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 물가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나왔다. 한국은 특히 식료품 물가 변동 위험에 크게 노출돼 장기적으로 체감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리라는 진단이 이어졌다.
한은은 28일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 '국내외 식료품물가 흐름 평가 및 리스크 요인'에서 최근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에서 "식료품발 물가 불안(애그플레이션, agflation)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최근 한국의 채소와 과일 가격은 집중 호우와 폭염 등 극단 기후로 인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를 두고 한은은 "국내 식료품 물가 추이를 보면 최근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며 "팬데믹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가격상승도 소비자물가를 크게 웃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현상은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은은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직접 영향을 받는 유로 지역에서 물가 불안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쟁을 인한 공급망 붕괴가 유럽에 직격탄을 날렸기 때문이다.
한은은 유로 지역을 두고 "식료품물가 상승률이 올해 들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두배 이상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 역내 인플레이션의 약 35~40%를 설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경우는 "식료품물가가 지난 3월 19.2% 상승하여 45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고 미국은 "식료품물가는 최근 기저효과 등으로 오름세가 둔화되었으나 지난해 10% 이상 급등하면서 누적된 가격 상승의 폭이 전체 소비자물가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 현상의 근원이 국제적으로 광범위한 차원에 있는 만큼 한은은 식료품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가 늦춰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팬데믹에 따른 공급병목, 러-우 전쟁 이후 곡물 비료 공급 차질, 각국의 식량 수출제한, 이상기후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식료품물가의 상방압력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며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로 원재료 수입의존도가 큰 식료품의 가격 상승률이 여타 품목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등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두드러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더해 한은은 "최근 흑해곡물협정 중단, 인도 쌀 수출 중단 등에 따른 식량안보 우려 등이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주요 기관들도 글로벌 곡물수급이 팬데믹 이전에 비해 당분간 타이트한(빡빡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국제곡물가격의 하락폭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료품값 상승 추세는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기후위기라는 절대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중장기적으로 엘니뇨, 이상기후 등이 국제식량가격의 가장 큰 상방 리스크"라며 "과거 사례를 보면 엘니뇨 기간 이후에는 국제식량가격 상승기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왔고 해수면 온도가 예년대비 1℃ 상승할 때 평균적으로 1~2년의 시차를 두고 국제식량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설명했다.
식료품가격 위험에 한국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노출돼 있다. 식료품 대외의존도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한은은 "특히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곡물의 대외의존도가 매우 커 국제식량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에 크고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며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및 외식물가와 국제 식량 가격의 시차상관관계를 보면 가공식품은 11개월 후에, 외식물가는 8개월 후에 최대"로 나타나며 "국제 식량 가격이 급등하는 시기에는 이 파급시차가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특히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는 가격 하방경직성과 지속성이 크다. 한 번 오른 가격이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적인 식료품 가격 상승 압력은 국내 체감 물가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은은 이에 따라 "가계지출 중 식료품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부담이 증대되고 실질구매력이 축소"될 수 있다며 "향후 식료품물가의 흐름과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