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으로 비관하더라도 의지로 낙관하라."
이 유명한 경구는 로맹 롤랑의 글 <지성의 비관주의, 의지의 낙관주의>를 그람시가 요약한 것입니다.
제주도 강정마을의 600명이 넘는 주민, 평화활동가들에 대한 연행, 구속, 투옥, 벌금 사태 뒤에는 불법 공사 상황이 있습니다. 주민 협의를 거치지 않은 강제 과정, 전쟁을 도발하는 안보 기지, 민군복합항이 입증되지 않은 설계도, 환경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공사, 인권 유린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불법 요인에 대해 제주 도지사를 중심으로 제주 주요 언론은 입을 다물거나 사실을 왜곡해 왔습니다.
제주해군기지는 미 해군 설계요구에 의해 미군 핵 항모가 입항할 규모로 설계되고 있다는 사실을 2012년 9월, 장하나 국회의원이 밝혀냈습니다.
모국어로 글을 쓰는 시인과 작가들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후 대정, 세화 성산에 공군기지가, 산방산에 해병대가 들어선다는 소식을 들으며 제주도가 최전선화되는 것을 공포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대한민국 곳곳의 요지를 미군에게 내어준 형편임에도, 비무장 평화의 섬 한 곳 확보할 수 없을 만큼 우리 조국은 무력한 나라인가에 대해 다만 슬퍼합니다.
군함에 의해 오염될 서귀포 바다와 기지촌으로 전락할 제주도의 고운 마을들을 생각하면, 어떻게 제주도민을 위로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쓰는 일 외에 별로 잘 하는 게 없는 시인과 소설가들은 편지를 쓰기로 했습니다. 서귀포 바람, 애월의 파도, 북촌의 눈물, 위미의 수평선, 쇠소깍의 고요를 생각하며, 두려움과 연민이 어룽진 손으로 제주도민들께 편지를 씁니다.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입니다. 필자 주
그 섬의 고요에, 그 평화의 역사에 사랑의 편지를 보내요.
1.
지금 밖에는 눈이 내립니다. 밤이지만 눈이 쌓이는지 창밖은 조금씩 밝아져 옵니다. 거기에도 눈이 오나요. 아니. 이렇게 묻는 것은 잘못되었네요. 이 편지가 도착하는 시간에는 이미 내린 눈이 다 녹아있겠지요. 그래도 지금이 창밖을 밝히며 내리는 눈에 대해 나는 좀 더 쓸게요. 내리는 눈 위로 많은 사람이 다녀갔어요. 발자국 위로 내린 눈 위로 다시 발자국이 지나고. 하루가 가면 다시 하루가 오고. 하루의 발자국 소리 사이로 눈이 내려요. 지금은 이 편지 위에도 눈이 내려요. 쓰고 있는 글 위로 내리는 눈. 지우는 눈. 지우며 쓰는 눈. 이 작은 눈송이들이 내리며 세상의 소음들을 머금는 것을 혹시 아시나요. 소리를 움켜잡는 이 작은 손들은 지금 또 새롭게 무언가를 쓰고 있어요. 저는 그걸 감히 역사라고 써요. 여러분이 아니라고 해도 그렇게 써요.
ⓒ노순택 |
2.
그래요. 사랑한다는 말을 하기가 어려웠어요. 우리 집은 가난했고, 그 섬에 간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으로도 많이 기뻤던 날들을 기억해요. 바람과 바다와 돌하르방의 섬. 친구들은 자라며 하나둘씩 그 섬에 다녀왔지요. 친구들의 이야기 속에서 그 섬은 점점 비슷한 모습을 띤 평범한 섬이 되어버렸어요. 하지만 저는 정말 그 섬은 그냥 아름다운 풍경의 관광지이기만 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졌지요. 가보지 못한 저는 파도 치는 바다 쪽으로 곧장 떨어지는 폭포와 그것을 배후로 서서 다정한 포즈를 취한 친구의 가족사진을 볼 뿐이었죠. 하늘과 바다와 땅이 만나는 그곳에서 저는 들리지 않는 폭포소리에 귀 기울이고 싶었어요. 무언가 내가 듣지 못한 것이 있을 것만 같아서. 나는 언제 저 섬에 갈 수 있을까. 그렇게 생각하면서. 어쩌면 지금 이 편지를 보는 당신들도 웃을지 모르겠네요. 아니. 거기 가는 게 그렇게 어려웠느냐고. 하지만 그렇게 가기 어려웠기 때문에 저는 제주라는 섬이 그냥 놀러 가는 섬이란 생각을 하지 못했을 거예요. 그래서 그 섬의 이야기가 더 궁금했을지도 몰라요. 어떤 작가가 '타오르는 섬'이라 부른 그 섬에 대해서요. 그리고 저는 그 섬의 슬픈 역사까지 다 찾아 읽은 머리 굵은 청년이 되어서야 제주에 첫발을 디딜 수 있었지요. 그래서요. 사랑한다고 말하기가 더 어려웠어요. 그렇게 오래 그리워하고 가고 싶어 했던 섬이었는데 저는 이전에 다녀간 친구들처럼 똑같은 코스로 여행을 했거든요. 다만, 그날의 바람과 그날의 파도와 그날의 바위들은 결코 같은 것은 아니었을 거예요. 그래요. 제가 만나고 싶었던 것은 그렇게 하루하루 다른 날씨처럼 스스로의 역사를 써가는 그 섬이었다는 것을 그때에 알았어요. 누가 알까요. 조용히 써내려가는 섬의 연대기를 말이에요. 천지연 폭포에서 물소리에 귀를 씻으며 아직도 듣고 싶은 섬의 역사가 있다는 것이 기뻤어요.
3.
그래요. 그 섬의 이야기를 아마 우리 모두가 잘 모를 거예요. 거기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대해서만 말하는 게 아니에요. 저는 섬의 역사가 섬마을 사람들의 역사라고만 생각하지는 않아요. 그래요. 그 섬의 작은 부분들까지 다 포함하는 역사에 대해 말하고 싶은 거예요.
그 역사는 생성되었다가 사라지기도 하고 그 사라진 곳에 다시 쓰이기도 했어요. 그래요. 이 글을 쓰는 지금 밖에 내리는 눈, 내리는 저 세계와 같이. 그 역사는 수천 년의 역사이면서 늘 다시 태어나는 아이 같은 역사예요. 하나이면서 여럿이에요. 그래요. 눈처럼. 내리는 눈은 하나이면서 언제나 여럿이잖아요. 저는 그 역사를 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눈을 뭉치면 그 역사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요. 눈사람을 만들면 고요가 나누어주던 삶을 살아간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을까요. 지금 그 섬의 바다는 내리는 눈을 뭉쳐 보려고 해변에서 하얗게 부서져요. 까아만 모래의 해변에 내린 눈, 그 눈에 남은 물결자국들은 어떤 소리의 흔적일까요. 들리세요? 들리세요? 들리지 않는 역사의 소리가. 여기 늘 있던 섬의 목소리가. 들리세요?
우리는 왜 들리지 않는 소리는 없다고 생각하는지.
단단한 바위처럼 늘 거기 있는 고요를.
수천 년의 역사이면서 늘 다시 태어나는 섬의 역사를.
그래서 우리는 쉽게 그것을 부수는 게 아닐까요?
그 섬에서 누군가는 꼭 필요한 항구를 짓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들은 그저 바위 하나를 폭파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그들은 그냥 그 섬이 하나의 평범한 땅덩어리인 줄 아는 그런 사람들이죠.
수천 년 동안 거기 서 있던 바위는 처음 모든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냈어요.
그리고 그날 소리 없는 역사를 쓰던 구럼비 바위의 역사는 끝이 났어요.
그런데 그날 파괴된 것이 구럼비 바위 하나일까요?
늘 다시 태어나는 아이들의 역사를 모르는 사람들에겐 그날의 비명이 그저 폭발음뿐이었겠지만 그날, 그 역사 속에 살던 사람들도 죽었어요.
그 평화 속에 살던 아이들도 죽었어요.
살아 있지만 이제 더 이상 그들의 가슴을 뛰게 만들던 고요가 없기에.
그들은 살아서 죽었어요.
그것을 그들은 알아야만 해요.
당신들이 날려버린 것은 그 마을 사람들을 키워왔던
섬의 역사라는 것을. 그 역사가 들려주는 고요의 소리라는 것을.
그 고요의 역사를 평화라고. 저는 그렇게 써요. 여러분이 아니라고 해도 저는 그렇게 써요-그러나 분명 저 혼자만은 아닐 거예요-그래서 평화는 보이지 않는 것이죠. 그건 들어야 하는 거예요. 아이들의 옹알이를 들어야 하는 것처럼. 들어야 하는 거예요. 내리는 눈 위로 눈이 내리는 소리 같은 속삭임이니까.
들리나요.
들리지 않는다고요. 그 소리는 귀가 멀어야 들릴까요? 그렇다면 나는 그 소리에 귀가 멀기를 기도할 거예요. 그 미세한 속삭임에. 그 소리 속에서 우리는 미래를 들어야 해요.
4.
쓸데없는 소리 하지 말라는 분들 계실 거예요. 괜찮아요. 그렇게 말하세요. 저는 미래의 섬에게 이 편지를 쓰는 거예요. 미래의 파도에 이 편지를 쓰는 거예요. 미래의 아이들에게 이 편지를 쓰는 거예요. 사랑한다고 말하기가 어려웠지만. 이제 미래의 평화에 사랑한다고 말할래요. 그 항구를 세운 사람들은 콘크리트 항만이 영원히 단단할 것이라고 믿겠지만 저는 아니에요. 바다가 다시 역사를 쓰기 시작할 거예요. 그 섬의 바람이. 그 섬에 내리는 비가. 폭폭 내리는 눈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다시 역사를 쓸 거예요. 평화를 쓸 거예요. 저는 그 평화의 역사를 믿어요. 저는 그래서 미래의 그 섬에. 미래의 강정에 이 편지를 부쳐요. 눈이 뭍은 이 편지를 부쳐요. 그곳에는 다시 평화가 탐스러운 눈송이가 되어 내릴 거예요. 우리에게 추위를 준 이 세계를 축복하며 잠재우며 다시 새로운 날을 쓰기 위해 하얗게 내릴 거예요. 봄이 오면 녹은 눈을 머금고 꽃이 필 거예요. 마을에 꽃이 필거예요. 수천 년을 써온 역사를 다시. 늘 다시. 새롭게 태어나는 아이들처럼. 꽃이 필 거예요. 사랑해요.
저는 또 편지를 쓸게요.
김학중 1977년 서울 출생. 2009년 <문학사상>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