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미국의 <블룸버그> 통신과 <CNBC> 방송 등 주요 외신들이 미국 최대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6월 1일 법원에 파산보호(챕터11)를 신청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6월1일은 미국 정부가 GM에 대해 채권단 및 노조와 구조조정 방안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파산신청을 하도록 예정된 날짜다.
다만 '챕터 11'은 기업의 완전한 청산을 의미하는 '챕터7'과는 달리 법원의 관리 아래 영업을 계속하면서 채무를 조정하는 '파산 후 회생'을 의미한다.
GM. 파산보호 신청 후 국영기업으로 탈바꿈
GM이 이날 공개한 파산 계획에 따르면 파산보호 신청 이후 재무부가 GM 지분의 72.5%를 보유하고,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퇴직자 건강보험기금(VEBA)이 17.5%를 각각 갖게 돼 '국영기업'으로 거듭나게 된다.
미국 정부는 500억달러 규모의 추가 자금을 새로운 GM 법인에 지원한 뒤 이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며, 캐나다 정부도 지원 자금의 일부를 출자한다.
한편, GM이 캐딜락과 시보레 브랜드 등의 우량자산을 '뉴GM'에 이전할 때 GM대우도 이런 우량자산에 포함되지 못할 경우 법정관리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GM대우 지분은 GM측과 산업은행이 각각 72%, 28%를 보유하고 있어, GM은 산업은행 측에 유동성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산업은행, "GM대우를 소형차 핵심 생산본부로 보장하라"
하지만 산업은행 측은 GM 본사가 GM대우를 앞으로 하이브리드카, 소형차의 핵심 생산본부로 하겠다는 보장 없이는 유동성을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산업은행 측은 GM대우가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년간 생산을 확대해주는 것만으로는 어렵고 중장기적으로 GM대우의 성장과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확고한 보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수출비중이 80%를 넘는 GM대우는 GM의 해외판매망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다수 부품업체들도 국내 업체라는 점에서 GM의 유통망 없이 독자생존은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민유성 산업은행장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GM본사로부터 GM대우를 단순히 GM의 조립 공장이나 하청 생산공장이 아닌 글로벌 전략에 따른 핵심기지로 한다는 보장을 받아야만 유동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산업은행은 닉 라일리 GM아시아태평양본부 사장 등 GM 측 인사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닉 라일리 사장은 "GM대우는 소형차 신차 개발과 제조에서 중요한 사업장인 만큼 끝까지 함께 갈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 측도 GM대우가 우량자산으로 분류될 가능성을 60% 정도로 보고 있다.
하지만 GM이 GM대우를 우량 자산으로 분류하지 않고 산업은행의 자금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 카드로만 이용할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산업은행이 GM대우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하거나 지원자금을 출자전환해 보유 지분을 높이는 방안도 거론하고 있지만, 산업은행 측은 GM이 GM대우를 사실상 포기한다면 GM대우는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GM이 파산보호 신청을 하면, 지난해 8756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GM대우는 2조여원의 매출채권도 동결되고, 해외판매 급감 등 중대한 타격을 받게 돼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