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악의적 세력에게 법적 책임 물을 것"
경찰의 수사 결과가 발표된 다음날 <조선일보>는 25일 장문의 '협박' 사설을 냈다. 이 신문은 '조선일보의 명예를 훼손한 49일간의 비방 공격'이라는 사설에서 KBS, 신경민 MBC 앵커, <한겨레>, <오마이뉴스>, <서프라이즈> 등과 민주당 이종걸 의원,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 일부 언론·시민단체 등을 일일이 거론하면서 "조선일보는 이 악의적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엄격히 물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신문은 이들을 두고 "일부 언론과 세력들은 어떻게든 조선일보와 이 인사의 명예에 상처를 주기 위해 온갖 탈선적 보도와 음해 시위를 벌였다", "이번에 조선일보에 악의적인 명예 훼손 공격을 퍼부었던 세력들은 조선일보와 조선일보 독자를 이어주는 윤리적 신뢰의 고리를 어떻게든 끊어보겠다는 목적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며 거듭 비난했다.
<조선일보>는 이날 보도에서도 "본사 임원 '장자연 사건과 무관' 밝혀져"(1면), "누군가를 조선일보 임원인 것처럼 소개…경찰, 제3인물 추적"(8면), "루머로 인격 살인"(8면) 등의 기사를 내 경찰의 <조선일보> 임원 면죄부 결론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조선일보 고위 임원의 아들이 장자연 씨의 소속사 대표인 김모 씨와 술자리를 함께한 정황이 포착돼 김 씨가 체포될 때까지 내사 중지 결정을 받은 것은 보도하지 않았다.
▲ 25일자 <조선일보> 사설. ⓒ조선일보 |
또 이날 <조선일보>의 보도는 <조선일보> 임원 면죄부 수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한 같은날 <한겨레>의 보도와 극히 대조된다. <한겨레>는 이날 "'장자연 수사' 진실 못밝혔다"는 1면 보도에서 "경찰은 성상납 등을 강요한 장씨 소속사 대표 김 아무개씨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선일보> 고위 임원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면서 "하지만 경찰은 수사 발표 하루 전인 23일에야 이 임원을 방문조사해 진술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김 대표의 일정표에 왜 이 임원이 등장하는지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화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이 신문은 "이 때문에 일본으로 달아난 김 대표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력 인사 가운데 유일하게 이 고위 임원에 대해 무혐의 결정을 내린 것은 성급한 판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찰의 판단대로라면 숨진 장씨는 자신이 지장까지 찍은 문건에서 아무 상관도 없는 사람을 무고했거나 다른 사람을 착각한 셈이어서 '왜 자신의 치부를 스스로 드러내며 잘못을 했을까'라는 근원적 의문이 풀리지 않는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 신문은 "시늉만 하다 그친 '장자연 수사'"라는 사설에서도 "경찰은 그동안 그(<조선일보> 임원을 지칭)을 비롯한 유력인사 조사에 대해선 이리저리 말을 바꾸며 감싸는 등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면서 "이러니 조사가 제대로 됐을 리 없다. 경찰 수사에 다른 외압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말도 그래서 나온다"고 외압설을 제기했다.
<경향신문>도 "큰소리 친 경찰 '빈손' 수사 끝"이라는 보도에서 경찰의 말 바꾸기와 조현오 경기 경찰청장이 유력언론사의 전 대포로부터 "조속한 수사"를 촉구하는 전화를 두차례 받았다는 것 등을 들어 외압 의혹을 제기했다. 이 신문은 경찰 수사를 두고도 "문건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해 미리 '선을 긋고' 수사했음을 의미한다"는 해석을 달면서 "경찰의 통상적인 인지수사 방식과 비교되는 것으로 수사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나도 고소하라" 사이버 망명
한편, 경찰의 중간 수사 발표 후 인터넷 공간에서는 <조선일보>와 시민·사회단체, 누리꾼 간의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이날 <조선일보>가 사설에서 " 이 악의적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엄격히 물을 것"이라고 경고한 것과 마찬가지다.
이미 <조선일보>는 지난 16일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 김성균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 대표, 나영정 진보신당 대외협력실 국장을 고소한 상태. 앞서 10일에는 이종걸 민주당 의원과 이정희 민주노동당 의원, 신상철 <서프라이즈> 대표를 고소했다.
김성균 언소주 대표는 이에 반발해 24일 오후 3시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의 청원 게시판에 "조선일보는 명예 훼손 혐의로 나도 고소하라"라는 청원을 개설했다. 김성균 대표는 지난 6일 이종걸 의원이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장자연 리스트'에 대해 물었던 발언을 그대로 올리며 "경찰과 검찰은 장자연 씨 사망과 관련해 <조선일보> 임원의 관련성을 철저히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이 청원에는 1000명이 넘는 누리꾼들이 서명에 동참했으나 <조선일보>의 문제제기에 따라 다음 측이 개설된 지 3시간 만에 청원 사이트에 임시접근 금지 조치를 취했다. 이에 김성균 대표는 해외사이트인 '(가칭) 대한민국 네티즌 망명지'에서 다시 사이트를 개설해 청원운동을 하고 있으며 26일 5시 30 현재 1968명이 서명에 동참했다.
▲ 가칭 '대한민국 네티즌 망명지'에 올라온 "조선일보는 명예 훼손 혐의로 나도 고소하라"는 내용의 서명. |
다음 아고라에는 김성균 대표 외에도 '장자연 사건 재수사 촉구', '조선일보 임원에 대한 특검 수사 청원' 등이 올라오고 있으며 이 역시 <조선일보>의 '명예 훼손 게시물 삭제요청'에 따른 다음의 임시 접근 금지 조치에 따라 폐쇄되고 있다. 몇몇 누리꾼들은 이에 반발해 거듭 같은 내용의 청원을 올리고있는 상태.
한편, 다음 측은 지난 3월 16일부터 "고 장자연 씨 사망과 관련 댓글을 통해 고인과 기타 타인의 명예 훼손 및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크다"는 입장을 밝히며 장자연 씨 사건 관련 기사에 댓글 시비를 차단하고 있다. 이에 누리꾼은 '이 역시 조선일보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며 다음 아고라 청원 게시판 등 댓글 서비스 재개 등을 촉구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