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으로 비관하더라도 의지로 낙관하라."
이 유명한 경구는 로맹 롤랑의 글 <지성의 비관주의, 의지의 낙관주의>를 그람시가 요약한 것입니다.
제주도 강정마을의 600명이 넘는 주민, 평화활동가들에 대한 연행, 구속, 투옥, 벌금 사태 뒤에는 불법 공사 상황이 있습니다. 주민 협의를 거치지 않은 강제 과정, 전쟁을 도발하는 안보 기지, 민군복합항이 입증되지 않은 설계도, 환경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공사, 인권 유린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불법 요인에 대해 제주 도지사를 중심으로 제주 주요 언론은 입을 다물거나 사실을 왜곡해 왔습니다.
제주해군기지는 미 해군 설계요구에 의해 미군 핵 항모가 입항할 규모로 설계되고 있다는 사실을 2012년 9월, 장하나 국회의원이 밝혀냈습니다.
모국어로 글을 쓰는 시인과 작가들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후 대정, 세화 성산에 공군기지가, 산방산에 해병대가 들어선다는 소식을 들으며 제주도가 최전선화되는 것을 공포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대한민국 곳곳의 요지를 미군에게 내어준 형편임에도, 비무장 평화의 섬 한 곳 확보할 수 없을 만큼 우리 조국은 무력한 나라인가에 대해 다만 슬퍼합니다.
군함에 의해 오염될 서귀포 바다와 기지촌으로 전락할 제주도의 고운 마을들을 생각하면, 어떻게 제주도민을 위로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쓰는 일 외에 별로 잘 하는 게 없는 시인과 소설가들은 편지를 쓰기로 했습니다. 서귀포 바람, 애월의 파도, 북촌의 눈물, 위미의 수평선, 쇠소깍의 고요를 생각하며, 두려움과 연민이 어룽진 손으로 제주도민들께 편지를 씁니다.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입니다. 필자 주
바다가 그리운 바다에서
제가 사는 마을은 영일만 작은 포구랍니다. 파도가 병포리, 하정리, 장길리 붉고 파란 지붕들을 들추면 사람들은 광명호, 장성호, 멋쟁이호 힘차게 띄우며 하루를 열지요. 한결같이 희망을 붙인 이름으로 바다에 나가 그물 걷어 올리는 동안, 굽은 해송은 갯바위를 깨우고요. 따개비는 부챗살 같은 촉수 세워 아침을 사냥하지요. 등 굽은 노모는 마당 가장 양지바른 곳에 비스듬히 발을 치고 온갖 *피데기를 널어요. 봄 햇살은 종일 *미주구리며 미역초며 구석구석 살뜰히도 핥아 줍니다. 이토록 평화로운 시절입니다만 저 바다 너머 섬, 제주는 어떠신지요? 그 섬 깊이 표류하는 강정에게 안부를 묻습니다.
작년 봄, 제주4·3문학기행에 참가했습니다. 영남 마을을 비롯하여 제주 전역을 휩쓸었던 4·3의 흔적을 찾아다니는 동안 제주 작가들이 들려주는 생생한 말씀 덕분에 제주가 지나온 시대와 아픔을 깊게 만났지요. 4·3문학기행의 마지막 행선지는 강정이었습니다.
강정 마을에 닿았을 때 사거리 모퉁이에는 난전을 편 바다가 있었습니다. 나무 도마 위에 백조기 한 마리 떡 벌린 입으로 햇살이 들고요. 손마디 굵은 사내가 스윽스윽 비늘을 긁고 아가미 벌려 내장을 빼내면 붉게 따라나오는 물컹한 생 위로 벚꽃잎 흩날렸지요. 상점에서 물 한 병을 사 들고 나오는데 주인 아주머니께서 말씀하시더군요. 꼭 5년째라고, 이 지독한 싸움이 시작된 지 5년이나 되었다고.
ⓒ노순택 |
지난해 1월, 작가들의 '글발글발 평화릴레이'를 기억합니다. 해군기지 반대와 강정의 평화를 위해 임진각에서 강정까지 1번 국도를 걸으며 몸으로 쓴 글이었지요. 저도 완주에서 정읍에 이르는 구간을 걸었습니다. 한겨울 추위를 벗 삼아 걷는 길 위에서 물빛에 빛나는 검은 바위와 붉은발말똥게와 푸른 바다를 유영하는 고래 떼를 떠올리며 모두들 강정의 평화를 얼마나 외쳤던지요.
마을 입구부터 구럼비 파괴 현장까지 약 500미터에 이르는 길엔 경찰 버스가 줄지어 서 있었습니다. 벽을 따라 그려진 제주의 풍경 아래로 전경들이 습관처럼 걸어갔습니다. 비바람에 낡아 해쓱해진 현수막들은 간절한 바람들을 안고 펄럭였지요. 위태롭게 선 망루는 발파되고만 구럼비를 향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안보를 빙자해 자행되는 편파 보도로 온갖 오해와 왜곡을 선동하는 그릇된 세력에 대항해 한 땀 한 땀 진실을 깁고 전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었지요. 아이와 노인, 여자와 남자, 푸른 눈의 젊은이 들이 또박또박 새긴 바람들이 꽃처럼 피고 있었습니다. 검은 비닐봉지에 백조기 몇 마리를 담아 들고 할머니가 돌담을 돌아 집으로 들고, 하귤 익어가는 마당 한편에서 퉁퉁 젖이 불은 누렁이가 새끼를 핥고 있었습니다.
이 봄, 다시 제주가 그립습니다. 돌이켜 생각하니 한라산 기슭에서 온몸을 밀고 솟는 고사리 여린 대궁은 느낌표였네요. 푸른 이끼 위로 툭, 툭 떨어지던 동백꽃은 깊고 깊은 제주의 문장에 찍는 붉은 온점이었고요. 백조기 비늘처럼 쌓이는 벚꽃잎 위에 강정의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 함께하겠다는 마음, 두 손으로 공손히 얹습니다.
* 피데기 : '반건조 오징어'를 일컫는 경상도 사투리
* 미주구리 : '물가자미'를 일컫는 경상북도 사투리
권선희 시인. 1998년 <포항문학>으로 등단. 시집 <구룡포로 간다>(애지 펴냄), 도보여행기 <해안누리 길-바다를 걷다>(생각의나무 펴냄), 경북해양문화집 <뒤안> 등.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