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세상살이가 내 맘 같지 않더라고요. 바른 소리를 하면, 선생님과 친구들이 모두 "나서지 마라"고 합니다. 제 생각, 제 관점, 제 의견을 말하는 것조차 망설이게 되더라고요. 걸음을 뗀 순간부터 두 주먹 불끈 쥔 것 말고는 없는데 말이죠.
'황우석 사태'가 그랬습니다. 모두가 'YES'라고 할 때 'NO'라고 말했다가 왕따가 될 뻔했죠. 어디 이뿐입니까. '한미 FTA'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얘기했다가 정부로부터 광고 협박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어휴, 우리 사회 '갑'인 삼성·현대 등과 겪은 일은 말로 다 못합니다. 그렇다고 노동자와 약자에 대한 시각이 늘 칭찬받았던 것은 아닙니다. 반성할 점도 분명히 있죠. 그러나 정치권에는 한결같이 각을 세웠습니다. 그 덕에 박수 좀 받았습니다.
이렇게 말하고 나니, 순탄한 삶은 아니었네요. 사실 앞날이 더 걱정인데 말이죠.
그래서 큰 맘 먹고 결심했습니다. 자본과 권력에 얽매이지 않는 '협동조합'으로 전환하자고, 기존 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길을 만들어 보자고. 프레시안이 인터넷 언론의 새 역사를 썼듯 이번에는 과감한 체제 변화로 '언론 협동조합'이라는 큰 그림을 그리자고….
언론 협동조합 프레시안! 열 두 살 됐으니, 모험 한 번 해보렵니다.
여러분, 함께해 주실 거죠?
참, 대한민국 최고의 만화가들도 프레시안 협동조합에 기꺼이 동참하겠다며 만평을 보내왔습니다. 최규석, 서상균, 고경일, 굽시니스트, 최호철, 하재욱, 서민호, 김용민, 최인수, 윤태호 화백 고맙습니다. 복 받으실 거에요.
"프레시안을 보지 않고 어떻게 하루를 보낼 수 있나요?"
한 그루, 한 그루… 작은 나무가 모여 큰 나무가 된다.
<경향신문>에서 시사만화를 담당하고 있는 김용민 화백이 프레시안의 협동조합 전환을 축하하며 만평을 보냈다. 만평에는 '조합원'이라는 이름표를 단 개개인이 모여 하나의 나무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이 담겨있다.
김용민 화백은 지난 7월 30일 프레시안과의 전화 통화에서 "사실을 사실 그대로 보도하는 것조차 찾기 힘든 숨 막히는 언론시장에서 제 목소리를 내는 프레시안의 협동조합 전환은 도전이고 사회의 희망"이라며 "프레시안이 다 같이 큰 나무로 자라 숨 쉬고 살만한 세상을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김 화백은 만평 속 노동자들에 대해 "프레시안이 노동자를 충분히 대변해 줄 언론으로, 노동자의 든든한 나무가 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프레시안을 보지 않고 어떻게 하루를 보낼 수 있나요?"라며 작업할 때 <프레시안>을 보며 그 날의 만평 방향을 잡는다는 김용민 화백. 그는 마지막으로 "프레시안이 지금까지 잘해왔던 것처럼 담백하고 진솔하게, 그러나 날카로움을 잃지 않는 언론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용민 화백의 만평 기사는 장지현 인턴기자가 담당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