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원 전 비서관은 지난 3일 프레시안 팟캐스트 <이철희의 이쑤시개>에 출연해 "국정원이 대화록 발췌본을 만들었듯 녹음 파일도 일부를 발췌했을 것"이라며 "발췌본만 만든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생각하는 문제의 발언을 짜깁기해서 (별도로) 하나 만들어 놓은 것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노무현-김정일 두 정상 간 대화를 어떤 의도대로 편집한 '짜깁기'본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앞서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은 "필요하면 국정원 녹음 파일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공개하지 않기로 한 여야 합의 사항을 뒤집은 것이다. 여권의 한 고위 인사는 "녹음 파일이 공개되면 그 충격은 상상 이상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새누리당의 강수는 국정원의 대화록 공개로 '노무현 NLL 포기' 발언이 허위로 드러나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육성 공개를 통해 감정적 여론몰이를 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문제적 발언, 아주 센세이션한 부분을 (노무현 전 대통령 육성으로) 공개해서 이 국면을 만회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청와대 사진기자단 |
원세훈, '대화록 무단 복사 유출' 알고 있었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지난 대선 기간 여러 채널을 통해서 '국정원 현직이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빼내 전직과 함께 새누리당에 전달했다'는 제보를 들었다"고 주장했다. 제보를 들은 시점은 12월 초, 이미 "대화록이 무단으로 복사돼 나왔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한다.
이와 함께 박선원 전 비서관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대화록 무단 복사 유출'을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정원이라는 조직의 특성상 "모르고 있었다면 (오히려) 비정상이다"라고 덧붙였다.
시점별로 당시 박근혜 후보 선거캠프 관계자들의 발언을 살펴보면, 이 같은 정황은 더 또렷해진다. 12월 10일 권영세 종합상황실장과 지인의 대화, 11일 국정원 여직원 댓글 사건, 그리고 14일 김무성 선대본부장의 부산 유세 발언까지.
특히 김무성 의원은 지난달 26일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대화록) 원문을 보고 우리 내부에서도 회의도 해 봤지만, 우리가 먼저 까면 모양새도 안 좋고 해서 원세훈에게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했는데 원세훈이 협조를 안 해줘가지고 결국 공개를 못 한 것"이라는 말했다.
자연스레 국정원 선거개입 문제는 이명박 정부로 귀결된다. 역사학자 225명은 지난 4일 "모든 불법과 정치 공작 근원에는 권력을 사유화해 정략적으로 이용한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있는 만큼, 이 전 대통령을 원세훈과 함께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정원에 녹취 용역준 것"
알려진 대로, 2007년 10월 13일 남북정상회담을 기록한 녹음 파일에는 잡음이 많이 섞여 있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이런 녹음을 제일 잘 푸는 곳이 어디겠는가"라며 독재 시절부터 축적된 도청 기술과 관련 시설이 잘 갖춰진 "국정원"을 지목했다. 박 전 비서관은 "그래서 청와대에서 '이거 풀어 오라'라고 (국정원에) 용역을 줬다"며 국정원이 대화록을 작성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대화록을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았다(대통령기록관은 2008년 4월에 개관했다). 남북 회담을 총괄하는 곳은 통일부지만, 보완이 우선인 2급 비밀문서를 제대로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통일부는 대화록을 국정원 특수기록물관에 위탁했다. 대화록의 주인인 통일부가 은행 금고인 국정원에 맡긴 셈이다.
"관리 절차로 보면, 1차적으로 대통령기록물이다. 두 번째 관리 책임이 통일부에 있는데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 보관 장소를 국정원에 택해 놓은 것이다. 보관 이유는 당시에는 대통령기록물을 관리하는 국가기록원이 없었기 때문에 국정원에 둔 것이고, 또 하나는 다음 대통령이 혹시 필요할 때 참고하시라는 의미였다."
"그중 한두 줄이 없다"
국정원 대화록 공개 후,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표지에 적힌 작성 시기를 지적하며 자신의 책임하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당시 국정원이 청와대의 지시로 대화록을 작성한 것은 2007년 10월이다. 그러나 공개된 대화록 표지에는 2008년 1월로 적혀 있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또 다른 이유로 국정원의 대화록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녹음을 위해 회담에 배석한 조명균 비서관이 전한 내용 중 김정일 위원장이 NLL을 인정한 부분이 누락됐다는 것이다. 회담의 중요 성과로 인정될 수 있는 중요 문장이 없어진 것이다.
"김정일 위원장이 '현재 NLL 고수하는 남측이나 자기 입장을 변호하는 북측이나 똑같다. 평화협정 때나 다시 논의해야겠다'며 '통일을 위해서도 선이 필요하다'라는 말을 했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김정일 전 위원장의 "통일을 위해서도 선이 필요하다"는 말에서 "사실상 1991년 12월에 남북기본합의서로 돌아가는구나"라며 "노무현 대통령이 말하는 서해평화협력지대 안(案)에 김정일 위원장이 따라왔구나. 우리 대통령이 설득해냈구나"라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평화협력지대' 구상은 역대 정권이 오랫동안 고려한 서해 공동어로 구역을 현실화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박선원 전 비서관은 "남북한 어느 정권이든 서해를 평화적으로 유지할 필요성, 안정을 유지해서 남북한의 안보를 지키고자 하는 필요성이 계속 있었다"고 강조했다.
▲ <이쑤시개> 출연진. 왼쪽부터 임경구 프레시안 정치팀장 - 박선원 전 비서관 - 이철희 소장 ⓒ프레시안(박정열) |
* 더 자세한 내용은 프레시안 팟캐스트 <이철희의 이쑤시개> "국정원 녹음 파일, '짜집기' 본 있다?"를 통해 들을 수 있다.
<이철희의 이쑤시개> 바로가기 클릭! http://pressian.iblug.com/index.jsp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