 적이 없다. 특히, 사드(THAAD)의 주한 미군 내 배치에 대한 국내 논쟁과 중국의 강한 반발을 고려할 때, 중국의 대공/방공 미사일 체계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율배반적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그것이 '강대국의 논리'이다. 자국의 대공 방어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태호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장 겸 한림대만연구소장을 맡고 있고, 국방부와 해군의 자문위원이다. SSCI 등재지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의 3事(人事, 外事, 軍事)이다. "Sino-ROK Relations at a Crossroads" "China's Anti-Access Strategy and Regional Contingencies" 등 150여 편의 논문이 있고,<동아시아 주요 해양 분쟁과 중국의 군사력>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