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힘입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과 발전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힌 석탄발전 이용률은 크게 줄었지만, 원자력발전 이용률은 원전 정비가 끝나면서 가동대수가 늘어 전년보다 대폭 상승했다.
12일 한국전력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은 석탄 38.5%, 액화천연가스(LNG) 26.4%, 원전 25.8%, 신재생에너지 7.5%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각각 6.9%포인트, 2.0%포인트 늘어난 반면, 석탄은 5.2%포인트, LNG는 3.0%포인트 줄었다.
신재생에너지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관련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발전 비중이 처음으로 7%를 넘어섰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7년 1분기 5.0%, 2018년 1분기 5.5%, 올해 1분기 7.5%로 빠르게 늘고 있다.
발전량은 10.9TWh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지난 4월 19일 공청회를 통해 공개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안)'에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현재 7∼8% 수준에서 2040년까지 30∼35%로 대폭 늘린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당시 정부는 에기본안에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이산화탄소(CO2) 발생이 많은 석탄발전 비중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원전은 기존 원전의 수명연장을 하지 않고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석탄발전 이용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2%포인트 감소한 72.5%로 줄었다.
정부는 1분기 중 최악의 미세먼지 사태에 대응해 미세먼지가 많은 날 석탄발전 출력을 제한하는 상한제약을 14일간 발령해 총 240기가 적용을 받았다.
지난 3월에는 보령 1·2호기, 삼천호 5·6호기 등 노후석탄 4기의 가동을 중지했고 대규모 예방정비를 시행하면서 석탄발전 이용률이 최근 3년 내 가장 낮은 60.1%로 떨어졌다.
석탄발전이 줄면서 미세먼지 배출량은 지난해 1분기 6천517.7t에서 올해 1분기 4천655.5t으로 감소했다.
석탄발전과 달리 원전 이용률은 에너지전환 정책에도 오히려 증가했다.
원전 이용률은 지난해 1분기 54.9%에서 올해 1분기 75.8%로 대폭 늘었다. 원전 발전량은 27.9TWh에서 37.3TWh로 늘었다.
원전 발전이 활발히 이뤄진 것은 지난해 1분기 원전 가동대수는 평균 13기였지만, 지난 1∼2월에는 17기, 3월에는 20기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한빛원전 3호기 원자로 격납건물 내부철판과 콘크리트 사이에서 구멍이 발견되는 등 설비 문제로 가동을 멈췄던 일부 원전이 올해 초 재가동에 들어가며 정비 수요가 어느 정도 정리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2017년 1분기 원전 이용률은 74.2%, 원전 발전량은 38.7TWh, 원전 발전 비중은 27.2%였다.
에너지당국 관계자는 "지난해 유독 정비 수요가 몰리면서 원전 이용률과 발전 비중이 크게 떨어졌다"며 "계획에 따라 정비가 예정된 원전을 제외하면 대부분 원전이 정상 운전을 진행함에 따라 예년 수준 이상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예방정비가 끝난 원전이 시장에 속속 진입할 뿐 아니라 운영허가승인이 지연된 1.4GW 규모의 신고리 4호기가 가동하면서 원전 발전량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LNG 이용률은 지난해 1분기 53.5%에서 올해 1분기 46.7%로, 발전량은 43.2TWh에서 38.2TWh로 줄었다.
올해 겨울이 지난해보다 포근했고 원전 가동이 늘면서 이용률과 발전량, 발전비중이 모두 감소했다. LNG는 다른 전력원의 대체재 역할을 한다.
다만 석탄발전량이 크게 줄면서 감소 폭은 제한돼 2017년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