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북한군 개입설'과 관련해 "논란이 있지만 사실 여부 모른다"고 말한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에 대한 내부 구성원들의 사퇴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진화위 직원들이 실명 인증을 해야 게시가 가능한 내부 자유게시판에 "위원장님이 그것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5.18 북한군 개입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의견을 표명하며 진화위 노조의 사퇴 요구 성명에 지지를 보내고 있다고 27일 <한겨레>가 전했다.
진화위 노조(전국공무원노조 진실화해위원회지부)는 지난 25일 자유게시판에 '5.18의 진실을 모른다는 박선영은 즉각 사퇴하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올렸다.
노조는 "박 위원장의 발언은 극우 유튜버 수준의 망언"이라며 "국가 공권력의 부당한 행사로 피해를 본 피해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위로해야 할 진화위 위원장이 오히려 5.18 피해자와 유족의 가슴에 공개적으로 대못을 박은 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기본법은 은폐·왜곡된 국가폭력의 진실을 규명하고 화해와 국민통합을 위해 이루기 위해 제정됐으나 박 위원장과 전임 김광동 위원장은 과거사 부정 등으로 위원회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파행적 운영을 반복해왔다"며 "이런 인사들이 다시는 진화위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국회에 과거사정리법 개정을 강력히 요구한다"고도 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5.18 북한군 개입설 관련 질문에 "그런 논란이 있는 것은 알지만 제가 북한군이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개입을 했는지 안 했는지 저는 모른다"라며 손사래를 쳤다.
박 위원장은 재차 "논란이 있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을 저는 정확하게 저는 모른다"고 말해 북한군 개입설을 용인하는 듯한 태도를 취했다.
이에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진화위 위원장으로서 최소한 역사 인식에 대한 기본을 갖추지 않았다. 그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다"며 퇴장을 명령하자, 박 위원장은 "모르니까 모른다는데 뭐가 문제냐"라고 반박했다.
신 위원장이 국회 경위까지 불러가며 박 위원장에게 퇴장하라고 했지만, 박 위원장은 국회법을 언급하며 위원장에게 참고인을 퇴장시킬 권한은 없다고 맞서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23일 행안위 전체회의에서도 "부적절한 언행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며 야권 위원들이 문제를 제기해 퇴장당했다.
박 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사흘 뒤 임명됐다. 국회에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상태에서 진행된 대통령의 인사를 두고 국가폭력 피해자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는 "헌정 유린, 반란 수괴로 자격도 없는 자가 단행한 인사"라며 박 위원장을 거부했다.
진화위 사무처장이 박 위원장 임명에 반대하며 사의를 표명하는 등 내부 구성원들의 반발도 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