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이 세계 최하위 수준으로 평가됐다. 환경단체는 정부에 대대적인 기후위기 대응 노력을 촉구했다.
10일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현재 제2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진행 중인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독립 평가기관인 저먼워치, 뉴클라이미트연구소, 기후행동네트워크(CAN)가 공동 발표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2020’에서 한국의 기후변화대응지수는 총 61위까지 매기는 조사에서 58위였다. 지난해 57위보다 한 계단 떨어져 사실상 꼴찌 수준이었다.
한국이 이처럼 낮은 평가를 받은 요인은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이 높고 △정부가 제출한 2030년 중장기 목표가 인천 IPCC 총회에서 과학자들이 정한 섭씨 1.5도 목표는 고사하고, 파리기후협정에서 정한 섭씨 2도 목표 달성에도 못 미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해당 보고서에서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대상국 중 59위였고, 에너지 소비 저감 노력은 전체 꼴찌인 61위였다. 이를 두고 해당 보고서는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이 "매우 미흡하다"며 "최근 한국의 재생에너지가 높은 증가율을 보이지만, 여전히 에너지 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한국을 비롯한 '기후 악당국'과 달리, 적잖은 나라에서는 온실가스 감소세가 확인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0%를 차지하는 57개 다배출 국가 중 31개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었다. 석탄 소비량이 줄어들고 재생에너지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CCPI 1~3위국은 없었고 4위가 스웨덴으로 지난해와 동일했다. 덴마크, 모로코, 영국, 리투아니아, 인도, 핀란드가 5~10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30위였다.
CCPI 1~3위국이 꼽히지 않은 이유는 기후위기 대응 수준이 '매우 좋음'으로 평가된 나라가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사 대상국이 58개국임에도 순위는 61위까지 매겨졌다. CCPI 보고서는 2005년부터 발표돼 왔다. 그간 1~3위국은 언제나 공석이었다.
CCPI상 기후위기 대응 수준이 '매우 미흡한 나라'는 48위부터 61위였다. 48위는 터키였고 뒤를 이어 불가리아, 폴란드, 일본, 러시아,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란, 타이완, 사우디아라비아, 미국이 49~61위를 기록했다.
미국이 꼴찌를 차지한 이유는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인데다,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해 전 세계 기후위기 대응 공동 노력을 크게 흔들었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이번 CCPI 지수 평가에 참여한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은 "한국이 석탄발전과 내연기관차 퇴출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하고 에너지 요금과 세제 개편을 이뤄 비효율적인 에너지 다소비 구조를 과감히 개혁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