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소설 <남부군>, 실제 인물은 이렇게 말한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소설 <남부군>, 실제 인물은 이렇게 말한다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의 기록] 전라북도 순창 ③

덕유산 '송치골 회의', 그리고 빨치산 재편

빨치산 병력은 수시로 재편됐다. 그만큼 전선의 변화가 극심했고, 상황은 급박하게 돌아갔다.


녹음이 짙푸르던 1951년 8월의 일이다. 남부지구(회문산 일대) 역시 군경에 의한 대공세가 이뤄지자 병단을 사단제로 개편한다. 기포병단은 407연대, 카츄사병단은 408연대로 바뀌었고, 두 연대가 합쳐져 46사단을 이뤘다. 도당 보위부대를 이끈 쌍치 출신 박판서(또는 박판쇠. 그의 호를 따 일명 백암사령관으로 통함)가 사단을 총지휘했다. 전쟁 전부터 좌익으로 활동한 백암은 1956년 전북 쌍치트에서 군경 토벌대에 의해 사살된 것으로 전해진다.


일명 '이현상 부대'로 불린 '조선인민유격대남부군단'(정식 명칭 '조선인민유격대 독립 제4지대')가 강원도에서 편성돼 덕유산까지 내려오던 시기도 1951년 이맘때다. 그리고 이곳의 일부 병력과 함께 지리산으로 후퇴한 시점이기도 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 그 <남부군>의 얘기다.


이에 앞선 5월 하순과 7월 중순 덕유산 송치골에서 이현상 주재 하에 충남(위원장 남충렬 : 본명 박우헌, 부위원장 유영기)·북(위원장 이성경, 부위원장 정해수), 전남(위원장 박영발 또는 박영달, 부위원장 김선우)·북(위원장 방준표, 부위원장 조병하), 경남(위원장 남경우, 부위원장 김삼홍: 본명 김병인)·북(위원장 박종근, 부위원장 이영삼)의 남한 6개 도당위원장 회의가 소집된다.

▲ 65년 전 꽃 같던 청춘의 절규와 한이 능선 마디마디에 배인 채 이들의 선혈은 산에 있는 모든 것의 뿌리로 스며들었다. 사진은 덕유산 향적봉에서 바라본 무주군 안성면과 그 뒤로 이어진 운해의 모습. ⓒ국립공원관리공단

빨치산사(史)에서 '송치골 회의'가 갖는 의미는 상당하다. 바로 이곳에서 이현상은 남부군 총사령관에 임명되고, 남한 일대 유격 투쟁의 총지휘를 맡게 된다. 남한 전역에 대한 투쟁 방안과 유기적인 빨치산 조직 체계(각 도당의 사단제 편재 및 남부군 산하 편입)가 송치골 회의에서 모두 결정된 셈이었다.


다만, 전남도당과 전북도당(사단 편재만 이현상의 지시에 따랐으며, 덕유산 등 일부 병력이 남부군으로 병합됨)은 빨치산 투쟁도 당이 지도해야 한다는 원칙과 중앙당의 명령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이를 거부, 독자적 활동을 전개했다.

'6개 도당 회의' 후 충남 빨치산은 68사단으로, 전북 북부 지역 빨치산은 45사단으로 각각 재편됐다. 또 전북 남부의 각 유격대 역시 46사단과 53사단으로 개편됐고, 남부군 직속 부대로는 81사단, 92사단, 602사단(비전투 보급 부대)이 구성됐다. 지리산 남단인 경남 지역은 불꽃사단(경남도당 유격대)과 각 지방 무장 부대를 조직하여 57사단을 편성했다.


407연대 2대대와 6대대는 성수산에서 연대장 지휘를 받으며 사단본부와 함께 활동했다. 2대대 소속이던 임방규도 여기에 포함됐다. 군경 토벌대 작전은 거침이 없었다. 빨치산 부대는 거의 분산됐고, 연대장 최일관은 총상을 입은 채 환자트에 보내졌다가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자 결국 자결을 택했다.

참모장 이상윤이 통솔한 3대대 역시 고전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마지막까지 항전했지만, 이들 역시 토벌대에 의해 와해됐고, 이상윤은 항미연대 참모장으로 있던 1952년 12월, 중상을 입고 환자트에서 치료를 받던 중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이들은 마치 파고(波高)의 강물에 내던져지듯 이처럼 산속 저마다에 흩뿌려진 채 외롭고도 허무한 죽음을 맞이했다.

▲ 덕유산과 지리산의 위치도. ⓒdaum.net

당원 가입과 세포 조직, 그리고 학습 총아

사단 편재 시기 임방규는 이미 당원으로 입당한 뒤였다. 당원은 선두에서 전투에 임해야 하며, 부대원들의 사상교육도 도맡았다. 도당이나 병단의 간부급 진출이 가능한 신분이었던 만큼 입당 절차는 까다로웠다. 일반 생활과 (작전) 투쟁, 학습 등 여러 증명을 통해 가능했지만, 쉬이 입당이 허락되진 않았다.

두 사람 이상의 당원이 보증을 선 뒤 당 세포에서 가입을 결정한다. 이후 군당 조직위원회에서 최종 비준(합법적)하거나, 무장 부대의 경우 사단에서 비준(전투 상황을 고려한 비합법적)했다. 사람의 사상, 사고 등에 대한 보증이었기 때문에 훗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철저하게 보증인이 책임을 졌다. 이 때문에 어지간한 신뢰가 아니고선 쉽게 보증해주지 않았다.

당원 3인 이상, 30명 미만이면 당 세포가 조직되고, 그 이상이 되면 세포위원회가 구성된다. 세포는 당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다. 계급이나 업무에 관계없이 모두가 평등하게 취급됐고, 말단 당원부터 조선노동당 당수 김일성까지 세포에 가입돼 있다. 세포 관련 규약이 따로 있어 행동 지침이나 회의 순서 등은 해당 규정에 따라 이뤄졌다.


당원인 임방규도 한 달에 한차례 가량 세포 회의에 참석했다. 이곳에서 나온 내용은 서기가 모두 기록했으며, 한부는 세포에서, 또 다른 한부는 군당으로 보내져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은 물론 당원 개개인의 신상 발언까지 파악됐다. 사업(작전) 실패 시 평소 행실을 문제 삼아 "관료주의적 사업 작품"이라며 단단히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앞서 언급했듯 세포는 상하 구분 없이 모두가 평등했기에 얼마든지 문제를 제기할 수도, 발언할 수도 있었다. 이 때문에 당원은 사업을 나가거나 평소 생활 시 계급을 내세워 함부로 거들먹거릴 수 없었다.


이례적이지만 출당 조치가 이뤄지기도 했다. 출당은 세포 회의에서 논의해 결정한 뒤 도당 조직위원회에서 최종 승인한다. 다만, 군당급 이상 간부의 경우 세포 회의를 거쳐 중앙당에서 최종 결정했다. 도당 조직위원회는 주요 문제를 다루는 의결기구로 조직, 선전, 청년(민청)부 등의 간부들로 구성돼 있다.

▲ 한국 전쟁 당시 군경 토벌대와 마주한 빨치산들은 마치 파고(波高)의 강물에 내던져지듯 산속 저마다에 흩뿌려진 채 외롭고도 허무한 죽음을 맞이했다. 사진은 (남)덕유산 삿갓재에서 바라본 덕유 능선. ⓒ국립공원관리공단

부대원들의 사상 학습은 수시로 이뤄졌다. 연대마다 조금씩 달랐으나, 407연대는 사단이나 당 선전 간부들이 연대에 파견돼 고급 세미나를 열면, 중대장급 이상 간부들이 모여 학습받는 형태로 진행됐다. 이후 이들이 교본을 갖고 중대 단위로 전체 학습을 지도한다.

그리고 부소대장(정치사업 담당) 예하 일개 분대에 1~2개의 학습조가 꾸려져 그때그때마다 학습 내용을 평가받았다. 행군 시나 식사 시, 분대끼리 움직일 때면 늘 이를 확인했다. 말 그대로 치열하게 사상교육이 이뤄진 셈이다.

극한 상황 속에서 빨치산들의 이탈자가 적었던 것은 바로 이런 학습에 기인한다. 사상에 의한 통제로 행동을 조절했고, 수시로 이뤄진 비판 사업(몇몇이 모여 자기반성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빨치산 용어)은 그릇된 생각과 행동을 다잡았다. 이러한 주체 학습은 전쟁 후 북한이 체제를 지탱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전북 순창 편은 회문산에서 빨치산으로 활동한 임방규 씨와 김창근 씨, 그리고 순창과 임실 지역 주민들의 증언을 통해 기사화됐습니다. 결코 꺼내놓기 쉽지 않았던 아픔과 고통, 그리고 지난날의 청춘과 희생을 술회해주신 분들께 지면을 통해 감사드립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정찬대

신념이 담긴 글은 울림을 주며, 울림은 다시 여론이 됩니다. 글을 쓰는 궁극적 이유이기도 합니다.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의 기록>을 연재 중이며, 오늘도 순응과 저항 속에서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습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