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가 저물어가는 10월 말, 아직 한해가 다 끝난 것은 아니지만 올해의 가장 가슴 아팠던 사건을 꼽는다면 아무래도 용산 참사와 전 대통령 노무현의 죽음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용산 참사가 현 정부의 무지막지한 개발과 반인권적인 공권력에 의한 필연적인 타살이라면 노무현의 죽음은 노무현으로 상징되는 어떤 가치의 실패와 좌절을 상징하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노무현의 죽음은 단지 노무현의 실패와 좌절이 아니라 노무현으로 대표되는 민주화 운동 세력의 선거 패배와 목숨과도 같았던 도덕성의 몰락 같은 것들이 함께 작용한 사건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사실 그는 엄청난 바람을 일으키며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지나치게 솔직한 스타일과 정체성을 바꾼 듯한 정책으로 보수와 진보 모두의 비판을 받으며 대통령직을 마감해야 했다. 하지만 그가 정치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 시골의 보통 사람으로, 전직 대통령으로 제 역할을 다하며 살아가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그의 진가를 다시 한번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그의 진심을 확인한 때는 끝내 보지 못한 그의 마지막 모습 뒤였다. 그는 자신의 죽음으로 스스로의 좌절과 실패와 오욕을 모두 껴안으며 그의 진심을 진심으로 따뜻하게 이해하고 받아주지 못한 우리를 한없이 아프게 했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수개월이 지난 지금 <프레시안>을 통해 창작곡을 발표하겠다고 했을 때 노무현을 추모하는 곡을 보냈거나 그의 이야기를 담은 곡을 보낸 뮤지션이 네 팀이나 된 것은 그만큼 그의 죽음이 드리운 상처와 충격이 아직 아물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세상은 쉼없이 돌아가고 오늘은 또 새로운 사건들이 우리를 밀고 가지만 예술가들은 가장 먼저 울고 또한 가장 늦게까지 우는 사람들. 한음파의 곡 <소용없는 얘기>는 그의 죽음을 되새겨보는 음악인들의 안타까움이 은유적으로 표현된 록 넘버이다.
<소용없는 얘기>는 노랫말만 봐서는 평범한 사랑 노래 같은 곡이다. 가사는 새로운 그를 만나 나를 버리고 가겠다는 연인 앞에서 나를 믿어달라는 것이 다 소용없는 얘기라며 쓸쓸해하는 마음을 표현한 곡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야기의 화자를 전 대통령 노무현으로 하고, 떠나는 연인을 국민으로, 그를 현 대통령 이명박으로 대입해보면 분위기는 확연하게 달라진다. 임기 말 지지율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자신과 대척점에 서 있는 듯한 이를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택한 국민을 바라보며 노무현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노래의 가사처럼 그의 사랑은 서툴렀을지 모르지만 더 이상의 기회조차 가질 수 없이 돌아서버린 국민들의 마음 앞에서 그는 얼마나 큰 아픔과 좌절을 느꼈을지를 상상해보기는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밴드 한음파는 노무현의 퇴임 즈음 바로 그런 노무현의 마음을 사랑 이야기에 빗대 표현했다고 했다. 하지만 그때 곡을 썼던 한음파 역시 그의 좌절이 이렇게 아픈 죽음으로 종지부를 찍게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래서 후렴구의 "내겐 아무 것도 남아 있지 않아. 이렇게 모든 것을 끝내버릴 순 없어"라는 가사는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오늘과 맞물려 한없이 우리를 쓸쓸하게 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