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가난한 부모는 '사회적 유대'가 불가능하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가난한 부모는 '사회적 유대'가 불가능하다"

[서리풀 연구通] 청소년의 건강권, 청소년의 정치 참여가 절실하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논란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후보자 검증 과정에서 드러난 자녀교육과 관련한 '합법적' 특혜가 논란의 중심에 있다. 학교와 전문가인 학부형이 협력하여 학생들의 전문성 함양을 도와준다는 '학부형 인턴쉽 프로그램' 등 대입 관련 각종 엘리트 프로그램의 존재에 꽤 많은 사람들이 놀랐고, 아득한 박탈감을 느꼈다.(☞ 관련 기사 : 조국 딸에겐 특별한 무엇이 있다?)

로버트 D. 퍼트넘은 책 <우리 아이들>(정태식 옮김, 페이퍼로드 펴냄)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교육받고 부유한 부모들은 일반적으로 사회학자들이 '약한 유대 관계'라고 부르는 것, 즉 다른 사회 분야의 지인들(정신과 의사, 교수, 경영인, 친구의 친구 등)과 광범위한 관계를 맺고 있다. 사회적 유대의 범위와 다양성은 사회 이동과 교육적, 경제적 진출을 위해 특히 소중하다. (중략) 가난한 부모와 그들의 자녀에게는 간단히 말해 이러한 것에 대한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다."(<우리 아이들> 303쪽)

우리 사회에는 사회경제적 자본, 문화적 자본이 별로 없는 부모를 둔 탓에 대입전형에 유리한 자원에 접근하지 못하는 청소년, 그리고 아예 대입전형과 무관한 삶을 살아가는 청소년이 엄연히 존재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런 청소년, 청년이 다수일 텐데, 어쩐지 이번 논란에서 그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조금 덜 가진 엘리트 청년들이 ‘공정성’을 요구하며 조금 더 많이 가진 엘리트를 비판하는 목소리만 높을 뿐이다. 대입제도와 교육정책에 대한 청소년들의 목소리가 정치에 반영될 기회도 마땅치 않다.

청소년의 입장과 목소리가 제도적으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선거를 통한 정치적 발언과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국제학술지 <국제환경연구와 공공보건>에 실린 은상준(2019)의 연구는 청소년의 정치 참여가 건강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2005~2016년 한국청소년건강행태조사와 사망자료 등 여러 국가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정치적 결정요인과 청소년 개인의 자살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자살위험은 자살시도와 우울증 증상으로 정의했고, 정치적 결정 요인은 두 가지로 구분했다. 우선 기간 효과 (period effect) 요인으로는 모든 세대가 동일한 시기에 경험하는 대통령직의 변화를 변수로 활용했다. 故 노무현 대통령 임기(2005~2007, 대통령 임기는 2003년 시작함)를 '자유주의' 시기로, 이명박 대통령 임기(2008~2012)를 '1차 보수주의' 시기로, 박근혜 대통령 임기(2013~2016)를 '2차 보수주의' 시기로 정의했다. 또 다른 정치적 결정요인 코호트 효과(cohort effect)는 각 출생 세대가 공유하는 대학입시 정책의 변화로 구성했다. 한국은 중앙집권적인 대통령제하에 지방정부의 정치력이 약하며, 대학입시 제도는 전체 교육시스템뿐 아니라 청소년의 삶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다.

분석 결과, 기간효과로 보면 보수 성향의 대통령이 집권한 동안 청소년 자살 위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 정권이 자살률을 포함한 인구 건강 악화와 연관되어 있다는 선행 연구들로부터 벗어난다. 저자는 이러한 결과가 자살예방정책의 성과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전의 다소 진보적인 정부가 자살예방정책의 토대를 마련하기는 했지만, 주요 정책들은 1차 보수 정권 시기 궤도에 올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008~2009년 금융위기와 사회적 불안감의 증가로 자살률 증가가 우려되면서 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했던 것도 관련 있을 것이다. 또한 2012년 선거로 대통령이 바뀌었지만 정권의 본질은 비슷했기 때문에 기존 정책을 뒤엎지 않고 자살률 감소 정책 실행은 계속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긍정적 기간효과와 달리, 보수 정권은 청소년 자살 위험에 부정적인 '코호트 효과'를 보였다. 즉, 보수 정권의 대학입시정책에 영향을 받은 청소년 세대에서 자살 시도와 우울증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와 청소년의 삶은 매우 동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이렇게 정권의 속성이 청소년의 자살 위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신건강에 유리한 정책을 집행하는 정치 세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들의 정치적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경남학생인권조례가 본회의에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도의회 교육위원회에서 부결되는 일이 또다시 발생했다.(☞ 관련 기사 : 경남학생인권조례는 자동폐기되었다) 전국적으로 청소년에게 투표권을 보장해달라는 요구가 있지만, 이 역시 여전히 묵살되고 있다. 청소년에게 그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집단을 선택할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 더 이상 청소년의 정치 참여를 막아서는 안 된다.

서지정보
Eun, S. J. (2019). Contextual association between political regime and adolescent suicide risk in Korea: a 12-year repeated cross-sectional study from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5), 874.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