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꽃보다 슬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꽃보다 슬픔

[신기주 칼럼] 희망 없는 현실에서 욕망의 거처는 초현실이다

송병준 그룹에이트 대표는 <꽃보다 남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 드라마는 그냥, 아홉 살 수준의 드라마가 아닐까. 아홉 살부터 구십 세까지 다 그 감성만 통하면 즐길 수 있는 드라마다." 로버트 풀컴이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에서 말한 건 지적인 배움이 아니었다. 살아가면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욕망은 이미 아홉 살 무렵이면 고개를 든다는 의미였다. 로버트 풀컴은 그 욕망을 다스리는 방법을 우리가 유치원에서 이미 배웠다고 충고했다. 무엇을 갖고 싶고 누구에게 사랑 받고 싶고 모두에게 주목 받고 싶고 예뻐지고 싶은 세속적인 욕망들 말이다. 하지만 다스릴 수 없는 게 욕망이다. 자본주의는 자꾸만 인간의 욕망을 부풀린다. 현대인은 평생 이런 본능적인 욕망을 충족하고자 살지만 이 욕망은 영원히 충족되지 않기에 영원히 불행하다. 현대인의 불행은 아홉살부터 유치원에서부터 시작되는 셈이다.

<꽃보다 남자>는 불행한 시대에 행복한 드라마였다. 한국 경제엔 희망이 없다. 더 나은 직장을 얻고 더 나은 옷을 입고 더 나은 차를 몰고 더 나은 밥을 먹을 희망이 없다. 몇 년 전엔 달랐다. 다들 사회 조직 안에서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여겼다. 희망은 현실 안에 있었다. 희망은 욕망이 됐고 욕망은 경제를 움직였다. 그러나 지금 희망은 현실이 아니라 초현실에 있다. WBC야구에 있고 김연아에 있고 <꽃보다 남자>에 있다. 희망만 가득찬 듯 보이는 현실에서 사람들이 대중문화로 진실을 구하던 시절이 있었다. 1990년대의 끄트머리까진 그랬다. 이젠 다르다. 절망만 가득찬 듯 보이는 현실에서 사람들은 누군가 희망을 보여주길 바란다. 설사 그게 거짓이고 찰나적일지라도 탐닉한다.

▲ ⓒ kbs.co.kr

<꽃보다 남자>는 초상류층과 서민층의 동화적 화해를 말했다. 입을 것, 볼 것, 탈 것, 꿈꿀 것을 나열하면서 가짜 만족을 줬다. 누군간 그게 가짜라며, 허깨비에 유난떠는 대중의 우매함을 질타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그걸 증폭하는 미디어를 꼬집고 싶을수도 있다. 맞는 얘기다. 하지만 매정한 얘기다. 그런 입바른 소리 따윈 이 불행한 시대에 사람들한테 어떤 위로도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결코 유치원 시절의 욕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자본주의적 숙명이다. 아무도 그걸 비난할 수 없다. 그러나 이 현실엔 욕망을 실현할 희망이 없다. 대중이 자꾸만 그 희망을 환상에서 찾는다는 건 시대의 비극이다. <꽃보다 남자>는 고마운 드라마였다. 애통한 드라마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