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14일 발표에 따르면, 이 기관의 12월 2주차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 결과는 김무성 21.8%, 문재인 18.5%, 박원순 12.1%, 안철수 10.1% 순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주일 전 대비 1.2%포인트 오른 21.8%로 2주 연속 상승, 2위 문재인 대표와의 격차를 3.3%포인트로 벌리며 24주 연속 선두를 이어갔다"며 "지난주 내내 극심하게 지속된 새정치연합의 '문재인-안철수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에 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번 주 조사에서 아무래도 관심이 쏠리는 포인트는, 안철수 의원의 탈당이 야권의 차기 대선주자 구도에 미칠 영향이다. 당장 나타난 결과를 보면 안 의원은 언론의 주목 효과로 오차 범위(95% 신뢰수준에서 ±1.9%포인트) 내에서 지지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의 탈당이 '설'이 아닌 '현실'이 되면서는 오히려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특히 문 대표 등 이른바 '친노'에게 비판적이라던 호남 민심도, 안 의원의 탈당 가능성이 불거지자 오히려 문 대표에게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안 의원의 주간 평균 지지율은 전주 대비 1.8%포인트 오른 10.1%로, 이는 같은 기관 조사로는 1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것이다. 하지만 한국갤럽 등 다른 기관 조사에서 안 의원은 꾸준히 9~10%를 기록해 왔기 때문에, '1년여 만에 두 자릿수 지지율'이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제는 지난 9일부터 호남과 새정치연합 지지층에서 안 의원의 지지율은 폭락하고 문 대표의 지지율이 폭등한 현상이다. 이 기관의 일일 집계 결과를 보면, 지난 8일까지 안 의원 지지율은 대체로 상승하고, 문 대표 지지율은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 추세가 정점을 찍은 지난 8일에는 전체 지지율에서 문재인 15.1%, 안철수 13.3%까지 좁혀졌다. 같은 시점에서의 호남 지역 지지율만 뗴어 놓고 보면, 안 의원은 35.3%로 문재인(13.3%)·박원순(15.4%) 둘을 합친 것보다 더 높게 나왔다. 새정치연합 지지층에서도 문 대표 지지율은 33.3%까지 떨어진 반면, 안 의원 지지율은 15.2%로 주간 최고점을 찍었다.
그러나 9일부터는 안 의원의 지지율이 뚝뚝 떨어졌다. 8일 35.2%로 최고치를 기록한 안 의원의 호남 지지율은 9일 29.0%, 10일 13.1%, 11일 10.1%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문 대표의 같은 지방 지지율은 8일 13.3%, 9일 17.0%, 10일 26.7%. 11일 26.6%로 나타났다. 9일에서 10일로 넘어가면서는 '호남 민심'이 비판적으로 본다는 문 대표의 지지율이 안 의원의 지지율을 10%포인트 이상 상회하기 시작한 것.
전국 지지율로 봐도, 안 의원 지지율은 8일 주간 최고점(13.3%)을 기록한 후 9일 10.1%, 10일 7.8%, 11일 8.7%로 하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문 대표는 8일 주간 최저점인 15.1%에서 9일 15.7%, 10일 22.1%, 11일 21.3%로 급등한 모습이었다.
안 의원의 '최후통첩' 기자회견은 일요일인 지난 6일 있었다. 반면 안 의원의 지지율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9일부터다. 9일 아침, 문병호 의원은 "문재인 대표가 이번 주까지 사퇴하지 않으면 안 전 대표는 다음주쯤에는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하면서 큰 뉴스가 됐다. (☞관련 기사 : '안철수 내주 탈당' 주장 문병호 "安 만난 건 아냐") 당시 안 의원 측은 '문 의원의 자의적 판단'이라고 했으나, 국내 최대 통신사인 <연합뉴스> 등 주요 언론이 문 의원의 발언을 속보로 타전하면서 안 의원의 탈당은 이때부터 '가설'의 영역을 넘어서게 됐다.
리얼미터는 "안 의원 진영과 비주류를 중심으로 극심하게 지속됐던 각종 당내 분열상으로, 호남 지역과 새정치연합 지지층을 중심으로 당의 와해와 총선패배에 대한 위기감이 급속도로 고조되면서 그 동안 이탈했던 지지층이 다시 결집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해석했다.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 42.3%, 새정치연합 26.8%, 정의당 6.6%로 나타났다. 박근혜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는 전주 대비 1.8%포인트 하락한 46.0%, 부정 평가는 49.5%(2.5%포인트 상승)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7~11일 전국 남녀 유권자 2587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유·무선(각 50%) 병행으로 무작위걸기(RDD) 방법을 통해 수행됐고, 응답률은 6.4%(전화면접 20.2%, 자동응답 4.9%)였다. 집계 결과는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보정됐다. 그밖의 사항은 중앙선거 여론조사 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